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9 0

응급실 &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와 의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Title
응급실 &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와 의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Other Titles
Recognition among Nurses and Doctors about the Death in ER & ICU
Author
전미희
Alternative Author(s)
Jeon, Mi Hui
Advisor(s)
김분한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응급실과 중환자실에 대한 간호사와 의사의 죽음인식 정도와 영역별 관련성 및 영향 요인을 조사함으로써, 의료인의 죽음인식에 대한 가치관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시 소재의 Y대학병원의 응급실과 중환자실에 6개월 이상 근무한 의사와 간호사 300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7년 10월10부터 2007년 11월 9일까지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질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동의를 구한 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죽음인식을 위해 측정한 연구도구로 죽음긍정, 죽음불안, 죽음관심, 생명존중의지의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차영례(2005)가 선행도구를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도구 신뢰도는 Cronbach's α = . 67~. 83이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t - 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응급실과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와 의사의 영역별 죽음인식에서 죽음부정(t=-3.323, p=.001)과 죽음불안(t=-2.537, p=.001)및 죽음관심(t=-2.261, p=.024)이 의사가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2) 간호사군과 의사군에서 영역별 죽음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나, 근무환경, 임상경력(F=3.345, p=.020)과 직위(F=5.375, p=.004), 종교, 결혼상태 및 자녀유무가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사군에서만의 죽음긍정과 죽음부정 정도가 관련성이 있어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이해에서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다 같이 고려한 간호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파악되며, 죽음긍정이 강한사람이 생명존중의지(r=.206, p=.00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군에서만이 죽음긍정과 죽음부정 정도(r=.179, p=.008)가 관련성이 있어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이해에서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다 같이 고려한 간호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파악되며, 죽음긍정이 강한 사람이 생명존중의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군과 의사군 모두에서 죽음불안이 높은 사람이 죽음관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병동뿐만이 아니라 응급실 및 중환자실의 간호사, 의사 모두에 있어서 올바른 죽음인식을 통하여 인간의 존엄성에 입각한 완화 의학적 진료 및 호스피스 완화간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문교육과 실습에 반영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survey how nurses and doctors working in ER and ICU recognize death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ir demographic variables or factors on such recognition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development of a program conducive to medical staff's desirable recognition of death,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300 doctors and nurses working for ER or ICU of 'Y'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for 6 months or longer, The survey lasted for the period from October 10 through November 9, 2007.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sample who had agreed to it. The scale of recognition about death consisted of affirmation of death, anxiety about death, concern about death and will to respect life. The scale had been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Cha Young-rye (2005).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Cronbach's α= . 67~. 83.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Win. 12.0 for t - 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nurses negated more (t=-3.323, p=.001), being more anxious about death (t=-2.537, p=,001) and more concerned about death (t=-2.261, p=.024) than doctors. 2) Although the factors affecting recognition of death differed between nurses and doctors, the major factors affecting recognition of death in both groups were working environment, length of clinical career (F=3.345, p=.020), status (F=5.375, p=.004), religion, marital status and children. In addition, only in nurses' group, negation of death was correlated with affirmation of death (r=.179, p=,008), which suggests that it would be possible for nurses to provide for nursing services in consideration of both affirmative and negative aspects of death. On the other hand, those who affirmed death much were more willing to respect life. (r=.206, p=,002). In both groups, those more anxious about death were more concerned about death. Accordingly, it is deemed essential to include a course of recognition about death in professional curriculum and practice programs for not only ER or ICU nurses and doctors but also other wards, so that they can provide for medical or hospice nursing services, being correctly conscious of death and respectful of human dign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09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91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CLINICAL HOSPICE CARE(임상호스피스전문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