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4 0

시설청소년의 정보적 지지와 자아 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시설청소년의 정보적 지지와 자아 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Informational Support and Self-Esteem on Career Maturity of Youth in the Welfare Facilities
Author
박순영
Alternative Author(s)
Park, Soon Young
Advisor(s)
권기창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시설청소년들의 진로준비에 필요한 진도성숙도에 정보적 지지와 자아 존중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일반청소년과 비교하여 살펴본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설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의 분석틀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해당시설 선생님과 상담, 본 연구자가 시설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소년 진로교육프로그램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결과에 대한 차이검증을 위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다원변량,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보적 지지와 자아 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은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시설의 성별 비율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고, 일반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학년은 시설에서는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고, 일반은 중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는 일반청소년 시설청소년에 비해 학업성적이 좋은 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컴퓨터 사용시간은 시설청소년이 다소 높게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정보적 지지 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정보적 지지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청소년의 부모의 사회ㆍ경제적 지위에 따른 정보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설청소년은 부모의 사회ㆍ경제적 지위가 모두 하위그룹으로 가정하고 시설내의 후원자 유무에 따른 시설청소년의 정보적 지지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업성적에 따른 정보적 지지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자아 존중감 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자아 존중감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청소년은 부모의 사회ㆍ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아 존중감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청소년의 후원자 유무에 따른 자아 존중감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적에 따른 자아 존중감 차이 검증은 일반청소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설청소년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설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정보적 지지와 자아 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영향력의 크기(R2)는 진로성숙도_태도, 진로성숙도_능력, 진로성숙도_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비추어 다음과 같이 정책적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시설내에 진로지도 전문인력을 배치하여 시설청소년들이 전문적인 진로 지도 및 진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시설 청소년들의 기초학습 및 충분한 학습지도를 위하여 방과후 지역사회복지관,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관등과 연계를 통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시설청소년이 방학을 이용하여 미래의 직업을 체험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기업 및 기관과 연계하여 현장 직업체험의 기회를 정책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informational support and self-esteem on career maturity of the youth in the welfare facilities, in comparison with ordinary youth.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preceding studies and thereupon, set a framework of comparative research into career maturity between two groups of the youth and thereby, formulated the hypotheses. Then, the researcher design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o survey the teachers and the youth in the welfare facilities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based on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s of counselling the youth in the facilitie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using information support and self-esteem scales were processed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multi-vari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males were more than females in the welfare facilities, while females outnumbered males in the ordinary youth group. In terms of school grade, high schoolers outnumbered middle schoolers in the welfare facilities, and vice versa in the ordinary youth group.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the ordinary youth group were higher than the youth in welfare facilities, while the latter group were using more time with computer than the former group. Second, differences of informational support between sexes were not significant, while differences of information support among the ordinary youth group were significant depending on their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In contrast, assuming that the youth in welfare facilities were similar in terms of their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there wer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formational support among them depending on their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Informational support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academic achievement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subjects' self-esteem, it was found that their self-esteem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sex, while ordinary youth's self-esteem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The welfare facility youth's self-esteem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guardians, and ordinary youth's self-esteem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academic achievements, while welfare facility youth's self-esteem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academic achievemen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informational support and self-esteem on welfare facility youth's and ordinary youth's career maturity,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at the most influential correlation (R2) was found between career maturity_attitude, followed by career maturity_ability and career maturity_action in their order.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policy alternatives were put forwards; First, policy supports are required to deploy professional career counsellors at the welfare facilities who can professionally guide and advise their future career. Second, policy supports are required to link community welfare centers, youth training centers and youth culture centers to guide the youth in welfare facilities on their basic and advanced learning after school. Third, it is required of companies and relevant organizations to provide for the field opportunities for the youth in welfare facilities to experience their future job and plan it appropriatel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11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76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