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8 0

문화예술지원정책의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Title
문화예술지원정책의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livery System of the Support Policy in Culture and Art
Author
서광
Alternative Author(s)
Seo, Kwang
Advisor(s)
정우일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문화예술 지원정책의 전달체계가 어느 정도인지 그 현상과 수준을 밝히는 데 목적을 갖고 공연예술관련 기관종사자 30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속성에 따른 지원정책으로서의 제도, 시설, 항목과 전달체계의 조직력, 전문인력, 재정력, 정보력에 따른 질적 분석을 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 지원정책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지원시설에 있어서는 공연 및 전시시설(M=2.81)에 대한 지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공연예술(M=2.55), 지역문화 복지시설(M=2.35), 문화 보급 전수시설(M=2.27)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원항목에 있어서는 문화예술향수기회확대(M=2.33)부분의 지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예술보존계승교류(M=2.21), 예술창작 진흥(M=2.10)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문화예술 지원정책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지원제도에 있어서 남성의 경우 여성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지원항목의 문화예술향수기회확대, 예술보존계승교류에 있어서는 여성이 다소 높게 나타나 성별에 따라 각 지원부분에 대해 인식에 차이를 보였다. 셋째, 문화예술 지원정책 전달체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문인력(M=2.22)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력(M=2.19), 재정력(M=2.03)순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력(M=1.94)은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문화예술 지원정책 전달체계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지원 금액의 지급 시기나 수준, 형태 등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평가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미혼의 경우 기혼에 비해 지원관련 안내, 정보제공 등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평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현 지원정책이 공연 및 전시시설 중심으로 지원이 집중되고 있어, 이는 기존의 관련 연구들에서 지적된(문광부, 2003; 박경귀, 2001; 박상언, 2003; 윤용중, 1997) 지원정책의 편중 현상을 뒷받침해 주었다. 특히 전달체계에 있어서, 당해 부문의 문화예술 전문인력이 아닌 일반 공무원이나 담당직원이 타 업무와 병행하여 다룸으로써 전문성 결여에 따른 문화예술지원을 받는 단체와의 커뮤니케이션 부족과 단체의 운영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갈등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원속성에서도 지원제도 자체의 정책과 운영이 가장 중요시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원 제도의 체계적인 정착미비에 따른 창작활동이나 환경개선에 실질적인 단체의 지원이나 제도, 절차, 까다로운 승인 등으로 수혜를 받고 있는 경우가 극히 제한적임을 입증시켜 주었다. 따라서 각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지원정책의 전달체계의 중요성을 고려해 볼 때, 이에 상응한 제도적 체계의 확립이나 실질적인 다양한 개선노력이 현실적으로 미비한 상황에서, 전달체계의 확립과 개선을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and the level of the delivery system of the support policy in culture and art . With 300 persons engaged in performance art organizations, from qualitative analysis in not only system, facility and item as support policy but also organization power, specialists, financial power and information power as delivery system,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upport policy in culture and art, in light of support facility, performance and exhibition facility ranked atop (M=2.81), followed by performance art (M=2.55), local culture welfare facility (M=2.35) and culture distribution transmission facility (M=2.27) in order. In light of support item, support for culture, art and enjoyment opportunity extension (M=2.33) showed atop, followed by art conservation inheritance interchange (M=2.21) and art creation promotion (M=2.10) in order. Second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o see if perception of the culture and art support policy is different by demographical attributes, perception of support system is a bit higher in men than in women whereas perception of support items, i.e. art and enjoyment opportunity extension and art conservation inheritance interchange, showed a bit higher in women. Thi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each support section was different by sex. Third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elivery system of the support policy in culture and art , specialist was ranked the highest (M=2.22) and information power (M=2.19), financial power (M=2.03)followed. Relatively, organization power (M=1.94) was ranked the lowest. Fourth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o see if perception of the delivery system of the support policy in culture and art is different by demographical attributes, by sex, the women assessed payment time, size and type of support amount more important than the men. By marital status, the single assessed guidance and information about support more important than the married. From the said findings, support by the current support policy is being centered on performance and exhibition facility, which backs the unevenness phenomenon of the support policy pointed out by the existing relevant studies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2003; Kyunggwi Park, 2001; Sangeon Park, 2003; Yongjung Yoon, 1997). In particular, as for the delivery system, it can be guessed of big conflicts from the lack of communication with the organization receiving culture and art support and from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organization operation due to lack of specialty since a general public officer or staff in charge who is not a specialist of the concerned culture and art sector handles the matters together with other duties. Although policy and operation of support system itself out of the support attributes showed most weighed, it was proved that because of unsettlement of support system, very limited creative activities or environment improvement is actually benefited by organization’s support, system, procedures and complicate authorization. Therefore,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delivery system of the support policy that each section worker perceives, it is required of the effort to establish and improve delivery system as in reality it lacks of actual, diverse efforts to establish a system corresponding to the importance or improve a syste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92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53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