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2 0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변화와 1997년 경제위기

Title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변화와 1997년 경제위기
Other Titles
The Changing Role of Korea Civil Society Movements and the Economic Crisis of 1997
Author
신정섭
Alternative Author(s)
Shin, Jung Sub
Advisor(s)
김성수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의 시민사회운동은 권위주의 정권들의 억압과 그로 인한 시민사회의 저발달 속에서 오랜 시간 암흑기를 맞아야 했다. 그러나 1980년 광주민주화 운동을 시점으로 조금씩 살아나기 시작한 한국의 시민사회운동은 1987년 6월 항쟁을 기점으로 하여 폭발적으로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경제성장을 통한 탈물질적 가치관의 확대와 시민사회의 급격한 성장은 시민사회운동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에 큰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시민사회운동은 1987년 6월 항쟁을 통한 한국사회의 민주주의로의 성공적 전환의 중심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양적 ? 질적 팽창은 긍정적 결과 이상으로 부정적인 면을 많이 만들어 내었다. 특히 시민사회운동의 지대추구화는 매우 심각한 지경에 이르러 있다. 민주화 이전 한국의 시민사회운동은 민주화라는 단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마다의 개별적 이익을 포기하고 하나의 목적을 위하여 단결하였다. 그러나 민주주의로의 전환이후, 공통적 목적을 상실해 버린 시민사회운동단체들은 이제 저마다의 지대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지대추구적 시민사회운동에 매몰 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1997년 재정위기와 IMF 관리체제라는 초유의 경제위기를 경험하며, 더욱 강해져 가고 있으며, 최근의 각종 여론조사에서 시민단체의 지지율과 신뢰성 하락이라는 지표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본 논문은 민주주의로의 전환기 이후 1997년 경제위기를 겪으며 나타나고 있는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급격한 지대추구화의 원인을 찾아내고, 이를 분석하는데 그 초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가 신사회운동이라는 규범적이고 가치 중심적인 모델을 기준으로 하여 한국의 시민사회운동을 재단하고 규정하는 것과 달리, 본 논문은 개인의 합리성과 조직의 동원능력을 강조하는 자원동원 모델을 추가적으로 도입하여 한국의 시민사회운동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시민사회운동 연구에 보다 객관적인 설명과 분석틀을 제공해 줄 것이라 기대된다.; The civil society movements in Korea had been through a long dark age due to the repression of the authoritarian regimes and the consequent underdevelopment of civil society. Having been revitalized spontaneously since the Kwangju Uprising in 1980, Korean civil society movements began to be expanded explosively starting from the 1987 June democratic struggle. Especially the expansion of post-material values through economic growth contributed in a way to the geometric increase of the civil society movements, which in turn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successful democratic transition of Korea through the 1987 June struggle for democratization. Thi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 of the Korean civil society, however, has generated as many negative by-products as its positive consequences. Especially the rent-seeking behaviors of civil society already became aggravated. The Korean civil society movements under the authoritarian rule were united to accomplish their single goal of democratization, setting aside their individual interests. After the democratic transition, however, it seems that the civil society groups, not having their common goal, are entombed in rent-seeking behavior of civil society movements pursuing only their particular gains or interests. This tendency has been even more intensified throughout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and the consequent national economic crisis under the management of IMF and began being visualized into an index indicating a notable drop in public support and confidence toward the civil society organizations. With this critical mind toward the Korean civil society movements, this thesis attempts to figure out and analyze the causes for their rent-seeking, which became evident after the period of democratic transition through the 1997 economic crisis. Unlike the existing studies that examine and define the Korean civil society movements based on a normative and value-laden analytical model of 'new social movement,' this thesis analyzes the Korean civil society movements by introducing additionally a resource mobilization model, which emphasizes on individual rationality and organization's mobilizing capacity, and it purposes to provide a more objective explanation and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studies on the Korean civil society movemen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40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26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정치외교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