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기창-
dc.contributor.author이경희-
dc.date.accessioned2020-04-07T16:44:01Z-
dc.date.available2020-04-07T16:44:01Z-
dc.date.issued2008-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111-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592en_US
dc.description.abstract영유아의 복지증진에 기초를 두는 보육 사업은 구빈적 성격을 가지고 시작되었으나, 사회의 변화와 다양한 욕구에 따라 아동과 부모의 복지권을 보장하고 사회발전을 도모하는 서비스로 발전하게 되었다. 더욱이 뇌발달과 조기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 부모들이 조기보육을 원할 뿐만 아니라, 영유아기 발달을 최적화하는 질 좋은 보육환경을 찾고 있다. 보육서비스의 질은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이 많은 연구들에서 밝혀졌듯이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양질의 보육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보육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보육시설장의 전문성을 파악하고 보육서비스 질과의 관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현재 실행되고 있는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과 보육시설장의 전문성수준을 파악하고, 보육시설장의 전문성과 보육서비스 질 간의 관계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먼저 분석의 틀을 설정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보육서비스 질의 척도는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 교육과정과 보육프로그램, 영양·건강·안전·위생, 가정 및 지역사회연계, 운영관리의 여섯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보육시설장의 전문성 척도는 보육신념과 철학, 보육시설의 목표와 정책, 보육운영 계획과 수립, 인사관리, 영유아관리, 물리적 환경관리,재정관리, 영양·건강·안전관리, 가정과의 연계, 지역사회와의 연계, 평가관련의 11개 영역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장의 전문성과 보육서비스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시 어린이집 보육시설장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를 실시하고 통계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국·공립 및 민간 어린이집의 전체적인 보육서비스 질적 수준은 평균 4.16으로 100점 만점에 83.3으로 ‘최소한의 기준이 통과된 부분적으로 우수한 수준’에 해당하였다. 보육서비스 질의 하위영역별 평균평점은 영양·건강·안전·위생이 87.0% 수준으로 가장 높고, 물리적 환경은 77.2%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둘째, 서울시 어린이집 보육시설장의 전체적인 전문성 수준은 평균 4.02로 전문성이 최소한의 기준을 통과한 상태로 전문성 향상의 기본여건이 갖추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전문성의 하위영역별 평균은 영양·건강·안전관리가 4.46으로 가장 높고, 보육시설의 목표와 정책이 3.45로 가장 낮았다. 셋째, 서울시 어린이집의 보육서비스 질 및 보육시설장의 전문성은 모두 본 연구에서 이용한 독립변수 중 연령별을 제외하고, 시설의 유형별, 성별, 학력별, 자격증별, 시설장 경력별, 보육시설의 보육교사 수 및 아동수별, 그리고 시설장의 월평균 급여별로 차이를 보였다. 국·공립 보육시설장 및 여성 보육시설장의 보육서비스 질 및 전문성 수준이 높았고, 학력이 높을수록, 경력이 많을수록, 보육교사 및 아동의 수가 많을수록 보육서비스 질 및 전문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보육시설장 전문성과 보육서비스 질 간에 상관관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질 전체와 시설장 전문성 전체의 상관계수는 0.94로 강한 관련성을 그리고 서비스 질 하위영역과 전문성 하위영역 간의 상관계수들도 상당한 관련성을 보였다. 따라서 보육시설장의 전문성 수준이 높을수록 보육서비스의 질이 높아지므로 시설장의 전문성 향상이 보육서비스 질의 향상과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보육프로그램 질에 영향을 미치는 시설장 전문성의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 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보육시설장 전문성의 11개 하위영역 중에서 7개의 영역이 신뢰도 9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보육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순서는 물리적 환경관리, 영양·건강·안전관리, 보육신념과 철학, 보육운영 계획과 수립, 가정과의 연계, 평가관련, 지역사회와의 연계 등이다. 따라서 서울시의 보육서비스 질적 향상을 위하여 물리적 환경과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그리고 평가관련에 질적 수준을 높여야 한다. 범국민적 차원의 보육 사업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향상 시킬 평가인증제를 도입 시행하게 되었는데, 보육종사자 특히 보육 시설장의 이해와 인식이 필요하다. 그리고 보육시설장을 대상으로 하는 보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공적인 관계형성에 관한 교과뿐만 아니라 평가에 관한 내용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보육시설장들이 보육시설을 대표한다는 신념을 갖고, 보육종사자가 업무에 충실하도록 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Originally, the daycare programs for the younger children's welfare started as poor relief programs, but as the society has changed with diversifying needs, the daycare programs have evolved into the services ensuring children's and parents' welfare rights and promoting development of the society. Furthermore, as people are more concerned about brain development and early child education, parents not only want their younger children to be daycared earlier but also seek for a quality daycare environment for optimizing development of their younger children. As demonstrated by many researches that quality of the daycare service depends on professionalism of day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their professionalism must be a core element for quality daycare services. Accordingly, in order to ensure successful daycare programs, it is necessary to examine daycare center directors' professionalism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rofessionalism and daycare service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urrent level of daycare service quality as well as the level of daycare center directors' professionalism and thereby,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levels. Above all, in order to set the framework of analysis, the researcher reviewed the theories and thereupon, divided the level of daycare service quality into 6 dimensions (physical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curriculum