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3 0

공동주택 커뮤니티공간 배치유형별 이용행태 분석 을 통한 커뮤니티활성화 방안 연구

Title
공동주택 커뮤니티공간 배치유형별 이용행태 분석 을 통한 커뮤니티활성화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community revitalization with analysis on users' behaviors of the outdoor community space by location patterns in multi-family housing
Author
서주환
Alternative Author(s)
Seo, Joo Hwan
Advisor(s)
박진아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A Multi-family house which influenced urban planning and layout of urban functions of cities in Korea has been a representative of housing types from an apartment house in early 1960s to the latest residential However, a multi-family house didn’t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because of only having concentrated on the supplying without considering the behavior patterns of residents Thus, many social issues such as the weakness of community membership have come out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their outdoor spaces for the community participation and public services haven’t satisfied residents who use the spaces. We have tried to figure out how to activate community membership and participation with the traditional method which analyzes position of physical circumstances such as community spaces and public services, so called, point-allocating analysis of individual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ty and residents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However, we found such point-allocation analysis methodology with one layer structure can’t cover all up and explain researchers everything but multi-laid, multi-related and three dimensional space allocating method turned out through "How can we unify community spacesand the behavior patterns of residents?" In this research, I assume just a simple allocation of community spaces and structures couldn’t exactly understand the behavior patterns of residents and activate community activities in the field and labs. For these reasons, this research unveils details that physical circumstance influences residential behaviors frequently and variously. This also presents how we activate community membership and participation through move-line community space design, community space relationship analysis, multi-laid community allocation structure and residential behavior analysis. I define 4 types. Pedestrian-vehicle coexistence, orthogonally separated pedestrian streets from main vehicle roadways, separated parallel pedestrian streets from main vehicle roadways and out-circle promenade roadway that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researched for multi-residential complex development for years which should involve most concepts of move-line community space design, community space relationship analysis, multi-laid community allocation structure and residential behavior pattern analysis. I researched use-rating, use-hour, user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which produce social effect and behavior variety. This research shows how to determine multi space type from function, mixed space ratio and three dimensional community space relationship according to residential behavior pattern analysis and figure out what physical circumstanc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ffect to determine fertilized community space allocation that is from what I interviewed current residents.; 1960년대 초 아파트가 건립되기 시작하여 최근 뉴타운건설에 이르기까지 공동주택은 우리나라 도시구조의 형성과 기능배분에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주거형태를 대표하는 유형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단 시간 내 대량공급이라는 과제를 안고 출발한 공동주택사업은 주거의 질적인 면보다 양적인 면에 치중하여 주택보급을 계획함으로써 외부공간에 대한 주거환경의 질을 그다지 향상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들 때문에 최근 공동주택을 비롯한 도시주거에서 지역공동체의식의 약화 등 많은 사회적 문제가 제기되어왔고 특히 공동주택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의 구성과 참여 등에 거주민들의 바람직한 반응을 얻고 있지 못하며 공공시설의 이용과거주자의 만족도등이 크게 미흡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해결방안으로 공동주택단지내의 커뮤니티공간의 활성화방안을 모색하고자 과거 많은 연구들은 공동주택단지의 개별 커뮤니티공간의 위치나 시설의 물리적인 특성의 차이 즉, 점적인 시설로서의 개별적인 커뮤니티공간과 거주자의 커뮤니티의식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왔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적인 개별 커뮤니티공간의 위치나 시설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커뮤니티공간들의 상호 연계성 과 공간과 공간간의 중첩을 통한 복합화 등 새로운 공간체계방식을 통하여 “커뮤니티공간(내용)과 거주자의 이용행태(행태)를 어떻게 밀접하게 정합화 하는가?”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이 개별적인 커뮤니티공간의 위치나 배치특성은 커뮤니티공간에서의 행위의 본질적인 이해 그리고 보다 활발한 커뮤니티활동의 유도에 학술적으로 또 실무 실천적으로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가정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는 동선형 커뮤니티공간과 다른 커뮤니티공간간의 상호 연계성,공간과 공간의 중첩을 통한 복합형식을 중심으로 커뮤니티공간의 배치특성을 유형화하여 거주자의 커뮤니티공간에서의 일상생활과 행위분석을 통하여 커뮤니티공간의 어떤 물리적, 환경적인 요인이 커뮤니티행위의 발생빈도와 행위의 다양성에 기여하는가를 보다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개별적인 위치적 특성에 관계없이 어떻게 하면 커뮤니티활성화를 촉진 할 수 있는가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대한주택공사에서 시공한 수도권의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사례연구들 통하여 커뮤니티공간의 배치특성을 동선형 커뮤니티공간을 중심으로 다른 커뮤니티공간과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유형화 하였으며 그 유형은 크게 보차공존형, 보차직교분리형, 보차평행분리형, 외곽순환분리형의 총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커뮤니티공간의 4가지유형별 이용행태관찰을 통하여 이용율, 이용시간, 이용자특성, 행위유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각 유형별 커뮤니티공간에서의 발생하는 행위의 사회성과 다양성에 대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세 번째, 공간형 커뮤니티공간의 관찰조사구역별로 공간의 기능, 혼합도, 동선형 커뮤니티공간과의 연계성을 기준으로 복합유형을 분류하고 각 관찰조사구역별 이용자행태조사을 통하여 활성화된 커뮤니티공간과 비활성화된 커뮤니티공간을 선정하고 선정된 장소를 이용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면담조사하여 거주자들이 활성화된 커뮤니티공간의 장소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적 지원요소를 파악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03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26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RCHITECTURAL DESIGN(도시건축설계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