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경희-
dc.contributor.author곽경택-
dc.date.accessioned2020-04-07T17:08:52Z-
dc.date.available2020-04-07T17:08:52Z-
dc.date.issued2008-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531-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551en_US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로 세대가 거듭할수록 우리문화와 개인욕구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게 되었다. 특히 산업발전으로 기본적 의식주에 대한 질적 향상에 따라 개인과 가족 등의 소규모 공동체의 욕구가 중요시 되면서 다른 사람들과 구별된 유일무이(唯一無二)한 제품을 선호하는 다양한 취향의 소비자들이 증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현재 우리 생활 속에 깊이 자리하게 된 어패럴과 인테리어분야는 섬유패션산업의 산업화 전략의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취향의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선진국들의 디자인 모방의 단계를 벗어나 우리 전통적인 미를 응용한 고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디지털 섬유패션디자인개발이 시급할 때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전통 민화를 활용한 현대적 디지털 섬유패션제품디자인 연구를 통하여 민화에 대한 이질감을 줄이고 우리의 전통 이미지를 새롭게 개발하여 고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는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범위는 민화의 개념 및 고대부터의 민화의 발생과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내용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현대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디지털 섬유패션디자인의 종류 및 활용방법을 알아보고 최근 민화를 활용하여 디지털 섬유패션제품디자인(어패럴, 인테리어, 액세서리)에 응용되어진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어패럴과 홈인테리어를 위한 디지털 섬유패션제품디자인개발로 SPD_Look 6.1b(Surface Pattern Design 6.1b)를 활용하였다. 또한 상징성이 내재되어있는 다양한 민화의 모티프를 드로잉 하였으며 포토샵 7.0(Adobe Photoshop 7.0)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필터 기능을 사용하여 세련된 디자인으로 연출 하였다. 그리고 완성된 디자인을 드래핑하여 시뮬레이션효과를 나타냈으며 DTP(Digital Textile Printing)를 통한 제품제작을 제시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어패럴 제품디자인에는 민화속의 연화도, 모란도, 운룡도, 화조도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문양을 전개하여 다양하게 표현하였다. 40대여성을 위한 한복디자인으로 화려함과 전통미를 강조한 디자인을 하였으며, 30대중반의 여성을 위한 카디건디자인으로 여성스러우면서 고급스러운 효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율동감과 생동감 넘치며 세련된 브라우스디자인은 20대중반의 여성을 중심으로 디자인하였다. 그리고 30대여성을 위한 재킷디자인으로서 깃털과 새의 조화를 이루어 자연스러운 느낌을 연출하였다. 둘째, 홈 인테리어(벽지, 쿠션, 소파, 병풍, 로만쉐이드)용 제품디자인에는 화조도, 어해도, 십장생도, 운룡도, 연화도의 모티프를 활용하여 문양을 디자인하였다. 집안의 온화함과 편안하고 시원한 느낌을 표현하기 위하여 포인트 벽지제품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귀엽고 생동감 넘치는 쿠션제품디자인을 함으로서 집안 공간의 분위기를 즐겁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소파제품디자인으로 강한 상징의 용을 표현한 캐릭터디자인을 하였으며, 머리감는 처녀의 아름다운 곡선을 중심으로 우아하고 지적인 병풍 제품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로만쉐이드 제품디자인으로 연꽃을 응용함으로서 풍요로운 휴식공간이 될 수 있도록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따라서 섬유패션CAD활용은 작업의 다양한 입출력장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였고 부분적 편집작업이 간단하였으며 복제물생성과 영구적 저장이 가능하였다. 또한 디자인 결과를 시뮬레이션 함으로서 디자인의 문제점을 초기에 발견할 수 있었으며 디자인 진행과정상의 시행착오를 극소화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디지털을 활용한 섬유패션제품디자인제작은 민화를 활용한 참신하고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소비자들에게 다품종 소량생산 욕구 충족과 더불어 섬유산업에 한 부분으로 자리 잡아 창의성과 효율성이 공존하는 디자인 개발로 세계에 한국의 이미지를 알림과 동시에 고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s the generations develope into a modern society, the interest in our culture and personal desire have increased. As the importance of the smaller communities' desires grows due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people are more interested in unusual products. It is inevitable to make changes in industrial strategies for the apparel and interior areas which have become such an inseparable part of our lives. In order to satisfy different tastes of our consumers, we need to stop imitating designs from the developed countries and raise the value of our traditional beauty in digital textile fashion desig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ocused on utilizing the Korean traditional folk tales in the modern digital textual fashion product design to be familiarize with our traditional image and newly develop the value of the design development. The research analyzes the concept of folk tales, their origin and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contents. We also studied different categories of digital textual fashion product design and their uses to see how they are applied in apparels, interior and accessories. For our research method, we used SPD Look 6.1b for apparels and home interior to draw out various representative folk tale motives and Adobe Photoshop 7.0 to produce refined designs by using different filtering functions. The final designs use 3D drafting mode from SPD Look 6.1b to present simulation effects or manufacture DTP(Digital Textile Printing) to draw a conclusion as follows. Firstly, the fashion design presented by this study was motivated by Minhwa(Korea's traditional painting) such as, yeonhwa-do, moran-do (牡丹 圖) yunyong-do(雲龍圖, a dragon covered with the clouds) hwajo-do(花鳥 圖, flowers and birds) In particular, Han bok( Korea's traditional clothes) was designed to target on women in their forties, which emphasized the traditional beauty of our country. Moreover, for them, the luxurious patterns on the cardigan were designed to focus on a womanish and luxurious image. The jacket for them was also designed to give consumers a natural feeling, making use of feathers. Secondly, the pattern designs for home interior items ( wall paper, cushion, sofa, folding screen, Roman shades) were also motivated by Minhwa such as hwasjodo(花鳥圖, flowers and birds), ohae-do(魚蟹圖, fish in the sea), shipjangsaeng(十長生圖, 10 kinds of animals and objects that stand for longevity), 雲龍圖( a dragon covered with the clouds), yeonhwa-do. In order to express a comfortable, mild, cool image, this study presented the wall paper design. Furthermore, the cushions shown in this thesis were actively and attractively designed to change empty space and mood of your house. The dragon pattern was designed as a good featuring popular character. The folding screen was designed with curve centered- lines, using the motif that a woman is washing her hair. Various kinds of patterns were designed to be a comfortable space and natural mood, based on lotus flower design. Accordingly the result shows that by using textual fashion CAD, various input and output could be possible and partial editing became simple and duplication and permanent saving could also become possible. By simulating the results, one could discover the problematic areas much sooner and minimize difficulties of design processes. So the use of folk tales in digital textual fashion products have become creative connections for consumers to satisfy their needs for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They have also become a part of textual industry to introduce Korean culture and raise our values by the coexistence of creativity and practicality.-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민화의 현대적 재구성을 통한 디지털 섬유패션제품디자인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Digital Textile Fashion Product Design by Modern Reorganization of a Folktal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곽경택-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wak, Kyung Taek-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섬유패션디자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텍스타일디자인-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TEXTILE & FASHION DESIGN(섬유패션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