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4 0

공동주택단지 부대·복리시설 공급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공동주택단지 부대·복리시설 공급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nge of Supply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Facility in Apartment Housing
Author
민형기
Alternative Author(s)
Min, Hyung Ki
Advisor(s)
여홍구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정부의 지속적인 주택공급정책으로, 2002년 우리나라 주택시장은 전국 주택보급률 100%를 초과하게 된다. 하지만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이 거주하는 수도권에서의 주택공급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는 수도권으로의 지속적인 인구유입과 1인가구의 증가 등의 원인 이외에도, 전반적인 소득증가와 의식수준의 변화, 그에 따른 주거지에 대한 선호도가 변화하면서, 실제 국민들이 선호하는 일정 수준 이상의 주택에 대한 공급부족, 대량 생산적 주택공급으로 발생한 획일적인 주거환경으로 인한 주거선택의 다양성 부족 등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공동주택단지는 크게 거주자들이 생활하는 주택과 거주자들의 사회, 경제, 문화 등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들로 구성되어 있다. 주택부분은 계획가들에 의해 수준향상과 다양성 확대를 위한 다양한 연구와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주거생활을 지원하는 시설들은 과거에 비해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으며, 이에 관한 연구 또한 주택부문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동주택단지 내 시설들의 공급특성변화를 분석하여, 공동주택단지 부대ㆍ복리시설 적정 공급면적 기준설정을 위한 시설 공급면적 결정요인 분석과 이를 통한 시설의 수준향상과 다양성 확대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73년 ~ 2006년까지 수도권 500세대 이상의 149개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부대ㆍ복리시설인 관리사무소, 주차장, 조경시설, 어린이놀이터, 주민운동시설, 경로당, 주민공동시설, 보육시설, 문고의 공급특성변화를 분석하였다. 공급특성분석에서는 공동주택단지의 단지특성, 설치기준의 변화와 부대ㆍ복리시설 공급면적과의 상관관계를 해당시설이 설치된 전체시기와 설치기준의 변화가 없었던 시기로 구분하여 거시적, 미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설 공급면적 결정요인으로는 단지특성인 세대규모, 단위세대 평균면적, 개발밀도, 건설시기 등과 설치기준에서의 기본설치면적, 최소설치면적, 가산방식에 있어서의 가산비율과 세대수의 세분화단계 등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설별, 시기별로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1975년 ~ 2006년까지 대상기간 전반에서 단위세대당 시설면적이 증가한 시설로는 주차장, 경로당, 주민공동시설, 보육시설, 문고 등이며, 관리사무소, 조경시설, 어린이놀이터, 주민운동시설 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설기준의 변화가 없었던 시기에 관리사무소, 조경시설은 단위세대당 시설면적이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거시적 관점에서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과거 설치기준 이상으로 공급되어졌던 시설이 차지하고 있던 단지내 공간을 다른 시설들이 차지하면서 발생하는 시설비율변화 현상으로 해석된다. 그 외에 단지별 계획특성에 따른 차이도 시설면적 결정에 일정수준이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엇보다도 시설에 대한 거주자들의 수요와 선호도는 다른 시설공급면적 결정요인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공동주택단지 부대ㆍ복리시설 적정 공급면적 기준설정은 기존에 이루어지던 거주자 설문조사 등을 통한 수요분석만으로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으며, 실제 공동주택단지에 공급되어지고 있는 공급현황분석을 병행함으로서 보다 현실적인 시설 공급면적 적정기준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공동주택 단지내 시설의 수준유지와 계획차원에서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모두 보장할 수 있는 적정수준의 시설 공급면적 설정기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onstant growth of government's housing supply, in year 2002 Korean Housing Market reached over 100%. Housing supply is still lacking in the Metropolitan areas where over 50% of the people live nationwide. Constant population increase in the Metropolitan areas, the increased number of single family housing and also increase in salary, change in behaviors lead to preferred diversification. Due to those reasons popularity of residence has changed and leaded to lack of preferred level of housing and mass production of standard housing created lacking in diversities of housing. The Apartment Housing is formed with devices to support residences social, economical and cultural activities. Wide researches and testings from planners have improved level of standard and variation of housing part, but facilities that support the residential life have not changed much and also the research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Construction Standard Regulation' defines as Apartment Housing. Analyze the change in supply characteristics of inside facilities of Apartment Housing and standards space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study from 1973 to 2006, 500 residents of 149 apartment housing are used as a data to analyze the change of supply characteristics of major community welfare facilities like control offices, parking areas, gardening facilities, children's playgrounds, resident exercise areas, areas for aged, resident public facilities, nursery schools and libraries. In the change of supply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is focused on macroscopic and microscopic point of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Housing, change of installation standard and space supply of public facilities. The primary factors in determining the supply space of facility are characteristics of complexes, the size of the resident, the average space of resident, the density of development,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from installation standard point basic installation space, minimum installation space and property formula which showed property ratio and housing units frictionize level. But the comparison of correlation between each facility and period result varied. In macroscopic point of view from 1975 to 2006, increased facilities per unit of residence are parking space, areas for aged, public resident spaces, nursery schools, libraries and etc. At the same time, control offices, gardening facilities, children's playgrounds and resident exercise areas have decreased. When there was no change in basic facilities, control offices and gardening facilities have increased per residence unit facility space which the result is contrary to macroscopic result. Also the characteristics in plans per unit effects the facility space decision. Most of all the residents demands and preference also can strongly effect on the other facility space decision. From this study, Apartment Housing community welfare facility's supply installation standard has a limit in defining only using the demand data from the resident surveys. Collaboration of real provided Apartment Housing supply characteristic analysis can lead to realistic solution in facility supply space standard. This can maintain high standard of various and autonomic standard level of supply facility space of Apartment Housing.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02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26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MANAGEMENT(도시개발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