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 0

中小企業 共同브랜드 支援事業의 活性化 方案

Title
中小企業 共同브랜드 支援事業의 活性化 方案
Other Titles
The Revitalizing Strategy of Joint Brand Supporting Project for Small & Medium-Sized Companies
Author
이환우
Alternative Author(s)
Lee, Hwan-Woo
Advisor(s)
정요섭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경영 환경은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 경제의 글로벌화, 업종의 전문화 그리고 기술혁신으로 요약되는 변화와 개혁으로 급변하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 입장으로서 무한 경쟁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한정된 자원과 열악한 경영여건으로 다른 기업과 정면 승부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다수의 중소기업이 연합하여 자신의 축적된 역량을 바탕으로 공동 협력을 통한 저비용, 고효율 전략을 실현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추진하게 된 것이 공동브랜드 전략이다. 정부와 지자체에서도 이러한 공동브랜드의 장점과 역할을 인식하고 1996년도부터 지원사업을 실시해 오고 있으나, 당초 기대했던 것처럼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지 못하다. 정부에서 최근 실시한 실태조사에 의하면 등록된 공동브랜드 중 59%만이 사용되고 있으며, 참가업체 중 54% 정도만 사업에 참가하고 있고 나머지 업체는 이탈하였다고 한다. 또한 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브랜드 지원사업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개선책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에서 각각 실시하고 있는 중소기업 공동브랜드 지원 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개선 대책을 강구하여 봄으로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되었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문헌조사는 물론 정부와 각 지원기관에서 실시한 조사 및 분석 보고 결과 등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첫째, 중앙정부의 대책으로, 공동브랜드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중소기업체가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인식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고객 및 잠재고객에 대하여 공동브랜드의 존재를 알리고 다른 사업자와 차별화할 수 있는 우수한 제품을 공동브랜드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사후관리를 함으로써 공동브랜드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정부는 그런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이를 도입하고 있는 중소기업자를 보조하고 행정적인 뒷받침을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의 대책으로, 지자체 브랜드 내지 공동브랜드의 농수산물이나 특산품 비중을 줄이고 공산품 비중을 확대하여야 지역 경제에 더 큰 도움이 된다. 또한 지자체장의 정치적인 목적에 따른 브랜드 선정, 전시행정 의도의 이벤트성 행사를 지양하여야 한다. 농민이나 지역주민의 이해관계를 고려하기 보다는 중소기업 육성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중앙정부에서도 각 부처별로 경쟁적인 지역브랜드 지원시책을 실시함에 따라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행자부를 중심으로 법률 제정을 준비중에 있다고 하나, 하루 빨리 관련 법령을 정비하여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지방의 공동브랜드 사업이 이루어져 지방 경제가 활성화되고 지역 중소기업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Today, business circumstances have been drastically changed by diversification of consumer's demands, market globalization, specialization of business category and technical innovations. It is inefficient and restrict for small and medium companies to compete with other large & powerful big companies for the purpose of surviving endless struggles, wherefore they have limited resources and inferior capabilities to managing business. Therefore, a number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 have come up with Joint Brand strategy as a breakthrough to carry out cooperative low-cost, high-efficiency technical specialty of industrial participants. Recognizing the merit and importance of Joint Brand for small and medium companie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f Korea have been supported their strategy since 1996, but the results were not good enough. According to the recent report of actual research on Joint Brand operated by Korean government, 59 % of the registered Joint Brand were used only, and 54 % of the recognized members (companies) were participated and the rest members were separated from Joint Brand. It has also been asked to improve the system of Joint Brand supporting program presented by local government. This research is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Joint Brand supporting programs which are presented by governmental level. Refering to sundry records of preceding studies, checking and analyzing annual or actual reports edited by supporting organization, the suggestion w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present policy for Joint Brand companies that their cooperative unity is very important, systemic and strategic marketing activity is necessary. Also central government should support Joint Brand users to be a winner of competition via a Joint Brand. Second, local government should aware that Joint Brand of industrial goods is more efficient than that of agricultural or regional products for the promotion of regional economy. Third, complicated policies of Joint Brand should be arranged to a law which are competitively presented by ministries of central government. Finally, this research is hoped to be helpful to ministries, organizations, companies and researchers who are planning and relating to Joint Bran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05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07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BUSINESS ADMINISTRATION[E](산업경영대학원) >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