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6 0

재개발아파트내 임대주택 혼합 유형 및 커뮤니티시설 배치유형별 주민 인식에 관한 연구

Title
재개발아파트내 임대주택 혼합 유형 및 커뮤니티시설 배치유형별 주민 인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sident of recognition in the housing development apartment classified by type of mixing and facilities distribution : In case of the Rental Housing Redevelopment in Seoul
Author
송선영
Advisor(s)
구자훈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연구의 목적은 중대규모 재개발 아파트 단지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재개발 아파트 단지 내 임대 주택과 분양주택의 분리혼합양상을 파악하고 과정을 거쳐 실증조사를 통해 커뮤니티배치 특성에 따른 유형화를 통해 커뮤니티인식을 밝히는데 있다. 또한 커뮤니티시설의 배치특성에 따라 통합 및 분리에 따른 배치 특성별의 차이를 나타내고 커뮤니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개선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주택재개발사업에 있어 바람직한 주택재개발아파트의 주거환경을 만드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서 총 86개의 서울시 재개발임대아파트를 분리단지와 혼합단지로 구 분한 뒤, 부대복리시설의 의무설치기준인 300세대 이상으로 중대규모의 주택재개 발 임대아파트에 대하여 커뮤니티시설 배치 특성을 유형하여 6개 항목으로 구성된 커뮤니티의식의 영향 변인을 통제하여 대표성을 지닌 사례대상지를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단지배치특성에 따른 혼합단지, 분리단지와 커뮤니티시설의 배치 특성 에 따른 각 단지배치특성에 따른 단지 각각 유형1과 유형2로 분류 하여 총 4곳의 대상지를 통해 설문조사와 주민면접이 이루어졌다. 사용된 설문지는 김광복 (2005)의 선행연구을 통해 Hillery의 정의와 Mcmillan & Chavis의 구성요소 (1986), 국내 김경준(1998)의 도구 등을 종합하여 작성한 커뮤니티 의식에 관한 14개 문항과 지리적 영역, 사회적 상호작용, 분양주택과의 상호관계, 주거환경의 평가, 커뮤니티시설의 이용행태, 일반 사항 등 총 40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실증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티의 형성기반인 지리적영역의 확인결과, 혼합형단지는 좁게 나타 났으나 분리형단지는 넓은 영역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혼합형단지는 분양주택과 의 물리적 경계는 없지만 심리적인 경계가 확실히 구분되어 있음을 확인 하였다. 둘째, 커뮤니티 형성 과정인 사회적 상호작용인 경우 분리형 단지가 혼합단지보다 조금 높은 수준으로 나타냈으며 긍정적인 이웃관계가 형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커뮤니티 형성결과인 커뮤니티의식을 측정한 결과 혼합단지보다 분리단지 가 높은 수준의 결과를 보였다. 혼합단지의 경우 정서적 연대감항목이 낮게 나타났 는데 이는 노인, 조부모 가정, 젋 은 세대 등의 다양한 계층으로 인한 이질감을 가 지고 있었다. 분리단지의 경우 구성원의식이 낮게 나타났는데 주민교류의 중심인 주민자치회의 활동이 미비하거나 없는 것에 대한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커뮤니티시설의 만족도와 이용행태를 측정결과 혼합 분리단지 구분없이 모 두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시설 이용빈도도 많지 않았다. 이는 시설의 배치 가 분양주택에 편중되어있고 임대주택단지 내 시설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은 것에 대한 결과로 해석된다. 단지배치특성 및 시설 배치 특성에 따른 주민의식차이를 분석하기위해 분산분석 결과 첫째, 단지배치특성 및 시설 배치 특성에 따른 만족도 분석을 통해 커뮤니티 시설의 배치유형에 따라서 만족도의 차이는 없으며 단지배치특성에 따라 만족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지배치특성 및 시설 배치 특성에 따른 이 용행태의 분석결과 보육시설, 어린이놀이터, 노인정이 단지배치 특성에 따라 이용 빈도에 차이를 나타내고 반면 생활편익시설, 운동시설, 휴게시설, 산책로는 단지배 치특성에 따라 시설이용빈도에 차이가 없다. 또한 커뮤니티 시설 배치에 따른 이용 행태의 분산분석 결과 생활 편익시설, 휴게시설, 어린이 놀이터는 커뮤니티시설배 치특성에 따라 시설이용행태에 차이가 있는 반면 보육시설, 운동시설, 노인정, 산 책로는 단지배치특성에 따라 시설이용행태에 차이가 없다. 셋째, 커뮤니티시설 이 용행태 및 시설 배치 만족도에 따른 커뮤니티의식 분석 결과 커뮤니티 시설 이용 행태에 따른 커뮤니티의식 분산분석 결과 보육시설, 생활편익시설, 산책로는 커뮤 니티시설이용행태에 따라 커뮤니티의식에 차이가 있는 반면 운동시설, 휴게시설, 어린이놀이터, 노인정은 커뮤니티시설이용행태에 따라 커뮤니티의식에 차이가 없 다. 또한 커뮤니티 시설 이용행태에 따른 커뮤니티의식 분산분석 결과 생활편익시 설, 휴게시설, 노인정은 커뮤니티시설의 만족도에 따라 커뮤니티의식에 차이가 있 는 반면 보육시설, 운동시설, 어린이놀이터, 산책로은 커뮤니티시설만족도에 따라 커뮤니티의식에 차이가 없다. 본 연구를 통해서 임대주택주민들의 커뮤니티 환경개선을 통한 커뮤니티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제언 한다. 첫째, 단지 내 혼합 방식의 개선방안으로 거주자 특성을 고려한 사회경제적 계 층의 혼합필요하다. 