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 0

휴대전화 설계를 위한 고령자 연령대별 인간공학적 사용특성 및 선호도 분석

Title
휴대전화 설계를 위한 고령자 연령대별 인간공학적 사용특성 및 선호도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Ergonomic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of Various Elderly Age Groups for Designing Mobile Phones
Author
김성훈
Alternative Author(s)
Kim, Sung Hoon
Advisor(s)
김정룡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고령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고령자가 될 연령그룹들은 소비의욕도 높으며 다양한 기능요구와 까다로운 구매기준을 내세우며 주요 소비자층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 연령그룹별 휴대전화 사용현황, 만족도 및 선호도를 조사 및 분석하여 미래의 고령자 연령층의 특성을 잘 반영한 휴대전화 설계 가이드라인 제작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실험 대상자는 젊은층(20세~44세), 예비고령자(45세~54세), 준고령자(55세~64세), 고령자(65세 이상)의 연령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연령그룹별 40명씩 총 160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준고령자와 고령자 그룹에서 실험을 진행할 때는 설문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1:1 심층면접 방법을 활용하였다. 설문지 개발을 위하여 휴대전화 설계요소를 참고문헌을 통해 모두 추출하고, 일반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용어들로 수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기능들에 대한 설문항목을 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설문문항은 사용특성에 대해 일반요소, 기능적 요소, 인지적 요소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만족도에 대해서는 물리적 요소, 기능적 요소, 감성적 요소, 인지적 요소, 또한 선호도에 대해서는 물리적 요소, 기능적 요소, 인지적 요소, 감성적 요소로 분류하였다. 사용특성의 분석결과 사용기간은 고령층이 될수록 휴대전화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디자인 때문에 구입 의사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젊은층 38%, 예비고령자 22%, 준고령자 22%, 고령자 10%를 차지하였다. 문자의 기능은 수신, 발신을 구분하여 사용특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고령자 그룹에서 문자 발신 보다는 수신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발신기능을 사용할 줄 모르는 비율이 25%, 수신을 확인할 줄 모르는 비율이 7%를 차지하고 있었다. 만족도의 경우 물리적 요소의 소리 부분은 고령자 그룹에서 높은 만족을 보였고, 기능적 요소의 부가기능에서는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인지적 요소의 아이콘은 젊은층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현재의 휴대전화 메뉴 개수에 대해 고령자는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선호도의 경우 물리적 요소의 버튼과 화면크기에 대해 고령자는 현재보다 큰 크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능적 요소에 대해 예비고령자는 부가기능을 현재는 잘 몰라서 사용을 못하지만 사용하고 싶은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적 요소의 외형 타입에서는 슬라이드 타입 선호도가 높게 나왔으며, 이는 디자인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의 고령자가 될 연령 그룹의 휴대전화 사용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고, 향후 고령자를 위한 휴대전화 설계 가이드라인 제작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our country goes into the aging society recently, the aged becomes one of the main interests. A preliminary old group has changed into the one of the main consumer groups with a strict purchasing standard and a high consuming desi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mobile phone, the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by the age group, and to build a database for guideline to design the mobile phone which is suitable for the preliminary old group. Forty people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they were chosen from four groups such as young, preliminary old, semi-old, and old groups. One-to-one in depth interviews were held with semi-old and old group to help their understanding.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selecting all design elements of mobile phone in many references in accordance with analysis objectives. And the terminology was modified to be easily understood by common people and classified into the similar types of elements. Function items made by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were supplemented to the questionnaire. Results of the investigate on use characteristics show that the aged use mobile phones more frequently as they grow older. Functional consideration was the only motive of purchasing cellular phone in the past. However, it was known that design is the new motive of purchasing mobile phone. Statistical investigate shows 38% of the young group, 22% of preliminary old group, 22% of semi-old group and 10% of the old group prefer design to functions when they purchase mobile phones. Receiving text message is more frequently used than sending it in the aged group. The 25% of people do not know how to send the message, and 7% of people do not know how to receive it. Sound function in the physical element was the most satisfactory element in the aged group, but additional service function in the functional element was the most unsatisfactory element in the aged group. Icons in the cognitive elements were the most satisfactory element in the young group. The aged group was so unsatisfied with the number of menu. Preference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 aged prefer big size, and the preliminary old group does not know additional service function exactly now but wants to use it greatly. The investigation on the shapes in the emotional element revealed that sliding type was preferred. This results from the preference for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basic research material on the use characteristics of cellular phones in the preliminary old age group. Therefore this is expected as useful data of guideline designing the cellular phone for the ag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47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33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DUSTRIAL ENGINEERING(산업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