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8 0

2007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인지도 및 관심단계 연구

Title
2007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인지도 및 관심단계 연구
Other Titles
Home Economics Teachers awareness and concern stages of 2007 revised curriculum
Author
이선미
Alternative Author(s)
Lee, Sun-mi
Advisor(s)
이규혜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에 발맞춰 가정과 교과는 매력적인 교과로서의 탈바꿈을 위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이라는 새로운 교육과정을 도입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관 하여 학교 현장의 학습자들에게 직접 교육과정을 전달하는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가정과 교사들이 변화의 시도에 얼마만큼 관심이 있는지, 어떠한 관심의 단계에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 가정과 교육과정의 변화는 2010년, 초등학교부터 순차적으로 시행될 것이며 현재 시행을 약 2년 앞둔 상황이므로 앞으로 가정과 교사들은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가지게 될 것이고, 교사 교육을 주관하는 기관은 가정과 교사들의 교육을 위해 새 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도를 조사한 결과를 교사교육 및 연수의 실행에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가정과 교사의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을 위한 자료의 필요성이 증대되는 상황에 따라 본 연구는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인지도를 알아본다. 둘째, 2007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 적용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단계를 알아본다. 셋째, 가정과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의 관심단계를 알아본다. 본 연구는 2008년 4월, 서울시 외 4개 지역의 가정과 교사들에게 설문지 응답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은 서울시 교육청 홈페이지에 게재된 학교를 지역구마다 2~3학교를 무선 표집하여, 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설문을 배포, 수집하여 각 학교마다 가정과 교사와 전화연결을 하여 연구자가 개설한 온라인 설문조사 사이트에 접속하여 응답하도록 하였고, 총 7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SPSS for window 12.0 program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를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연구주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인지도를 살펴보면, 가정과 교사들은 2007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이 적용된 사실에 대해 잘 알고 있었고 바람직하며 만족스럽다고 생각하였으나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의 적용을 위하여 교사의 많은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과 동시에 '교육 지침들에 의한 업무과중'을 새 교육과정 시행의 가장 큰 장애요소로 인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장애요인은 지양하고, 교사가 자주 활용하고 있는 능력이나 도움을 받는 요인들은 지향하기 위하여 알아본 결과, 효과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하는 능력으로는 '교과서 외의 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며, 가장 도움이 되는 요인은 '대중매체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7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 적용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단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가정과 교사는 '지각적 단계'에서 가장 높은 관심을 보였고 이는 가정과 교사들이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해 많은 교사가 지각하고는 있지만 실행에는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장 낮은 관심을 보인 것은 결과적 단계로써 이것은 가정과 교사들이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의 실행이 학생들에게 어떤 효과를 미치게 되는지에 대해서 관심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가정과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의 관심단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는데 '교직 경력' 변인에서는 16년 이상 집단은 지각적 단계에서, 5년 이하 집단은 개인적, 운영적 단계에서 가장 높은 관심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 변인에서는 운영적, 강화적 단계에서 20대와 30대가 높은 관심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흥미도' 변인에서 흥미가 높은 교사일수록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에 보다 더 나은 교육방법을 찾는데 관심이 있는 강화적 단계에 있었고, '직업 만족도' 변인에서는 직업 만족도가 높은 교사일수록 개인적 관심 단계에 있음을 나타냈다. '학교유형' 변인에서 국?공립학교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변인에서는 결과적 영역 단계에서 알고 있는 집단이 잘 모르는 집단보다 높은 관심 수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 변인에서는 정보적, 결과적, 협동적, 강화적 단계에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해 알고 있는 집단이 모르는 집단 보다 더 높은 관심 수준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2007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교육이나 연수를 주관하는 대상을 비롯한 행정가나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의 적용이 원활히, 성공적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가정과 교사들의 관심단계에 따른 지원이 정책적으로 뒷받침 되어야함과 동시에 심화된 교육과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더 나아가 교육과정 개발의 과정에 교사를 참여시킬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revised 2007 national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has partially incorporated practical problem based instruction. The new home economics curriculum is going to be phased in from elementary school in 2010. Teachers who perform the key roles in applying the new curriculum may or may not be aware of the changes. They may also have different level of concerns toward the subject matter. Institutions that provide teacher training should investigate their awareness of the new curriculum and their stage of concern for that in preparation for better education and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me economics teachers' awareness of the revised 2007 national curriculum and their stage of concern for that.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to investigate home economics teachers' awareness of the revised 2007 n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investigate their stage of concern for the curriculum of practical problem approach that was applied to the revised 2007 national curriculum;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background variables and their stage of concern for the curriculum of practical problem approac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Home Economics teachers in the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data from 70 teachers were analyzed. SPSS for Windows 12.0 program was employed to make a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and descriptive statistics was utilized.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as for awareness of the revised 2007 n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home economics teachers investigated were well cognizant of the fact that the curriculum of practical problem approach was applied to the national curriculum. They found that to be advisable and satisfactory, but they felt that they should make a lot of preparation for the application of that approach. The greatest hurdl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curriculum was that educational guidelines provided by that might result in increasing their workload. The largest group developed additional learning materials to ensure the efficiency of the curriculum, and they found it most helpful to capitalize on mass media. Concerning their stage of concern for the curriculum of practical problem approach applied to the revised 2007 n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showed the most interest in the awareness stage, which implied that they were cognizant of the curriculum of practical problem approach but did not try to apply it. They had the least interest in the consequence stage, which indicated that they weren't interested a lot in the possible effects of that approach on students. Experienced teachers whose career was 16 years or more were most interested in the awareness stage, and those whose career was five years or less showed the largest interest in the management stage. Those who were in their 20s and 30s had a lot of interest in the management and refocusing stages. Teachers who are more interested in the subject matter were in the refocusing stage of looking for better teaching methods. By job satisfaction level, the more satisfied teachers were in the personal concern stage. In regard to the influence of awareness of the revised 2007 curriculum, the group of teachers who knew about that curriculum had more interest in the informational, consequence, collaborative and refocusing stages than the others who did not.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well-planne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stage of concern, and training institutions, school administrators and curriculum developers should make concerted efforts to ensure the smooth and successful introduction of the curriculum of practical problem approach. At the same time, more enriche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prepared, and teachers should be given an opportunity to join forces with curriculum developers in the course of curriculum developmen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74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41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VOCATIONAL EDUCATION(실업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