and daycare programs, nutrition/health/safety/hygienics, linkage between families and community, and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the level of daycare center directors' professionalism into 11 dimensions (belief in and philosophy of daycare, goals and policies of daycare center, planning of daycare services, personnel affairs management, management of younger children, financial management, nutrition/safety/security management, linkage between center and families, linkage between center and community, and evalu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aycare center directors' professionalism and daycare service quality,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180 daycare center directors in Seoul,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quality of the daycare services provided for by national and public children's houses in Seoul cored 4.16 on the 5-point scale on average being converted into 83.3%. Such a level of quality may correspond to 'partially excellent level with minimum criteria met.' Breaking down, the dimension of nutrition/health/safety/hygienics scored highest or 87.0%, while the dimension of physical environment scored lowest or 77.2%. Second, the overall level of the daycare center directors' professionalism scored 4.02 on average, which suggests that the fundamental of their professionalism is good with the minimum criteria met. Breaking down, the dimension of nutrition/health/safety management scored highest or 4.46, while the dimension of goals and policies of daycare centers scored lowest or 3.45. Third, daycare service quality and daycare center directors' professionalism differed depending on all the variable except for age: types of centers, gender, academic background, licenses, career, number of daycare teachers and children, and monthly income. Specifically, national/public daycare center directors and female directors were providing for a higher level of daycare services, demonstrating a higher level of professionalism. And the higher the academic background was, the longer the career was and the higher the number of daycare teachers and children was, the levels of daycare service quality and directors' professionalism were higher.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daycare center directors' professionalism and daycare service quality was high. The coefficient between overall service quality and directors' professionalism was 0.94, which means a strong correlation. And the coefficients between 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and those of directors' professionalism were also very high. Since the level of daycare center directors' professionalism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daycare service quality, it can be said that improvement of daycare center directors' professionalism would lead to higher daycare service quality.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factors of daycare center directors' professionalism affecting quality of daycare programs, it was found that 7 dimensions out of 11 ones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at the level of 95%. And the dimension of daycare center directors' professionalism affecting quality of daycare programs most was management of physical environment, followed by nutrition/health/safety management, belief in and philosophy of daycare, planning of daycare services, linkage between center and families, evaluation and linkage between center and community in their order. As suggested by the above findings, it is deemed required of the daycare centers to improve their physical environment, enhance their linkage with families and community and quality of evaluation.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has been introduced as a method of activating the daycare programs at the private level to improve the quality of daycare services, so daycare service providers, particularly daycare center directors are obliged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system. And it is also necessary to reinforce the contents of public networks and evaluation in the retraining and reeducation programs for the daycare center directors. Lastly, the daycare center directors are obliged to perform their duty as daycare service facilitators faithfully and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with the belief that they represent the daycare center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보육시설장의 전문성과 보육서비스 질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Emprical Study on the Professionalism and Its Service Quality of Day-care Center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경희-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Kyung Hee-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행정·자치대학원-
dc.sector.department사회복지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사회복지실천전공-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