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선-
dc.contributor.author김이정-
dc.date.accessioned2020-04-07T17:10:11Z-
dc.date.available2020-04-07T17:10:11Z-
dc.date.issued2008-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545-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956en_US
dc.description.abstract임신기의 스트레스는 임신부들이 겪는 공통된 증상중의 하나로 임신부의 정상적인 체중증가나 태아의 발달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총 248명 임신부(20-37주)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총점 41점 중 스트레스 점수에 따라 스트레스 낮은 군(<12점)과 스트레스 높은 군(?12점)으로 구분하여, 스트레스에 따른 영양소 섭취실태 및 임신결과를 파악하고 임신 중 스트레스와 영양섭취상태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임신부들의 산전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임신 중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아기에 대한 걱정(40.4%)’, ‘건강에 대한 걱정(28.8%)’, ‘경제적인 어려움(13.2%)’, ‘우울감(10.1%)’, ‘가족관계(2.9%)’, ‘가사일에 대한 걱정(2.5%)’, ‘인간관계(2%)’ 순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서 스트레스 높은 군이 스트레스 낮은 군보다 직업이 없었고(p<0.05), 가족 수가 많았으며(p<0.001), 임신 전 BMI와 체중감소시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임신 중 활동은 스트레스 낮은 군이 스트레스 높은군보다 가벼운 정도의 활동을 하였으며(p<0.05), 스트레스 낮은 군이 스트레스 높은 군보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었다(p<0.01). 3. 식습관항목에서 스트레스 높은 군이 스트레스 낮은 군보다 식사량이 많았으며(p<0.05), 맛에 대한 기호는 스트레스 낮은 군이 스트레스 높은 군보다 신맛을 싫어하였다(p<0.05). 4. 대부분의 영양소섭취는 스트레스 낮은 군이 스트레스 높은 군보다 영양소 섭취량이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절반 정도의 영양소가 권장량에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임신 중 스트레스와 섭취한 영양소와의 관련성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5. 임신결과에서 스트레스 낮은 군이 스트레스 높은 군보다 재태기간, 임신기간 중 체중증가량과 자연분만율이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태어난 신생아 출생 시 평균 체중, 키 그리고 Apgar scores는 두 군이 비슷하였으며 두 군 모두 정상아 범위에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 임신 중 스트레스는 임신부가 처해있는 경제여건, 사회적 지위나 생활여건, 임신과 관련된 상황, 자신의 성격 및 배우자를 포함한 가족관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스트레스 높은 군이 스트레스 낮은 군보다 직업이 없었고, 임신 전 BMI가 비만 및 과체중군에 있었으며, 임신 중 활동량이 많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지 않았다. 이런 생활습관들이 임신 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임신 중 스트레스는 대부분의 영양섭취상태와 임신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스트레스와 영양소 섭취와의 관련성에서 뚜렷한 결과를 보이지 못한 것은 본 연구가 임신부의 2일간 식이회상법 자료를 이용하여 영양소 섭취실태를 분석하였으므로 임신부의 평소식사를 반영하는데 제한점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임신 중 스트레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체중관리와 규칙적인 운동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추적관찰방법 보완과 측정오류 감소를 통해 스트레스와 식생활 관계를 파악하여 건강한 임신부 산전관리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모색하도록 한다.; Maternal stress was one of the common symptom that pregnant women could have experienced during pregnant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ernal stress on maternal nutrients intake and pregnancy outcome. Subjects were 248 pregnant women in the second and third trimester and were recruited at two hospitals in Seoul area. Individual stress levels were divided by the stress scores(total 41scores), as low stressed group(<12) and high stressed group(≥12). The social characteristics, dietary habits, nutrient intak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pregnancy outcome were compared between low stressed group and high stressed group to recognized risk factor of maternal stres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We found that subjects got stressed by causative factors which were concern about baby (40.4%), concern about health (28.8%), economic difficulties (13.2%), depress (10.1%), family relationship (2.9%), concern of house work (2.5%), humans relations (2%). 2. Gener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rate of unemployed(p<0.05), family size(p<0.001), BMI of pre-pregnancy and pre-pregnancy weight reduction attemp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igh stressed group(p<0.05). Doing regular exercise with the light activity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low stressed group (p<0.05). 3. High stressed group had large meal size and high preference of sour taste compared to low stressed group (p<0.05). 4. The nutrient intake in low stressed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high stressed group,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isk of maternal str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most of the nutrient intake. 5. Maternal stres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gnancy outcome, but the period of gestation, pregnant weight gain and normal delivery rate in low stressed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high stressed group. In conclusion, the risk of maternal stress may be related with a life style during pregnancy. Therefore, life style for maternal stress control, such as weight control and regular exercise are recommended to prevent maternal stres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임신부의 스트레스가 영양상태 및 임신결과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maternal stress on nutrient intake and pregnancy outcome in pregnant wome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이정-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Yi-J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식품영양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영양학-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FOOD & NUTRITION(식품영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