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분한-
dc.contributor.author최영이-
dc.date.accessioned2020-04-07T16:42:53Z-
dc.date.available2020-04-07T16:42:53Z-
dc.date.issued2008-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091-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375en_US
dc.description.abstract죽음은 생명의 종말이며 재학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불확실한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있어서 죽음은 언제 다가올지 모른다. 특히 인생의 마지막 단계에 살고 있는 노인에게 있어서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준비하느냐에 따라 삶의 질이 달라짐을 생각할 때 이제는 죽음을 사회화하여 일상생활 안에서 죽음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자연스럽게 준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노인의 주 과업의 하나인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죽음준비에 대해 살펴보고 어떤 변인에 따라 이러한 인식들이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죽음준비교육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경기도 구리시에 살고 있는 60세 이상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경로당, 가정방문을 통하여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남녀 총 100명을 대상으로 총 20일간 구조화된 설문지와 개방형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처리 분석방법으로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인식정도는 SPSS 12.0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죽음준비 분석을 위해 내용분석을 하였다. 사후검증은 Scheffe test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노인의 죽음 인식은 연령과 성별, 종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결혼상태, 가족형태, 교육수준, 주거형태, 평균수입, 질병유무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죽음인식의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 해 본 결과, 노인의 연령이 64세 이하가 3.39± .34 으로 70세 이상 3.19± .29 보다 죽음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죽음의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 해 본 결과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는데 여자가 3.25± .27로 남자의 3.16± .15 보다 죽음인식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에 따른 죽음인식에 대한 차이를 확인 해 본 결과, 천주교가 3.32± .24,기독교가 3.29± .28, 유교가 3.29± .05, 기타종교가 3.20± .18, 없음이 3.17± .19 순으로 나타났다. 2. 노인의 죽음준비에서는 과거회상에서 자식의 뒷바라지를 위해 살았던 삶에 대해 자랑스러워했고 가장 감사한 일로는 건강하게 노년을 맞이할 수 있음에 대해 감사했으며, 살면서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많은 아픔과 갈등을 겪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후회스러웠던 일로는 자식의 불행을 꼽았다. 현재 소망으로는 남은 여생동안 해 보고 싶은 일로 여행이었으며 죽음이 임박했을 때 하고 싶은 일은 담담히 기다린다로 나타났다. 임종후의 당부로는 가족과 친구에게 건강하라는 말이었고, 장례에 대한 당부로는 화장이 매장보다 더 많았다. 노년기는 일생을 마무리 하는 시기로서 다가오는 죽음을 받아들이고 내면화 하는 것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을 위한 과제이다. 따라서 인간발달의 마지막이라 할 수 있는 노년기의 과정을 후회 없이 마무리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여 노인의 죽음인식과 준비를 돕는 지지적 간호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또한 노인의 평화로운 죽음을 도와주고 노인이 자신의 현실을 인식하고 수용하는 가운데 죽음에 대한 준비를 도와줄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Death is the end of life, and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relearn about death. Our modern men living in an age of uncertainty do not know when they would die. In particular, the aged people who live at the last stage of life will live a life of different quality depending on how they accept death and prepare themselves for it. So,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s whereby the aged people could learn to socialize death, accept it as part of their ordinary life and prepare themselves for in a natural 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how the aged people recognize death and prepare themselves for it and how different such recognition and preparation are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their education on death.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100 people aged 60 or older living in Guri-si, Gyeonggi-do by visiting the elderly houses or their homes, and then, surveyed them for 20 days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 open-ended one.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1.2.0 Windows program for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about subjects' recognition of death, contents analysis about their preparation for death, and Sheffe test as post-valid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Aged people's recognition of death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age, gender and religion, bu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marital status, family type, educational background, housing type, average income and diseas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age on their recognition of death, those aged 64 or younger (3.39±.34) recognized death more positively than those aged 70 or older (3.19±.29). Recognition of death differed depending on gender, too. Females (3.25±.27) recognized death more positively than males(3.16±.15). Religion affected their recognition of death differently: Catholics (3.32±.24), Protestants (3.29±.28), Confucianism (3.29±.05), others (3.20±.18) and atheists (3.17±.19). 2. In preparation for death, the aged people were most proud of their life supporting their children, while they were most grateful to their healthy retirement life. But they felt most painful and conflicting for financial difficulties. What they remorsed most was about their children's misfortune. What they wished most was a journey, and most of them said that they would wait for their death with equanimity if they were dying. At their death bed, they would wish their family members and friends to be healthy, and most of them wished to have their bodies cremated. The aged period is a time when the life would be concluded. So, the aged people face a challenge of accepting the upcoming death and internalizing it for their psychological comfort. Accordingly, it is required of our nurses to provide them with knowledge and information useful to their remorseless conclusion of their life and thereby, help them to recognize death positively and prepare themselves for it. In addition,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s which will help the aged people to meet a peaceful death, recognizing their reality and preparing themselves for death.-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노인의 죽음인식 및 죽음 준비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paration for Death in Elderl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최영이-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i, Young Yi-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임상간호정보대학원-
dc.sector.department임상호스피스전문간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호스피스전공-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