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난영-
dc.contributor.author채경숙-
dc.date.accessioned2020-04-06T17:23:59Z-
dc.date.available2020-04-06T17:23:59Z-
dc.date.issued2008-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844-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698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한 치매 노인의 수면양상을 파악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위해 시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2008년 1월 3일부터 1월 6일까지 총 4일간 I시 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치매 노인 49명을 대상으로 Lewis와 Masterton (1959)에 의해 개발된 수면 차트를 임난영(1985)이 수정 보완한 수면양상측정도구에 의해 수면양상을 24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81.98±6.87세였고, 여자가 43명(87.8%)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고혈압을 포함한 질환이 19명(38.8%), 불면증이 없는 군이 38명(77.6%)으로 나타났다. MMSE-K 5점 미만과 5~14점 이하군, 수면안정제 사용 경험군과 비사용군은 각각 51%, 49%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2. 대상자의 수면양상을 총 4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총 수면시간의 4회 평균은 10.49±2.94 시간이었으며, 이중 밤잠시간은 81.32%이었고, 총수면시간의 20%정도를 낮잠시간으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 중 깬 횟수는 평균 .88± .88회로 나타났다. 3. 대상자가 깊은 수면을 취하지 못한 이유는 화장실 출입이 13명(26.52%) 으로 가장 많았고, 소음이 10명(20.4%), 기저귀 교환 및 체위 변경이 7명(14.29%), 배회, 중얼거림이 각각 6명(12.24%) 순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양상을 분석한 결과 여성노인의 총수면시간이 남성노인보다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병특성에 따른 수면양상에서는 수면안정제 사용군이 비사용군보다 밤잠시간이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 점수의 평균은 2.09± .69점 이었으며, 이중 식사하기가 1.76±. 70으로 식사하기를 가장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욕하기가 2.47± .68로 가장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활동과 대상자의 수면양상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수면양상 중 총 수면시간, 밤잠시간, 낮잠시간, 총 깬 횟수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면시간이 많을수록 총 밤잠시간과 낮잠시간이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깬 횟수와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치매 노인의 수면양상을 살펴본 결과 수면의 양은 평균 10시간 이상으로 비교적 많은 양의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깊은 수면이 80%정도이고, 낮잠이 20%로 낮잠시간이 밤잠시간에 비하여 비교적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러므로 낮잠시간을 줄이고 낮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신체활동을 격려할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e for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quality of sleep by surveying sleeping pattern of elderly patient with dementia in geriatric hospital. The survey method is observation of sleeping pattern throughout 24 hours from January 3, 2008 to January 6, 2008 during 4 days for 49's dementia personnel over 65 years old in geriatric hospital, by using the measuring tool of sleeping pattern originated by Lewis & Masterton (1959), developed by Nan Young Lim (1985). SPSS/WIN 12.0 program i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utilizing the frequency, ratio of hundred parts, average &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verage age of the observed is 81.98±6.87 and women are in large part as 43 personnel (87.8%), 19 personnel in disease including hypertension, and 38 personnel with no insomnia (77.6%). MMSE-K 5 below and 5 to less than 14, the consumer group of sleeping sedative drug and the needless group show similar distribution with 51%, 49% respectively. 2) The sleeping pattern is checked for 4 times, and the results shows that average of the total sleeping time is 10.49±2.94 hours, in which 81.32% in night and about 20% in day. 3) The number of wakeup times during sleep is average .88±.88. The reasons of non-deep sleeping are as follows; 13 personnel for bathroom (26.52%), 10 personnel for noise (20.4%), 7 personnel for diaper and changing position, and 6 personnel for wandering and muttering. 4) In general, sleeping time of women are significantly more than men's. And for the case of sleeping pattern with disease, the sleeping time of the consumer group of sleeping sedative drug are significantly more than the needless group's in night sleep. 5) K-ADL average of the observed is 2.09±.69, in which eating is 1.76±.70 as most easing, bathing is 2.47±.68 as most difficultness. And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sleeping pattern and the K-ADL. 6) As the result of checking the relationship in the sleeping pattern, the more total sleeping time, the more total night & day sleeping and no relationship with wakeup times. In conclusion, inspecting sleeping pattern for the elderly patient with dementia, quantity of sleeping time is over 10 hours with sufficient as 80% of deep sleeping. As 20% of napper, the day sleeping has more portion with comparison to the night sleeping. Therefore, development of a proper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s needed to promote physical activities by utilizing daytime efficiently and reducing the nap.-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한 치매노인의 수면양상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Sleeping Patter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Geriatric Hospital-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채경숙-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ae, Kyung Suk-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간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노인전문간호사과정-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