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6 0

장애인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장애인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ies For the Disabled
Author
최서윤
Alternative Author(s)
Choi, Seo Yun
Advisor(s)
황연숙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정보화 사회가 가속화되면서 정보의 사회적 불평등은 중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장애인과 같은 소외계층은 정보로의 물리적 접근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어 비장애인과의 정보격차를 더욱 크게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 많은 공공도서관을 확충하여 공중의 정보이용을 지원하고 있으나, 장애인을 고려한 시설 및 서비스의 부족으로 인해 장애인의 공공도서관 이용률은 낮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내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장애인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공간을 분석하고 향후 공공도서관 공간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사례조사로서 장애인 시설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체크리스트를 작성한 후, 현장방문을 통한 사례조사로 진행되었다.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2000년 이후에 건립하거나 리모델링한 공공도서관 중 단독건물을 사용하고 있고, 이용대상에 제한이 없는 1000㎡ 이상의 공립 공공도서관 9곳을 대상으로 2007년 10월 10일부터 11월 2일까지 현장방문을 통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인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공간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공공도서관을 크게 외부시설, 매개시설, 이동시설, 위생시설, 열람시설, 경보·안내시설로 구분하여 공공도서관 공간 평가 체크리스트에 대한 적용 정도를 조사한 결과, 적용률은 이동시설>경보·안내시설>위생시설>열람시설>외부시설>매개시설 순으로 양호하게 조사되어 장애인이 외부에서 공공도서관 건물까지 접근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을 공간별로 나누어 적용 정도를 분석한 결과, 출입구 및 계단의 적용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경사로, 열람실의 적용률이 낮게 나타났다. 출입구, 계단과 같이 모든 건물에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공간은 비교적 기준에 맞게 설치되어 있는 반면, 건물 종류에 따라 선택 설치가 가능한 경사로와 공공도서관 고유의 특성을 가진 열람실은 비교적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부분의 종합열람실 서가 사이 폭이 휠체어장애인이 진입할 수 없을 정도로 협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접수대 및 자료검색대 또한 휠체어사용자의 접근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열람실의 경우 대부분 종합자료실과 멀리 떨어진 1층에 설치되어 있어, 자료 이용을 위한 동선이 불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 열람실 대부분이 구석의 여분 공간에 설치되어 있었으며, 이용자가 거의 없어 불이 꺼져 있거나 문이 잠겨 창고로 이용되는 곳도 많이 나타났다. 장애인을 고려한 공간 특성별로 항목을 분석한 결과, 접근성에 해당하는 항목에 대한 적용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안전성, 지원성, 지각성 순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에서 장애인의 이용을 위한 공간의 크기가 비교적 양호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비교적 적은 반면, 공공도서관 이용의 편리함이나 길 찾기 등이 미흡하였다. 법적의무항목 및 권장항목별 적용 정도를 살펴본 결과, 법적 의무항목에 대한 적용률이 권장항목에 대한 적용률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법적의무항목조차 그 적용률이 67.5%에 불과해 저조한 적용실태를 보였다. 법적으로 의무항목으로 규정되어 있어도 형식적인 설치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았고, 세부적인 설계기준의 제시가 미흡하여 잘못 설치된 경우도 많이 나타났다. 또한 적합하게 설치했더라도 사후 유지관리가 되지 않아 실제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많이 나타났다. 또한 지체장애인의 도서관 이용에 관한 항목에 대한 적용은 비교적 양호한 반면, 점·선형블록, 점자표시 등 시각장애인의 도서관 이용에 관한 항목의 적용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인을 고려한 공공도서관의 공간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나, 장애인의 요구를 보다 객관적이고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나 면접을 통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향후 점차 필요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문화강의실, 전자정보실 등의 타 공간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장애인 뿐만 아니라 노인, 어린이 등의 타 이용자에 대한 후속연구 또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s the society becomes information-oriented, social inequality of information becomes a social issue. Especially disabled people and social outcasts are going through many troubles in order to approach information physically and therefore the gap of information is increasing between disabled people and normal peopl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number of public libraries has increased to support the public to get hands on informa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facilities and service for the disabled people that only a small number of disabled people use public libraries. This research analyzes public libraries in Seoul that have special space for disabled people. It also aim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future planning of space within public libraries. Case study was used for this research and we made a checklist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of advance study on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Then, we visited sites to conduct case study. With the checklist, we visited 9 public libraries in Seoul that have been built or remodeled after year 2000, use a single building, are open for public, use and are larger than 1000 ㎡in area from October 10^(th) to November 2nd in year 2007. Then we conducted case studies on sit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ed. In order to evaluate the characters of space within public libraries for disabled people, we divided the public library into exterior facilities, connecting space, moving facilities, hygiene facilities, reading rooms, and alarm and information system and evaluated the degree of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space evaluation checklist for public libraries. The results showed that degree of application was satisfactory and the order was moving facilities > alarm and information system > hygiene facilities > reading rooms > exterior facilities > connecting space.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facilities that assist disabled people to approach the public libraries are in shortage. By analyzing the degree of application after dividing the public libraries into each sector, degree of application is high for entrance, exit and stairs whereas the degree of application is low for reading rooms. Entrance, exit, and stairs which are generally built in each building are made according to the standards but ramps and reading rooms which could made built according to the type of building do not satisfy the standards. Most reading rooms had small space between each bookshelf that people in wheelchairs had difficulties passing them. Registration desk and material search desk were difficult for wheelchair users to approach also. Reading rooms for disabled people are placed far way from other reading rooms on the first floor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 sources within the library. Most reading rooms for disabled are made with left over space and since there are hardly any users, lights in these rooms are usually turned off or are locked and used as garages. By analyzing space according to the qualities which take disabled people into account, degree of application has been highest in approachability, then safety, support, perception followed. Size of space for disabled people within public libraries is quite satisfactory and has low risk of safety. However, the results reflected that convenience of using a public library is lacking and that finding ways within the library is difficult. When observing the application in legal duty provision and recommended provision, degree of application has been higher in legal duty provision than recommended provision. However, legal duty provision showed only 67.5% of application that it showed low degree of application.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facilities were built according to the legal duties but remained perfunctory and in which the standards for specific construction were insufficient that they were built improperly. In addition, there were cases when facilities could not be used because of improper management afterwards. Application of library use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is quite satisfactory yet application like dot line block and books Braille for blind people are still in need. Although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qualities of each space within the public library for disabled people, in order to understand it more objectively and more in-depth, we need to conduct survey or interviews for follow-up research. We will need to do follow-up research on other spaces like culture lecture rooms and electronic information rooms, which will be needed more in the future. Also, I feel that we need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for elders and for children as well.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60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98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실내환경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