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7 0

중년여성의 우울경험

Title
중년여성의 우울경험
Other Titles
Depressive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an
Author
최선희
Alternative Author(s)
Choi, Seon Hee
Advisor(s)
이정섭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우울경험을 하는 중년여성 참여자로부터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사회적 관계라는 상호작용 속에서 어떤 경험을 공유하고 있으며, 그리고 그들의 입장에서 그 문제의 중심현상은 무엇이며, 어떠한 행동 패턴이 있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실체이론 개발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문제는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중년여성의 우울 경험의 구조는 무엇인가?’로 선정하고, 자료의 수집과 분석은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순환적으로 이루어졌다. HDRS의 점수가 8점 이상 16점 이하로 경도 정도의 우울로 판단되는 자로 항우울제 복용 등 우울과 관련된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자를 선정하였다. 심도있는 면담은 연구자와 참여자 사이의 신뢰가 바탕이 된 인간관계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임의 표집으로 선출하였다.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1차 수집은 2007년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하였으며, 2차 수집은 2008년 1월 1일부터 2008년 3월까지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면담에 참여한 중년여성은 12명이었다. 참여자의 연령은 39세부터 54세(평균 46.5세)이며, HDRS의 평균 점수는 11점이었다. 개방코딩 과정에서는 참여자들과 면담한 자료의 분석을 통해 개념 추출, 범주화를 시행하였다. 이 범주들의 속성과 차원을 발달시켜 나가는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7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이 개념을 동일한 맥락으로 묶어 28개의 하위범주가 생성되었으며, 이러한 하위범주를 더욱 추상화시킨 11개의 범주로 재조직하였다. 축코딩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분석결과, 중년여성 우울경험의 인과적 조건은 ‘어긋남’과 ‘경제적 어려움’이었으며, 중심현상은 ‘가라앉음’이고, 맥락은 ‘부담감’과 ‘관계성’이고, 중재적 상황은 ‘감정표현의 여부’와 ‘자기 돌아다보기’이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나 홀로 접근’과 ‘서로 함께 접근’이고, 그 결과는 ‘끌어올려짐’과 ‘남음’이었다. 선택코딩에서의 핵심범주는 ‘자리매김’이고, 이것은 ‘가라앉음’을 해결하는 과정이었다. ‘자리매김’이란 일정한 기준에 따라 사물의 값이나 등수 따위를 정하는 것을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자신을 찾고 재발견하고 인식의 변화를 가져와 자기자리를 다시 찾는 것을 말한다. ‘가라앉음’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버거움’, ‘헤매임’, ‘안정’, ‘배려’ 등의 4단계를 거쳐 상호작용/ 전략의 행동변화를 나타내었고, ‘자리매김’에는 ‘투사형’, ‘분출형’, ‘체념형’, ‘승화형’ 등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하여 자신을 현실로부터 보호하고 유지하여 나가려는 즉, 자신의 역할을 다하기 위하여 적응하는 행위라고 할 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간호사는 중년여성의 우울경험이 자신을 지키기 위한 과정이라는 점을 이해하고, 시간적 흐름의 맥락을 고려한 단계별, 특징으로 분류한 유형에 따른 체계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대처 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substantive theory which can explain the core phenomena and behavior patterns of middle aged women by presenting how they share their experiences in the interaction termed social-relationships and how to manage the experiences based on individual situation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12 middle -aged women 40-59 years ol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ose participants and microanalysis method was applied for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analytic procedures and techniques of this study is followed the Grounded Theory methods suggested by Strauss & Corbin(1998). Making constant and line-by-line comparative analysis of data, concepts,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were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Open Coding, analysis of categories and process by paradigm was found through Axial Coding, and core categories were developed by Selective Coding. The essential 78 concepts, 28 sub-categories, and 11 categories in Open Coding in terms of their properties and demensions related to middle- aged women's depressive experience. The causal conditions of Depressive experience in middle aged women were 'difference','poverty'.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burden' 'relationship', and phenomenon was 'come down' and interventive condition were 'expression of emotion', 'concentration of by self'.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approach oneself', 'approach together' and result 'go up rising', 'remain'. Selective Coding is core phenomenon of integrative categories, 'stable position' from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re category and the other categories, hypothetical statements were generated, thus four types were derived as follows: ' projective type', 'spouting type', 'resignative type', 'sublimative type' Action change expose of action/ interaction strategies were 'burden' -'roaming' - 'stable' - 'consideration' in time flow. Four of which were the phenomena that appeared when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stable position'. In conclusion, the founding of this study found that participants connected their emotion, thinking and understanding to behavior through the 'stable position'. Thus the 'stable position' could approach professional care process. This study can offer some very useful data in mapping out the strategies related to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s a profession, nursing must continue to explore the caring meaning and process in Depressive experience of middle aged women.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on professonal caring process in different contexts can contribute to a better explanation of the milddle-aged women's depressive experienc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85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12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