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3 0

재활전문병원 로비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

Title
재활전문병원 로비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
Other Titles
An Evaluation of Lobby Space in Rehabilitation Hospitals based on Universal Design Principles
Author
정유진
Alternative Author(s)
Jeong, Eu gene
Advisor(s)
황연숙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들어 급속한 산업사회로의 변화에 따라 교통사고 및 산업재해 등으로 인한 만성질환 환자 및 후천적 장애인이 증가함에 따라 재활전문병원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질환을 가진 사용자들을 위한 의료재활 서비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는 모든 사람들이 쉽고 안전하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으로 확대시켜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특히 로비공간은 병원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거치는 공간으로써 다양한 신체능력을 가진 사용자들이 함께 사용한다는 점에서 병원 내 타 공간에 비해 유니버설 디자인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재활전문병원 로비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을 평가하여 재활전문병원 로비공간의 새로운 디자인 방향과 공간 활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계획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방문과 실측을 통하여 조사대상 재활전문병원 로비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2006년 6월 대한병원협회에서 발행된 전국병원명부를 기준으로 총 365개의 서울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2차병원 중에서 2000년 이후에 건립된 사립병원으로 서울시에 위치한 2개의 재활전문병원과 경기도에 위치한 5개의 재활전문병원으로 총 7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활전문병원 로비공간을 출입구, 접수공간, 대기공간, 복도 및 통로공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출입구의 유니버설 디자인 항목별 평가에서 단차제거, 유효폭, 손잡이 높이 계획의 접근성이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논슬립 바닥마감재 사용의 안전성은 미비하게 나타났다. 둘째, 접수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항목별 평가에서 출입구 라인과의 적절한 거리 확보 항목의 접근성이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모서리 처리된 가구 및 집기류 등의 설치 계획항목인 안전성은 미비하게 나타났다. 셋째, 대기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항목별 평가에서 이동에 혼란을 주지 않는 동선의 계획, 휠체어 사용공간 확보 및 대기공간 사이 휴효폭의 접근성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조사대상 병원의 대부분 패브릭 소재의 의자를 계획하여 안전성 항목인 모서리 처리된 가구 계획을 제외한 안전성의 항목은 미비하게 나타났다. 넷째, 복도 및 통로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항목별 평가에서 단차제거, 휠체어 활동 공간 확보의 접근성이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지원성 항목인 유도표시 설치계획과 안전성은 미비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재활전문병원 로비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은 전체적으로 접근성이 양호하게 계획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험한 상황에 대한 노출이 많은 신체활동이 원활하지 못한 사용자들을 고려하여 안전사고 등의 위험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안전성의 항목은 전체적으로 미비하게 계획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요구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설문조사나 면접을 통한 후속연구 및 재활전문병원의 로비공간 뿐만 아니라 타 공간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re have been increasing number of rehabilitation facilities as chronic diseases and postnatal diseases grow due to rapid change to industrial society in recent years. In addition, there also has been increasing number of demands for treatment service for people with many different disorders. In response to such demands, the universal design that offers safe and convenient use of the facility can be carefully considered; the importance of universal design rises especially for the lobby area, where people bypass almost every time they come into the facility.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spatial design of lobby area and focuses on the efficient use of the facility in application to the universal design of domestic rehabilitation facility. This study has created a checklist for applicability of universal design and conducted survey from actual facilities with reference to findings from the precedents. The collected data are from total of 7 private rehabilitation facilities that are built after year of 2000, 2 in Seoul and 5 in Kyong-ki.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from the entrance category of universal design, the planning of doorsill Exclusion, movement width, and the height of the handle were found to be satisfactory; however, the safety level of nonslip floor finish were inadequate. Secondly, from the reception area category of universal design, the distance from the entrance to the reception area was satisfactory but height adjustment for the furniture and partitions were not. In third, from the waiting area category of universal design, planning of spac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ability of movement, space for wheelchair, and movement of accessibility width were found to be satisfactory. Most facilities use fabric for the chairs so it satisfied the planning for the cornered area, but the satisfaction for the rest of the safety category was not met. Lastly, from the hallway and pathway area category of universal design, the area for doorsill Exclusion, wheelchair activity were found satisfactory, but the planning for directional signs were not.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to current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generally adequate, but the safety level for emergency for people with disability were not so high. In order to study more objective and detailed demand for universal design, strategical planning for the survey and interview are necessary steps not only for the rehabilitation facilities but also for the rest of the hospital facilit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60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99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실내환경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