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1 0

지역주민의 요구를 고려한 공공도서관의 실내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지역주민의 요구를 고려한 공공도서관의 실내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ies for the Need of Local Residents
Author
장아리
Alternative Author(s)
Chang, A ri
Advisor(s)
황연숙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급속한 산업기술의 발달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정보량이 급증하면서 현대 사회는 새로운 개념의 정보화 사회로 변모하였다. 다양한 형태의 정보 매체가 등장하였고, 컴퓨터 사용의 보편화와 함께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가 신속하고 쉽게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정보 환경 및 사회 환경의 변화는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형태의 정보이용방법을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요구는 도서관의 환경에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최근 지역문화 활성화의 개념이 강조되고 정보센터로서 공공도서관의 기능이 중시되면서 현대의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들의 문화˙교육 활동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사회적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현황은 다양한 기능의 공간배치에 있어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하고 있지 못하며 실내디자인 또한 획일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복합적인 기능들의 공간배치유형과 각 공간의 실내현황을 파악하고,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실내공간에 초점을 맞추어 요구사항을 파악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의 공간계획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례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사례조사대상으로는 서울 및 경기에 소재한 공공도서관으로서 2000년 이후 건립되고 연면적 4,950m² 이상인 공공도서관 12개를 대상으로 각 기능별 공간배치, 가구배치, 디자인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설문협조가 가능한 6개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사용자 30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 1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t-test, One-Way ANOVA, Duncan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공도서관의 공간배치형태유형은 크게 건물형태, 입구 및 동선, 수직적˙수평적 상관관계로 분류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사례에서 교육˙정보˙문화기능이 하나의 층에 함께 배치되어 있는 형태가 많이 나타났다. 기능별로 살펴본 결과 문화기능만 독립되어 있는 문화분리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수평적 배치에서는 교육기능의 공간이 다른 공간과 연계되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가구배치특성을 살펴보면 종합자료실은 서가와 열람공간이 분리되어 있는 정적인 형태의 열람중심형이 많았으나 사용자의 과반수 이상이 보다 자유로운 형태인 서가중심형을 선호하고 있어 현황과 일치하지 않았다. 문화강의실 역시 대부분 정적인 형태를 하고 있었는데 대부분 동향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용자의 대부분이 단일대향형 또는 그룹대향형과 같이 마주보는 형태의 가구배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자정보열람실은 다른 실과 비교하여 자유로운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곳이 많았는데 실제로 사용자들도 정적배치형보다 동적배치형 또는 혼합배치형을 선호하는 경우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디자인특성을 살펴보면, 교육기능공간인 종합자료실과 문화기능공간인 문화강의실은 가구배치에 의해 모두 정적인 이미지가 나타났으며 주로 밝은 색상의 마감재를 사용하여 단순한 이미지가 나타난 반면 정보기능공간인 전자정보열람실은 동적이고 현대적인 이미지가 나타났다. 전자정보열람실을 제외한 대부분의 공간에서 실내이미지가 획일적이고 단순한 편으로 나타났다. 성별이나 연령에 따라 사용하는 공간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10, 20대는 주로 교육기능공간을 사용하는 반면 30, 40대는 주로 문화기능공간이나 정보기능공간을 사용하여 계층에 따라 사용하는 공간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공간별 만족도에서도 성별이나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였는데 남성의 만족도가 여성의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40대의 만족도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사용기능별 공간배치 선호유형을 살펴보면 교육기능 사용자의 경우 층별로 기능을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배치하기를 선호하는 반면 정보기능 사용자와 문화기능 사용자의 경우 기능을 연계하여 배치하기를 선호하였다. 그러나 앞의 사례조사 결과와 같이 대부분의 도서관에서 교육기능과 다른 기능이 연계되어 있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어 선호도와 현황이 일치하지 않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실내공간특성과 사용자의 만족도 및 요구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평면 형태나 면적, 창호 개구부 등 다양한 실내공간요소와 운영지침, 관리에 따른 실내공간특성을 조사하여 보다 세부적인 실내디자인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실내이미지조사에서 조명관계나 날씨, 사용된 재료의 재질감 등 실내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주변상황을 고려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공공도서관의 실내이미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fter the rapid advancement of the industrial and telecommunication sectors, society transformed into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Various mass media outlets appeared, and a wide range of people gained easy access to information through extensive computer usage. This change has brought a demand for a new method of accessing information, and brought changes to the environment of the library. Today's public libraries require a space to execute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local residents. However,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cannot accommodate the various functions thatthe users demand, and the interior design is uniform disregarding the preference of users.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look at the space design for various facilitie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interior, analyze the areas required by the users, and submit it as data in planning the space of public libraries. The research was done through research and survey. The floor plans for different facilities, arrangement of furniture, and interior design were researched from 12 public libraries built from Seoul and Gyeonggi-do after the year 2000 and with a floor space exceeding 4,950m². Also, 302 people from 6 consenting libraries answered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test in SPSS for Win 14.0.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The floor plans for public librarie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shape of the structure, entr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forms. In most cases, the facilities for education, information, and culture were arranged together on one floor. In the cases where it was divided by function, the majority of libraries had their cultural center separated from the other facilities. In a horizontal arrangement, the majority of libraries had their educational centers connected with other areas. In terms of furniture arrangement, most libraries had a reading-oriented area that separated the bookshelves, but more than halfof the users preferred a bookshelf oriented area with a free arrangement of furnitures. The cultural centers were mostly set up as quiet areas with eastern exposures. However, most users preferred the furniture arrangement to create a two-way exposure so that people could face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arrangement in electronic data rooms tended to be freer in contrast with the other facilities, and the users also preferred a dynamic arrangement. The furniture arrangement in the general areas and cultural centers created quiet images, and had a simple look due to a bright finish. However, electronic data rooms were more modern and dynamic. With the exception of electronic data rooms, most interiors had a simple and uniform image. The education center was used by most participants of the survey. Half of the surveys were taken by students and people preparing for employment, and most of them used the educational center. Categorized by age, people between the ages of 10 and 30 mostly used the educational center, while those in their 30’s preferred the cultural center, and people in their 40’s mainly used the data center. Looking at the preferred arrangement of space, users who were mainly interested in education supported an independent spacing where each centerwas separated. Contrarily, users of the data center wanted to connect the facilities together. However, most of the libraries did not meet these preferences as most of them only had the educational center connected with other facilities. Users of the electronic data rooms reporteda higher satisfaction rate compared to the users of the other facilities, while the cultural centers and audio-visual rooms had the lowest satisfaction rate. There were also differenc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such as males generally being more satisfied than females, and people in their 40’s reporting the highest overall satisfacti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and the users’ satisfaction. However, a research should follow covering the space of the library, windows, doors, entrances, and other elements of the interior, in addition to a research dealing with the management of the library. Also, there should be an objective and professional research addressing the image of the interior by looking at the lighting, weather, and the quality of the materials us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60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10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실내환경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