단지 내 편법적으로 경계 형성이나 주택의 디자인등 색채로 인 한 이질감 계획 요소를 극복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단지배치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커뮤니티시설에 대한 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임대분양주택의 사회 적 혼합을 위한 사회적 지원 방안으로 분양주택과 더불어 임대주택에 대한 공공관 리 활성화 통한 민간과 공공의 협력체계가 필요하다. 또한 커뮤니티시설 수준의 향 상과 다양화를 위해 커뮤니티활성화 증진을 위해 관련된 시설 설치 및 유지 관리, 재정적 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의 지자체, 정부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 대책이 마련하여 분양주택과 임대주택의 차별화 해소와 커뮤니티시설과 연계한 공동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임대주택단지의 관리 및 개선방안으로 커뮤니티시설에 대한 설치기준을 주택재개발단지에 고려할 떄 동등한 수준으로 함께 공유 할 수 있는 배치적 기준의 재검토와 소규모의 임대주택을 분산배치 하여 분양임대주택간 의 이웃과의 교류 가능성이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ourse in the segregation and to examine and evaluate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middle & large sized leased apartment according to the site layout characteristic and community facility layout characteristic. And second purpose is to find the ways to raise the sense of community after look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recognition. For the purposes of the research, the total eighty six redeveloped apartment complexes were divided into 'segregation complex' and 'mixture complex' and some representative were chosen among middle & large sized leased apartment complexes with more than 300 apartments which have the neighborhood convenience facilities by controlling variables associated with sense of community. Through this, one ordinary divided complex and one ordinary mixed complex that has the of community convenience facilities as the objective of comparison were chosen, make the study more reliable, surveys and interviews were administrated. The 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were composed of 43 items including 14 items of the sense of community based on the related theories (Hillery, Mcmillan & Chavis, Kyung Joon Kim), geographic area, social interaction, relations with resident's of Sold Apartment and etc. The summarization of the results of the surveys is the following facts. First, in the geographic area, a general leased complex is relatively narrow and a segregated complex with the neighborhood convenience facilities is wide. And, a mixture complex has a psychological boundary from sold apartments though not having any visual boundary. Secondly, general leased apartments have low 'socially mutual effects' which are also the part of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Thirdly, a segregation complex has higher measurements of 'sense of community' than a mixture complex does. The segregation complex which has the neighborhood convenience facilities has a high level of 'sense of community'. In mixture complexes, the emotional familiarity is low ald this seems because of negative results following the phenomena that the elderly or the disabled live alone. In segregation complexes, the sense of community is low and this seems because community committees are disappearing. On the other hand, in some segregation course of the sense form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04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99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RCHITECTURAL DESIGN(도시건축설계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