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4 0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과 공무원의 조직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과 공무원의 조직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act of a Local Government Chief Executive's Leadership and Public Official's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a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With an Emphasis on Public Official in Seoul
Author
최송이
Alternative Author(s)
Choi, Song-Yi
Advisor(s)
정우일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공공조직에서도 공익의 실현이라는 목표달성과 함께, 조직효과성을 중심으로 하는 공공관리가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공공조직에서는 공공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시장메커니즘의 도입이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제도개선과 더불어 단체장의 리더십, 공무원의 태도 등은 조직의 목표달성에 중요한 과제로서 작용한다.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 주어진 직무 외의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데, 조직시민행동이라는 것은 공익적 태도의 다른 표현이기 때문에 사기업보다 공공부문에서 더 필요하며 조직유효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며 핵심적인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조직을 대상으로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연구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자치구 공무원을 대상으로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과 공무원의 조직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표본추출을 위해서 지방자치단체장의 출신배경, 지역권역별, 민석재직 경험유무등으로 분류해본 결과 서울시 중구, 강남구, 강북구, 양천구를 선정하였으며 해당 공무원 8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 중 70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는 2007년 8월 20일부터 9월 14일까지 총 4주 동안 실시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과 신뢰도 타당도분석, 차이검증으로 T-Test, ANOV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수인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과 공무원의 조직몰입과 종속변수인 조직시민행동간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상급자의 행태가 부하들의 행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선행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공무원의 조직몰입 중에서 규범적 몰입과 정서적 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주안점이자 기존연구들과의 차별성을 둔 모형인 리더십과 조직몰입 통합모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선행연구와 일치되는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기존의 단편적 모형과 본 연구의 통합모형을 비교해 보았을때 조직시민행동의 스포츠맨십이 부(-)의 영향력을 미쳤다는 것에 대한 분석을 도출할 수 있었다. 셋째, 조직시민행동의 하위요인에서 시민정신의 설명력이 가장 큰 모형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이타주의, 예의성, 스포츠맨십 순으로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그동안 경영학분야에서 연구되어 오다가 최근 들어 행정조직에서 연구되고 있는 조직시민행동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단편적이며 미흡하던 행정학 분야에 조직시민행동의 중요성을 깨우치는데 공헌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을 두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과 공무원의 조직몰입을 통합하여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하지만 지역적 한계에 따른 일반화의 문제점과 횡단적 연구에 대한 한계, 그리고 자치구의 최고관리자인 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한 설문으로 인해 객관적인 응답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 중관관리자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는 한계를 지니며 이에 대해 후속연구에 제언으로 남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92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09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