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2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민-
dc.contributor.author황정호-
dc.date.accessioned2020-04-07T17:00:05Z-
dc.date.available2020-04-07T17:00:05Z-
dc.date.issued2008-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406-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539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현재 전세계적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미국의 해외주둔미군재배치(GPR)에 따른 주한미군재배치계획을 자세하게 살펴본 후, 그것이 주한미군의 역할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연구,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한미군사동맹의 문제점 및 발전방향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우리의 국가안보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는 정책적 시사점(implications)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53년 「한·미 상호방위조약」체결과 주한미군이 한반도에 주둔하게 된 시대적 배경과 함께 미국의 안보전략변천이 어떻게 작용하였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한·미 연합방위체제는 지난 반세기 동안 한반도의 평화를 보장하고, 한·미양국의 국가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한반도에서의 주한미군의 역할은 지난 몇 년간에 걸쳐 국내외적 요인에 의하여 근본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2001년 미국의 부시행정부는 ‘全世界的 방위태세’(Global Defense Posture)를 조정하는 ‘군사변환’(Military Transformation)정책을 실시하겠다고 표명하였다. 그리고 2001년 「4개년 국방검토보고서」(QDR: Quadrennial Defense Review)을 통해 ‘위협기반’에서 ‘능력기반’접근으로 변화시킬 것임을 밝혔다.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등장한 것이 바로 2003년 11월 25일 발표된 「해외주둔 미군재배치계획」(GPR: Global Defense Posture Review)이다. 그것은 ‘범세계 테러전쟁’(GWOT: Global War On Terrorism)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유사시 세계 어느 곳이든지 기민하고(more agile), 신속하며(fast), 경량화(leaner)된 모습을 갖춘 해외주둔미군을 동원하려는 정책이다. 이에 따라 90년대 초부터 유지되어왔던 주한미군 병력도 현재 3만7천명에서 2008년 말 2만5천명으로 축소될 예정에 있고,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주한미군 기지도 2012년까지 한강 이남의 경기도 평택, 오산을 중심으로 재편하고 전작전통제권을 2012년 4월 17일 한국 측에 전환하게 된다. 이것은 기존의 주한미군 감축 사례와 비교하여 그 본질적인 성격이 판이하게 다르다. 이것을 이해하는 것이 향후 우리의 주한미군 관련 정책 입안 시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인식은 한반도에서 발생 가능한 분쟁형태의 변화, 북한의 위협에 대한 군사적 대비태세 개념의 질적 변화, 그리고 향후 한·미동맹의 역할이 지리적, 정치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가정을 포함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입장에서는 무엇보다도 미국이 21세기형 하이테크(high-tech)군대를 지향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협력적 자주국방을 어떻게 추진하고 미군과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 그리고 연합지휘체계를 어떻게 구상할지 등의 장기적인 전략과 비전을 마련하는 것은 대단히 시급한 사안이라 할 수 있다. 전략적 유연성에 있어서 주한미군을 어떤 상황과 기준, 판단에 따라 동원할 것인지 수용 가능한 가이드라인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을 인정함과 동시에 한반도 유사시 미국의 안보 공약을 보장 받는 수단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주한미군의 전력변화 및 구조조정과 우리의 협력적 자주국방 추진계획 간의 연계성과 상호보완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이다. 우리의 국가안보정책은 한반도의 평화체제 형성과 나아가서는 평화적 통일을 이룩하여 동북아의 안보를 확고히 하는 것을 지향해야 한다. 지정학적으로 한반도는 미·러·중·일의 세계적 강국들로 둘러 싸여 있다. 내부적으로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냉전의 구도가 깨지지 않고 남과 북이 이념의 벽을 털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미국의 세계전략에 부응할 필요가 있다. GPR에 의한 주한미군의 변화된 역할을 ‘연루와 소외의 딜레마’같은 부정적 시각으로만 평가하면서 거부할 것이 아니라, 한반도 안보를 보다 강화시키는 계기로 만들기 위해 한·미동맹강화와 주한미군과의 적극적인 상호 운용성을 극대화하는 정책을 펼치는 지혜가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This paper aimed to study the redistribution plan of the U.S. Forces in Korea (USFK) established in line with USA’s Global Posture Review (GPR) currently underway on a global scale and analyze the plan’s effect on the changing role of USFK.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I wanted to examine the problems and possible future courses of the ROK-U.S. military alliance and deduce the policy directions that might be helpful in establishing our national security policy. Therefore,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gainst which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had been signed in 1953 and the U.S. forces had begun to be stationed in Korea and examined the effect of America's changing defense strategy on our national security. The ROK-U.S. combined defense system has ensured th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last half century and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both South Korea and the U.S. But the role of USFK in the Korean peninsula has seen radical changes due to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asons for the last few years. In 2001, USA’s Bush administration announced to carry out a military transformation that will realign the U.S. global defense posture. In the Quadrennial Defense Review Report 2001, they said that they would take "capabilities-based" approach instead of previous "threat-based" approach. As part of this policy, the Global Posture Review was announced in Nov. 25, 2003. GPR was designed to carry out the global war on terrorism more efficiently and reshape the overseas U.S. forces more agile, faster, and leaner so that they can be mobilized easily to anywhere in the world. In accordance with GPR, the 37,000 US troops in Korea today will be cut to 25,000 by the end of 2008. Also, the USFK military bases scattered around Korea will be consolidated into Pyungtaek and Osan bases in Kyonggi province, south of the Han River, by the year 2012. In addition, the wartime operational control will be transferred to Korea by Apr. 17, 2012. This situation is radical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ductions of USFK troops. Understanding this i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future planning of our policies regarding USFK.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involves knowing that the types of the potential disputes that can happen on the Korean peninsula have changed substantially and that the defense concept against threat from North Korea has changed qualitatively and assuming that the future roles of ROK-U.S. military alliance can expand both geographically and politically. Therefore, when the U.S. is pursuing to build high-tech military forces suitable for the 21st century, it is very urgent for us to have long-term strategies and visions, including how to build self-defense power in cooperation with USA, how to maintain "interoperability" with USFK, and how to design the future joint command system. With regard to strategic flexibility, it is necessary to deduce acceptable guidelines on the circumstances and criteria under which USFK can be mobilized. We need to acknowledge the strategic flexibility of USFK and at the same time to use it as a means to ensure the U.S. involvement in emergency situ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we need to carefully look at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reduction and restructuring of USFK troops and our self-defense plan. Our national defense policy should aim to build a peace mechanism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o establish peace in Northeast Asia by reunifying with North Korea peacefully. Geographically, Korea is surrounded by global superpowers like th US, Russia, China, and Japan. Also, the two Koreas are the only countries in the world where the cold war is persists. And North and South Korea could not yet overcome the ideological barriers between them. To achiev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against this backdrop, we need to adapt to America's changing global strategies. Instead of viewing the changed role of USFK due to GPR in a negative perspective within the context of "the dilemma of entrapment and abandonment between military allies," we need to build a policy that can reinforce the ROK-U.S. alliance and maximize the interoperability with USFK to enhance the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美國의 安保戰略과 駐韓美軍 役割變化에 관한 硏究-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America's Security Strategy and Changing Roles of U.S Forces in Korea.-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황정호-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wang, Jung-Ho-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정치외교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국제정치-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정치외교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