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7 0

일 지역사회 저소득층 재가암환자 관리사업의 간호서비스 분석

Title
일 지역사회 저소득층 재가암환자 관리사업의 간호서비스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Nursing Care Service for Low Income Home-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ject in a Rural Community
Author
유수미
Alternative Author(s)
You, Soo Mi
Advisor(s)
김분한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analyzing the nursing care service performed by the community hospital and the public health center under the agreement for low income home-based cancer patients.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management project for them and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later on to develop the nursing service through the practical reflection. The research is done by the nurse specializing in domestic nursing care service who belongs to P hospital in P area and provides the nursing service to 60 cancer patients for nine month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general characteristicsof the recipients are that the female patients (53.3%) outnumber their counterparts (46.7%) and that most of the patients (73.4%) are advanced aged over 60 years old. Most of them (76.7%) have low academic backgrounds of or under the elementary school and some of them live alone with the reason of bereavement (28.3%) or separation (11.7%) from their spouse. The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disease are as follows. Gastric cancer (28.3%) takes the top place and lung cancer (18.3%), colon cancer (11.7%) and uterine cancer (10.0%) follow in order of percentage. The state of the patients is divided into three steps; 본 연구는 공공병원에서 보건소와 협약하여 저소득층 재가암환자 관리사업을 수행하였고 이 간호서비스 내용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대상자는 재가암환자로서 암 상태에 따라 치료중인 암환자, 암완치자, 말기암환자 등 3가지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대상자들에게 수행한 간호서비스 제공정도를 분석하여 향후 일 지역사회 재가암환자 관리사업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고 실무에 반영하여 간호서비스를 발전시키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P병원에 소속된 가정전문간호사인 본인이 경기도 P지역에서 9개월간 직접 가정방문 한 대상자 중 재가암환자 관리사업으로 암 등록되고 동의를 받은 저소득층 재가암환자 60명에 대하여 간호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재가암환자에게 제공한 간호서비스 내용을 방문 시, 기록하고 컴퓨터에 입력하여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성(53.3%)이 남성(46.7%)보다 많았고, 연령분포는 60세 이상(73.4%)의 고령인구 구성비를 보였다. 종교는 기독교(31.7%), 불교(16.7%), 천주교(5.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국졸이하(76.7%)가 대부분이었다. 가족형태를 보면 사별(28.3%), 이혼/별거(11.7%) 등의 순으로 가족 없이 혼자 사는 대상자로 나타났고 이는 가족제도의 변화로 인해 자녀와 함께 살기보다는 독거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리라 예상된다.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은 위암(28.3%), 폐암(18.3%), 대장암(11.7%), 자궁암(10.0%)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재가암환자의 암 상태별 분류는 치료중인 암환자(30.0%), 암완치자(36.7%), 말기암환자(33.3%)로 구분되었다. 암에 대한 병의 인식은 대상자가 암진단을 알고 있는 경우(81.7%)가 대부분이지만 알지 못하는 경우(18.3%)도 있었다. 말기암환자에서 말기상태인식(10.0%)은 보호자만 알고 대상자에게 비밀로 숨기기를 원하여 병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정확히 모르는 대상자(90.0%)가 대부분이었다. 대상자는 자신의 병에 대해 알권리가 있으므로 병명 통고, 사전의사결정 등이 선행되어야 하며, 의료진이나 가족은 생의 마지막 시간을 살고 있는 대상자에게 사랑의 돌봄으로 귀한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간호서비스 관련 특성은 대상자 60명에 대하여 9개월간 516회 방문, 5,173건의 간호서비스가 이루어졌다. 종결사유는 대부분(94.7%)이 사망, 기타(5.3%)로써 다른 지역으로 이주였다. 주간호자는 배우자(48.3%), 부모/자녀(26.6%)였고, 기타(25%)로 이는 저소득층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가족구성원 외 가사도우미, 지역주민, 자원봉사자 등 지역사회의 인적자원 연계로 돌봄을 제공받고 있었다. 저소득층대상자에게 보건의료 및 복지서비스가 함께 제공됨은 매우 바람직한 연계체계로써 관내 행정기관, 사회복지기관, 보건의료기관 등과 상호 연계되는 의뢰체계가 좀 더 확대되어 활성화 되어야 하겠다. 재가암환자의 암 상태와 관련 방문빈도(r=-.462, p<0.01), 간호서비스를 받은 기간(r=-.381,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대상자 첫 방문 후, 암 상태에 따른 서비스 유형 결정과 효과적인 계획 수립으로 간호서비스가 적절하게 기간적 분배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대상자에게 제공된 간호서비스는 보건복지부의 재가암환자 관리사업 지침서에서 제시한 7가지 영역별 내용을 보면 기본평가 및 서비스, 증상 및 통증조절, 특수간호서비스, 정서적?영적지지, 임종지지/사별 가족지지, 환자/가족 교육, 기타서비스 등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세부간호서비스는 정서적지지, 환자상담, 일상생활지원 서비스, 환자평가, 체위 및 안위간호, 가족상담, 투약, 증상 및 통증조절 등의 순으로 제공하였다. 