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4 0

학부모의 어린이집 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Title
학부모의 어린이집 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arents' Decisive Factors in Selecting a Kindergarten for Their Children
Author
최영훈
Alternative Author(s)
Choi, Young Hoon
Advisor(s)
한상우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대표적인 보육기관인 어린이집의 경우에 있어서 참여자중심의 관점에서 학부모의 어린이집 선택기준의 우선순위와 이러한 선택기준의 인적요인(부모, 연령, 교육)과 사회적 요인(직업, 소득, 자녀의 출생순위) 요인에 따른 차이를 실증적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어린이집이 운영과 보육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및 정책 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의 연구문제(research question)는 첫째, 학부모들의 어린이집 선택기준은 어떤 것인가, 둘째, 학부모들의 어린이집 선택기준들의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셋째, 학부모들의 어린이집 선택기준들은 학부모의 인적요인과 사회적 요인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이를 실증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노원구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낸 학부모 1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선택 항목별 중요도 분석의 결과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한 어린이집 선택항목별 중요도 조사에서 상위 순위를 차지한 항목들을 살펴보면, ‘교육내용과 방법’, ‘교사의 교육능력’, 그리고 ‘원장의 교육이념’으로서 학부모들은 교육의 질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둘째, 어린이집 선택 항목 간 중요도와 선호도 조사 양자 모두 상하 위 순위에 있어서는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즉 양자 모두 ‘교육내용과 방법’, ‘교사의 교육능력’, 그리고 ‘원장의 교육이념’을 상위의 고려 항목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셋째,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즉, 성별, 연령대, 직업, 소득, 교육, 자녀의 출생순위에 따른 어린이집 선택항목의 중요도와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커다란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넷째로, 어린이집 선택기준의 차이분석을 실시하여 어린이집 선택항목별로 해당 항목이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어린이집 선택에 있어서 1) 교육비 항목의 기준은 응답자의 직업유무에 따라서, 2) 교육시간과 관련된 기준 선택에 있어서는 응답자의 연령대와 교육수준, 그리고 자녀출생순위에 따라서, 3) 어린이집의 적정 위치와 관련된 기준 선택은 응답자의 연령대와 교육수준, 그리고 가계 평균소득 수준에 따라서, 그리고 4) 설립주체와 관련된 기준 선택의 경우는 응답자의 직업분류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5) 교사 1인당 적정 아동수의 경우는 아동의 연령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과 교육수준, 특히 자녀의 출생순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 학부모들의 어린이집 선택기준에는 그 중요성 , 선호도에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기준은 바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이라고 항 수 있으며 교육의 질에 따라 만족도와 평가 또한 달라진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현대의 어린이집의 기능이 교육기능에 학부모의 기대가 집중되어 있다고 하는 것이며 사회적 평등과 연대감을 조성하기 위해 공보육으로 인생의 출발점에서의 형평성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책임 하에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other such radical social changes, the traditional function of the family has been changed, and more and more married women were getting employed. Mainly by these reasons, the demands for kindergarten that are expected to do the role of bring up children instead of the parents are increasing. As for the parents, they could have decisive criteria in selecting a kindergarten for their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d suggest some ideas for improving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kindergartens by examining decisive criteria by which parents make a choice of kindergarten. In so far as the method of study is concerned,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for establishing theoretical foundation and field survey by questionaire including 181 samp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program. In order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And T-test and Chi-square analysis were employed.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parents regard the education as important role of kindergarten as well as child care. Second, among decisive criteria by which parents make a choice of kindergartens, quality and effective method of education is mostly important factor. The ration of a teacher to children,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conviction of the head of kindergarten are also important factors. Third, there found reliable differences of decisive criteria by which parents make a choice of kindergartens according to the age, sex, occupations, income and other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Concludingly, it is need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kindergarten to assure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in deciding the way and contents of the services. In order to widen service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service which would include the children, their mother, and the socie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12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25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