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9 0

산후 6개월 이내 산모의 산후 우울 정도와 예측 요인

Title
산후 6개월 이내 산모의 산후 우울 정도와 예측 요인
Other Titles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Predictors at 1 to 6 Months Postpartum in Korea
Author
유정미
Alternative Author(s)
Ryu, Jung Mi
Advisor(s)
유은광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인터넷을 통한 간결화된 연구도구를 이용해 산후 우울 정도와 관련요인, 예측 요인을 파악하여, 산후 우울의 위험이 있는 여성을 보다 실용적으로 조기 발견하고, 예방 및 조기 중재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08년 1월 21일부터 2008년 2월 29일까지 Daum과 Naver 내 포털 사이트의 임신, 출산관련 카페를 통해 설문동의 메일을 보낸 후 연구동의를 허락한 국내에 거주하는 산후 6개월 이내의 산모 104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 선정 및 간결화를 위해 분만 8주 이내의 산모들을 대상으로 6개월간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출산 후 여성들의 산후 우울 정도와 산욕기에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파악한 결과를 바탕으로, 산욕기 산모들의 어려움과 현실을 한국판 에딘버러 산후우울측정도구(EPDS)(10문항), 가족지지 측정도구(4문항), 부부관계 질 척도(DAS)(5문항), 생활사건 척도(3문항), 양육 스트레스 측정도구(PDH)(6문항), 자아 존중감 측정도구(4문항)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산과적, 영아, 수유방법, 산후조리 특성 및 연구 변수(가족지지, 부부 관계의 질, 부정적 생활사건의 경험, 양육 스트레스 및 자아 존중감)의 특성은 서술통계를 이용하였고, 일반적, 산과적, 영아, 수유방법, 산후조리 특성과 산후 우울과의 차이 및 상관관계는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5가지 연구변수와 산후 우울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후 우울의 예측요인은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산후 우울 평균은 10.96점으로 점수범위는 0~27점이었으며, EPDS Cut-off 점수 12점 이상인 여성은 전체 104명 중 41명으로 39.4%를 차지하였으며, 이들의 산후 우울의 평균은 17.56점이다. 2. 대상자의 일반적, 산과적, 영아, 수유 방법 및 산후조리 특성과 산후 우울간의 차이 및 상관관계를 검정한 결과, 산후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및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 연구변수는 산후조리 경험(F = 12.127, p = .000)에 따른 대상자의 반응 및 연령(r = -.22, p = .027), 생리시 감정변화(r = .21, p = .031)과 임신 중 우울한 감정(r = .37, p = .000)이었다. 3. 가족지지정도, 부부관계 질 척도, 부정적 생활사건, 양육스트레스, 자아 존중감과 산후 우울간의 상관관계를 검정한 결과, 산후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 연구변수는 가족지지정도(r = -.48, p = .000), 부부관계의 질(r = -.30, p = .002), 양육스트레스(r = .23, p = .021), 자아 존중감(r = -.57, p = .000)이었다. 그러나 부정적 생활사건(r = .09, p = .377)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4. 산후 우울 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이들 예측변수가 종속변수인 산후 우울 여부를 예측하는 모형은 유의하였으며(χ??= 38.42, p = .0001), 이 모형의 산후 우울 예측율은 41.8%이었다. 회귀모델에서 유의한 설명변수로는 가족지지 정도(χ??= 6.74, p = .009)와 자아 존중감(χ??= 11.64, p = .001)이었으며, 가족지지도가 높을수록 산후 우울의 발병위험도는 낮아지고(OR = .74), 자아 존중감이 높을수록 산후 우울의 발병위험도는 낮아졌다(OR = .43).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국내 산후 우울 정도는 39.4%로 기존의 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산후조리시 별 이유없이 우울을 호소할수록, 나이가 어릴수록, 생리시 감정변화와 임신 중 우울한 감정이 심할수록, 가족지지와 부부관계의 질, 자아 존중감이 낮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산후 우울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산후 우울을 예측할 수 요인으로는 가족지지와 자아 존중감이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설문을 통해 간략화된 연구도구를 이용한 연구결과가 선행연구와 다르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산후 우울 조기 발견 및 조기 치료를 위해 산후 우울 정도에 따라 적절한 간호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인터넷 이용이 용이한 국내에서 추후 인터넷을 이용한 실용성 있는 산후 우울 조기 발견을 위한 좀 더 타당성과 신뢰성이 연구도구 및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im.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postpartum depression, its relationship with general factors, and its predictors at 1 to 6 months postpartum. Background. Postpartum depression has been associated with risk for mother's mental health, mother-infant interactions, and family's happy adaptation and so on. Methods. Particiants were 104 Korea women at 1 to 6 months postpartum who had used online cafes about pregnant, delivery, and childcare from January to February 2002. Research instruments that were compendious based o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for 6 months included survey of various characteristics(general, obestetric, infant's, breast feeding methods, and Sanhujori'), depression(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family support(Family Support Scale), quality of conjugal relations(Dyadic Adjustment Scale), life event stress, childcare stress(Parenting Daily Hassles), and maternal self-esteem(Stability of Self Scal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logistic regression. Result. The point prevalence of postpartum depression(EPDS 12) at 1 to 6 months postpartum was 39.4%. Postpartum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mood state according to menstration period, depression mood during pregnancy period, experience of Sanhujori, family support, quality of conjugal relations, childcare stress, and maternal self-esteem. Logistic analysis revealed that two variables, family support and maternal self-esteem, significantly explained the variance in EPDS scores. Conclusions. Family support and maternal self-esteem are important in predicting postpartum depression. Therefore, in the antenatal period healthcare professionals should assess family support and maternal self-esteem, help their family provide appropriate ways to support pregnant women, and encourage them to improve their self-esteem through nursing intervention with program development and counseling.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84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87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