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8 0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민요분석과 지도방안 연구

Title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민요분석과 지도방안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for an educational guide and the analysis of folksongs in middle-school textbooks on music
Author
박민혜
Alternative Author(s)
Park, Min Hye
Advisor(s)
박소현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교 9종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민요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검토하고, 민요가창 수업의 효율성을 목적으로 학습자의 잠재력과 창의력 을 계발할 수 있도록 수업지도안을 연구한 것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중학교 1 . 2 . 3학년 9종의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제재곡 중 민요 의 비율은 83.2%로 교과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가창의 종류는 가곡, 가사, 단가, 민요, 시조, 잡 가, 판소리, 창작국악곡으로 그중 민요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국 악교육에 있어서 민요가 가장 많은 활용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음악교과서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민요를 학습목표에 따라 가창 . 기악 . 창작 . 감상의 활동영역으로 분석한 결과 민요학습의 주된 활동은 가창영역으로 장구반주에 의한 가창학습이었다. 민요는 가창 . 기 악 . 창작 . 감상의 활동영역을 통합적으로 학습하기 적절하므로, 다양한 활동영역을 통해 민요를 학습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교과서에 수록된 동일한 민요곡이 교과서에 따라 서로 다른 기보 체계로 수록하고 있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문제점이 나타나는 <몽금 포타령>, <신고산타령>, <한오백년>, <새야새야>를 검토하고 수정안을 제 시하였다. 교과서에서 제시된 민요의 박자, 장단, 지역명, 용어 등을 통 일성 있게 갖춘다면 학습자가 느끼는 혼란이나 문제점이 중복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넷째,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금다래꿍>과 <쾌지나칭칭나네>를 영역별로 활용하기 위해 학습자 중심의 수업 방식으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금다래꿍>은 민요의 설화를 가지고 음악극으로 구성하여 발표하는 수 업으로 협동성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안을 연구하였다. <쾌지나 칭칭나네>는 리듬타악기로 장단을 만들어 연주함으로서 학습자의 기악활 동과 창작활동에 도움을 주는 수업이다. 사물놀이에 맞추어 춤을 추며 부 르는 제재곡의 특징을 살려 장구가 아닌 리듬악기로 연주하면서 장단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가사 짓기를 하여 즉흥적으로 가사를 만들어 부르면서 창의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하면서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국악의 내용이 보다 표준화 되고 구체적으로 타당성을 갖추어야 하며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교육 방법과 국악내용의 분명한 제시가 필요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교사가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민요수업을 개발하고 연구하여 지도한다면 학습자는 국악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다가가게 되며, 이로 인해 국악은 대중화되고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국악을 바르게 지도하여 우리 민족성을 일깨우고 우리문화를 계승, 발전 시켜나가게 하는 것은 우리의 과제이자 책임일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middle-school textbooks on music. Within all of the nine different publishers' contents, especially on folksongs will be mainly discussed to expand educational utility and to develop student's potential capacities. This study came to such results. First, The ratio of folksongs in 9 kinds of middle-school textbooks on music are 83.2 percent. Through such various textbooks, we could find vocal genres as Gagok, Gasa, Danga, Minyo(folksong), Sijo, Japga, Pansori, and contemporary music with traditional instruments. Of these, minyo(folksong) has the highest portion. What it means is that it's mostly proper to educate traditional music. Second, this study divided minyo(folksong) into four subdivisions as vocal, instrumental playing, composing, and listening according to an educational purposes. The main activity lies on a vocal with an accompaniment of janggu. Since Minyo(folksong) can put the four subdivisions thoroughly, it is highly recommended to adapt minyo(folksong) for musical education. Third, This study found many different scoring systems in various textbooks. Where such problems were found was , , , and . After discovering such facts, an amendment has been presented. If time, jangdan, a name of a place, idioms are unified, students would not be so confused. Fourth, an educational guidelines are presented for students to learn songs as , and . For , a practical plan was presented for students to play a musical drama, which makes students more cooperative, and inventive in class. For , students try to make their own jangdan with given percussion instruments, which can develop an ability of playing instrument, and composing music. In addition to that, a lyric making is also helpful for reaching to a higher educational goal. While analyzing facts in textbooks on music, a Korean traditional music needs to be more systematic like detail suggestions for better contents and an applicable ways of education. The better educational systems are developed, the more students would be interested in those fields. Because, right education lead people exposed to higher cultures, and the result is up to teachers' effor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80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14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