722 0

아동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의 효과

Title
아동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의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for Elevation of Children's Empathy Ability
Author
박혜경
Alternative Author(s)
Park, hey-kyung
Advisor(s)
이정숙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아동은 공감능력을 통해 이전의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추론하게 된다. 따라서 아동들에게 가족관계보다 또래관계가 더욱 중요하기 때문에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은 아동에게 소속감을 갖게 한다. 그러나 오늘날은 대인관계가 전혀 요구되지 않는 도구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타인과 접촉하는 경험의 기회가 줄어들고 있고, 부정적인 가족 구조는 아동들이 공감능력을 경험할 기회를 놓치게 한다. 결국 공감능력이 낮은 아동들은 집단 따돌림이나 학교폭력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학교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있어서 부적응을 가져올 수도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집단 미술치료가 아동의 공감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일반적인 집단 미술치료가 가지는 제한점을 수정하여, 집단 미술치료가 아동의 공감능력 향상시키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이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 소속의 3~5학년 30명에게 공감능력검사를 실시하여 공감능력이 낮은 1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으로 구성하였다. 통제집단은 집단 미술치료의 효과와 그 지속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심리 · 환경적 특성, 공감능력이 유사한 아동 5명으로 선정하였다. 2007년 5월 4일부터 2007년 7월 23일까지 총24회기의 집단 미술치료를 주 2회씩 실시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 모두를 대상으로 집단 미술치료를 실시하기 전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종결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3개월 후 그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Davis(1980)의 IRI(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와 Bryant(1980)의 공감적 각성 검사를 박성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 · 보완한 공감 능력 검사지와 HTP, KSD 투사 검사를 사용하였다. 매회 녹음을 통해 행동관찰을 하였고, 담당 교사와의 면담을 통하여 아동의 개별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집단 미술치료에 참가하였던 아동들의 공감능력이 개별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조사하여 집단 미술치료가 아동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집단 미술치료 실시 후 실험집단 아동의 공감능력은 향상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 항목에서도 통제집단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집단 미술치료가 아동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집단 미술치료 과정 중 나타난 집단원간의 공감능력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초기에는 서로에게 관심도 없고, 감정표현에도 서툴렀다. 그러나 점차 집단 미술치료가 진행되면서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고, 표현하면서 나와 타인의 감정의 차이를 이해하고, 수용하게 되었다. 또한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배려하는 모습이 증가하였으며, 지지하는 공감적 반응도 증가하였다. 셋째, HTP, KSD, 공감능력 검사를 통한 개별 분석에서는 집단 미술치료 실시 후 사후, 추후 검사는 사전 검사의 그림에 비해 그림의 형태가 안정적이며, 사전 검사 때보다 긍정적인 연상이 나타났다. 학교생활화(KSD)에서는 사전 검사 때는 싸움을 하거나 혼자 있는 모습을 그려서 부정적인 대인관계 갈등을 암시하였으나 사후, 추후 검사에서는 또래와 어울려 놀거나 모둠활동과 같은 상호작용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표집에 있어 한계가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한 한 곳의 지역아동센터 소속의 아동 30명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므로 효과성을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즉, 연구 대상에 있어 연령과 성별, 지역이 국한된 데에 따르는 제한점이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실험 연구로써, 아동의 집단 미술치료를 실시하는 동안 가정, 학교 상황에서 발생하는 외생 변수를 통제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해 집단 미술치료의 효과를 밝혀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집단 미술치료는 아동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또한 개별 아동의 전반적인 행동변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감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학교부적응과 같은 아동들의 문제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해결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아동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해 지시적-경험적 공감훈련이 아닌 집단 미술치료를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Children understand and induce the other person's ground escaping from the former egocentric thinking through the empathy ability. Thus, training for elevating empathy ability brings a sense of belonging to children because they value relations to their peers above relations to their family. However these days people lose many chances of experience which contact other people because they use many tools which don't require interpersonal relations at all and negative family construction makes children miss the chance which experience their empathy ability. Therefore children who have low empathy ability can make some problems just like a bullying or a violence in school and they can't adapt to life in school or i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it is effective in elevating empathy ability or not. And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correct restrictions general other group art therapies have and elevate children's empathy ability through the group art therapy. To do this I tested empathy ability to thirt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ird to fifth grade as an experimental group at the local children center located in GyeongGi-Do and organize five experimental group and five control group among the children who have low empathy ability. And I chose five children whose psychological, environmental feature and empathy ability are similar to the experimental group as a control group to verify the effect and durability of group art therapy and it is executed twice a week from May 5, 2007 to July 23, 2007 , total twenty four time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is study I excuted a preliminary inspection ahead of the group art therapy and a post inspection after the termination and did a later inspection to identify durability after three months. And I used empathy ability test sheet and HTP, KSD transmission test Park Sung Hee(1997) translated, corrected and supplemented Davis(1980)'s IRI(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and Bryant(1980)'s empathic awakening test as a measurement tool. I observed their activities through the recording each time, and investigated their individual changes through the interview with a teacher in charge. In addition, I investigated how the group art therapy changed the children's empathy ability individually and made an analysis of group art therapy's effect to children. I attained a result like this through this study. Firstly, the children's empathy ability was elevated after the group art therapy to elevate empathy ability and it was meaningful and positive change statistically. They show a meaningful elevation in empathy ability's subordinate factor items, which are imagination, empathic interest, private agony. Therefore we can inference that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to elevate children's empathy ability.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empathy ability's changes among the group members during the process of group art therapy, they didn't have any interest each other and expressed their empathy badly in initial. However gradually they understood and took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empathy and other people's ones experiencing and expressing various empathy in a process of group art therapy. In addition they started to think in other person's shoes and increased thoughtful consideration to other people and supportive empathic response. Thirdly, in an individual analysis through HTP, KSD, empathy ability test pictures in a post inspection and later inspection are stable and show a positive association compared with pictures in a preliminary inspection after the group art therapy. In KSD they drew a picture of quarreling or sitting alone in a preliminary inspection. So their pictures alluded negative interpersonal relation and confliction. However, they played their peers together or showed an interaction just like a group activity in a post inspection and later inspection There is a meaning and limit of this study and a proposal for a post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ly, there was a limit of target sampling. Because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only 30 children of one local children center located in GyeongGi-Do, it is unreasonable to generalize the effect of this study. Secondly, this study, as an experimental study, didn't control external variables which could happen at home and school while the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as executed. So this point should be supplemented in a post study and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should be identified. Generalizing the result of this study, group art therapy help elevation of children's empathy ability, forming a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 Also it is proved that it is effective to general behavior change of individual children. In conclusion we can inference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to elevate children's empathy ability, and it can be used as a solution progra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aladjusted children.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not appellative-experimental empathy training but group art therapy was used for the elevation of children's empathy abil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61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79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