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탁영란-
dc.contributor.author우해영-
dc.date.accessioned2020-04-06T17:24:11Z-
dc.date.available2020-04-06T17:24:11Z-
dc.date.issued2008-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84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009en_US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status of cancer screening behavior, specially for gastric cancer and colorectal cancer performed by community population and to identify the correlated and contextual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determination for a cancer screening in Korea Gastric and colorectal cancers were chosen as target cancers of the study because these cancers screening rates were relatively very low among major prevalence of cancer in Korean. The national-wide representative sample of 2798 adults aged ≥ 50 years for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nd 4625 adults aged ≥ 40 years for gastric cancer screening were derived form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r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Ⅲ). This study investigated sociodemographic, health behavioral and contextual factors associated with gastric and colorectal cancer screening in sampl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different association between gastric cancer and colorectal cancer screening. In gastric cancer screening, income, job, health insurance, self-reported health status, weight control, health examination, regular exercise, smoking, and low salt diet were significant as individual level varaible, and area of residence and perceived level of income were significant as contextual level variable. In colorectal cancer screening, income, self-reported health status, family history of cancer, health examination, weight control, regular exercise, smoking were significant among individual level variables, and area of residence and perceived level of income were significant in contextual level variable. In conclusion, individual and contextual level variables were significant associated factors for predicting on gastric and colorectal cancer screening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by the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may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nd intervening early cancer screening program for gastric and colorectal cancer with integration of individual and contextual associated factors..; 암은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질병중의 하나이며 주요 사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암의 발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사망원인의 25%를 차지하고 있다. 암 발생으로 인한 개인적, 사회적 그리고 국가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암 조기 검진이 매우 중요하다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암 검진율은 매우 저조한 실정이며, 그 중에서도 위암과 대장암의 검진율은 발생률에 비해 매우 저조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암과 대장암의 조기 검진율을 파악하고 조기 검진 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암 검진율을 높이기 위한 자료로 이용하기 위해 시도 되었다. 본 연구는 2005년 국민 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위암 검진 행위 관련 조사는 위암 검진 권고 기준 연령인 만 40세 이상의 남녀 462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장암 검진 행위 관련 조사는 대장암 검진 권고 기준 연령인 만 50세 이상의 남녀 2798명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위암의 검진율은 약 32%, 대장암의 검진율은 약 20%로 나타났고 위암 검진 행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개인적 수준의 변수인 일반적 특성 변수와 건강행위 변수를 추가한 모형에서는 월평균 소득, 주관적 건강인식상태, 의료보장 종류, 건강검진 경험, 체중조절 노력, 규칙적 운동, 흡연, 과일 및 야채 섭취, 싱겁게 먹기 등이 위암 검진 행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개인적 변수에 지역수준의 지역특성 변수를 모두 포함한 모형에서는 월평균 소득, 주관적 건강인식상태, 직업, 의료보장 종류, 건강검진 경험, 체중조절 노력, 규칙적 운동, 흡연, 싱겁게 먹기, 거주 지역, 지역의 소득수준 인식정도가 위암 검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변수를 나타났다. 대장암 검진 행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개인적 수준의 변수인 일반적 특성 변수와 건강행위 변수를 추가한 모형에서는 월평균 소득, 주관적 건강인식상태, 암 가족력, 건강검진 경험, 체중조절 노력, 규칙적 운동, 흡연, 과일 및 야채 섭취 등이 대장암 검진 행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개인적 변수에 지역수준의 지역특성 변수를 모두 포함한 모형에서는 월평균 소득, 주관적 건강인식상태, 암 가족력, 건강검진 경험, 체중조절 노력, 규칙적 운동, 흡연, 싱겁게 먹기, 거주 지역, 지역의 소득수준 인식정도가 위암 검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변수를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위암과 대장암 모두에서 중 개인 수준의 변수와 지역 수준의 변수를 모두 포함한 모형의 적합도가 더 높게 나타나 암 검진 행위를 설명하는데 있어 개인수준의 변수뿐만 아니라 지역 수준의 변수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임을 알수있다. 그러므로 추후 암 검진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을 마련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연구결과라 할 수 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위암과 대장암의 조기 검진 행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correlated and contextual factors of Gastric and Colorectal cancer screening-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우해영-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Woo, Hae Yo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간호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