재가암환자의 암 상태에 따른 영역별 간호서비스 제공정도는 특수간호서비스(F=5.409, p<0.01), 임종/사별 가족지지(F=35.76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종/사별 가족지지 서비스는 암병식 유무(t=-3.707, p<0.01)에 따라, 정서적?영적지지 서비스는 말기상태인식(t=2.122, p<0.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재가암환자 관리사업에서의 간호서비스 제공은 보건의료 및 복지 서비스가 함께 제공됨에 따라, 지역사회 유관기관의 긴밀한 협조, 호스피스 교육을 이수한 인적 자원 형성, 기관장의 관심 및 적극적 지원이 있어야 하고, 지역사회 내 재가암환자 관리사업의 교육, 홍보 등으로 공감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또한 재가암환자 암 상태별 대상자에게 전인적이고 개별화된 간호중재를 위해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시도될 필요가 있다.; undertaking patients (30.0%), fully recovered patients (36.7%) and terminal patients (33.3%). Most of the patients (81.7%) are aware of their state but the rest (18.3%) are not. In the case of the terminal ones, nine out of ten do not knowin which state they are because of their family members wanting to keep the secret from the patient. The nursing service comes to the end with the death of the patients in the most cases (94.7%). The persons tending the sick are mainly their spouses (48.3%) followed by their parents or children (26.6%). In the low-income brackets (25.0%), other than the family members, domestic helps or the neighbors or the community volunteers offer the care service through the connection of human resources within the community. Statistically, the state of the home-based cancer patients tends to show there is a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the visits (r=-.462, p<0.01) and the duration of nursing care service (r=-.381, p<0.01). Therefore, after the very first visit, the nursing care service should be properly divided and provided through the decisions on the right service forms and the formation of effective plans. The nursing services offered to the recipients are composed of seven lines presented by the guid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the home based cancer patients. The guide lines are the basic assessment and service, the symptoms and the control ofpains, special nursing services, emotional and spiritual support, supporting the death of the patients including the support of the bereaved, education on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the rest services. On this study, the researcher provides the emotional support, counseling the patients, service for daily life support, the assessment of the patients, nursing for their welfare accompanied by proper postures, counseling the family members, medication, symptoms and control pains in the order named. Among the services provided to the patients in the accordance with their states, the special nursing care services (F=5.409, p<0.01) and supporting the death of the patients including the support of the bereaved are statistically effective. The latter one (t=-3.707, p<0.01) is highly effective when the patients are aware of their own disease and states. The emotional and spiritual support (t=2.122, p<0.05) has a high effect on the terminal patients. The conclusion is that for the better future management project for the home-based cancer patients, nursing service should be provided with the medical treatments for health and welfare services as one. As a result, the following four conditions are recommended. First, the related agencies within the community should work closely. Secondly, cultivating the man power which completes the hospice training is necessary. Thirdly, the chief of the government of the community should concern and provide positive aids. Lastly, the institutional supports through the public relations about the project are needed to form common understandings. In order to promote the welfare of the patients and provide them with the holistic and individualized nursing care services, further studies need to be done in a constant and systematic wa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09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95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CLINICAL HOSPICE CARE(임상호스피스전문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