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0 0

노인의 기분상태와 건강 관련 삶의 질

Title
노인의 기분상태와 건강 관련 삶의 질
Other Titles
Mood state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Author
주정미
Alternative Author(s)
Joo, Jung Mi
Advisor(s)
김정아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노인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노년기가 길어짐에 따라 여러 가지 노인문제가 생겨나고 있고, 노인이 겪는 심리적 변화는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과 기분상태에 관한 연구는 노인문제를 해결하고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상 노인의 기분상태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관하여 살펴보고, 기분상태와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기분상태는 McNair 등(2003)이 개발한 POMS-B를 Yeun, Shin-Park(2006)이 한글화한 도구로 측정하였고, 건강 관련 삶의 질은 Ware, Sherbourne(1992)이 개발한 SF-36을 Han 등(2003)이 한글화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Y시 소재 일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만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한 138부의 설문지를 SPSS WIN 12.0을 이용해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여자가 50.7%로 약간 많았고, 평균연령은 71.72세였다. 최종학력은 초졸 및 중퇴가 27.5%, 직업은 퇴직상태가 45.7%로 가장 많았다. 월평균 수입은 평균 56만2천원이었고, 주거형태는 자가가 76.8%, 결혼상태 는 기혼이 68.8%로 가장 많았고, 가족형태는 부부만 사는 경우 40.6%, 독거 17.4% 로 나타났다. 평균 자녀수는 3.15명이었고, 평소 가장 많은 관심과 도움을 주는 사 람은 자녀 47.1%, 배우자 44.9%로 나타났다. 유병률이 가장 높은 질환은 고혈압으 로 52.9%였고, 그다음은 만성 요통 46.4%, 관절염 42.0%, 당뇨병 26.8%, 시력장애 18.8%순으로 나타났다. 질병 수는 최고 8개까지 분포하였으며, 130명(94.2%)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개의 질병을 가진 노인 이 39명(28.3%)으로 가장 많았다. (2) 대상 노인의 기분상태는 기분장애총점이 평균 13.77점이었고, 하위 영역별로 긴장 4.35점, 우울 3.69점, 분노 3.80점, 활기 8.07점, 피로 4.01점, 혼돈 5.99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은 하위 영역별로 신체적 기능 관련 삶의 질 64.02 점, 신체적 역할 제한 관련 삶의 질 74.41점, 통증 관련 삶의 질 70.42점, 일반적 건강 관련 삶의 질 57.03점, 활력 관련 삶의 질 56.43점, 사회적 기능 관련 삶의 질 82.52점, 감정적 역할 제한 관련 삶의 질 81.22점, 정신 건강 관련 삶의 질 69.53점 으로 나타났다. (4) 대상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기분상태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무학, 초졸 및 중퇴자가 대학원 이상 졸업자보다, 별거중인 대상 자가 기혼자보다, 독거노인이 부부만 사는 경우 보다, 자녀가 없는 경우가 자녀수 3~4명, 1~2명, 5명 이상보다 기분상태가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만성요통, 관절 염, 시력 장애, 악성 종양, 협심증 등이 있는 경우, 질병 수가 없거나 1개인 경우 보다 3개 및 5개 이상인 경우 기분상태가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 한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무학, 초졸 및 중퇴자, 중졸 및 중퇴자가 대학원이상 졸 업자보다, 월세에 사는 노인이 자가나 전세에 사는 노인보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관절염, 만성 요통이 있는 경우, 질병 수가 1개인 경우 보다 5개 이상인 경우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 노인의 기분장애총점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역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분상태가 나쁠수록 건강 관련 삶의 질도 낮으며, 기분상태가 좋을 수록 건강 관련 삶의 질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기분상태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들이 확인되었으며, 노인의 기분상태가 건강 관련 삶의 질과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노인을 간호하는 간호사들은 노인이 기분상태를 긍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일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전체 노인에 대한 자료를 대변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배경의 노인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기분상태 및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를 이용한 반복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기분상태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무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elderly people's mood states and thei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HRQoL),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solving the aging problems and for framing a policy for improving HRQoL of the elderly.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POMS-B was used to assess the mood states. And also the Korean version of SF-36 was used to assess HRQoL. The survey was conducted upon the aged people over 60 who are using one elderly welfare center in Y city, Korea. 13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WIN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of their POMS(mood states) were as follows: The total mood disturbance(TMD) was 13.77, tension(T) 4.35, depression(D) 3.69, anger(A) 3.80, vigor(V) 8.07, fatigue(F) 4.01, and confusion(C) 5.99. (2) The mean scores of their SF-36(HRQoL) by the subscales were as follows: The physical function(PF) was 64.02, role physical(RP) 74.41, bodily pain(BP) 70.42, general health(GH) 57.03, vitality(VT) 56.43, social functioning(SF) 82.52, role emotional(RE) 81.22, and mental health(MH) 69.53. (3) The analysis for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mood states by the differen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has shown that the mood states of women were worse than those of men, that the under educated people were worse than the highly educated ones, that the separated couples were worse than the married couples staying together, that those living alone were worse than those living together with mates, that people having no child were worse than those having children, and that the more diseases people were suffering from, the worse their mood states were. (4) The analysis for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HRQoL) by the differen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has shown that the HRQoL of women was lower than that of men, that the HRQoL of the under educated people was lower than that of highly educated ones, that the HQRoL of those living in houses with monthly rental payment was lower than that of those living in their own houses or in rented houses on the deposit basis, and that the more diseases one was suffering from, the lower his HRQoL was. (5)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is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mood disturbance score and the HRQoL. That is, the worse the mood states grow, the lower the HRQoL becomes, while the better the mood states grow, the higher the HRQoL becomes. It has been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old adults have effects on their mood states and thei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tha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mood states and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 geriatric nurses should try hard to maintain their patients' good mood states and so to improve thei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08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37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GERONTOLOGICAL NURSING(임상노인전문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