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6 0

장애인식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장애인식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s of Disability Understanding Programs on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 toward Disabled Children
Author
이창화
Alternative Author(s)
Lee, Chang Wha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지중심, 활동중심, 인지-활동중심 프로그램으로 세분화된 장애인식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른 장애인식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초등학교 2학년 4개 학급의 11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지중심 접근 프로그램, 활동중심 접근 프로그램, 인지-활동중심 프로그램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총 네 집단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중심, 활동중심, 인지-활동중심 프로그램 참여집단과 통제집단의 프로그램 전후 장애인식 변화에 대해 살펴본 결과 참여한 모든 집단의 장애인식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식 프로그램 유형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인지중심, 활동중심, 인지-활동중심 프로그램 참여집단과 통제집단의 프로그램 전후 활동선호 태도 변화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장애인식 개선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장애아동과의 활동선호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식 프로그램 유형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각 프로그램별 집단 내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인지중심 프로그램과 인지-활동중심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은 장애인식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장애인과의 활동선호인식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반면에 활동중심 프로그램 참여집단과 통제집단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활동 중심 프로그램 참여집단 아동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장애인식 프로그램 실시 후 평균치의 상승을 보여 장애아동에 대한 활동선호가 긍정적으로 변한 반면, 통제집단 아동의 경우 오히려 점수가 하락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장애인식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의 집단은 장애아동에 대한 활동선호태도가 개선된 것에 반하여, 통제 집단 아동은 변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장애인식 프로그램의 유형에 상관없이 장애의 활동선호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장애의 특성을 이해하기 쉽게 차이점을 알려주는 인지중심적 접근을 포함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활동만을 강조하는 프로그램보다 좀 더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ree disability understanding programs consisted of cognitive approach, activity-centered approach, and cognitive-activity blended approach on non-disabled children toward the disabled. The subjects were 118 non-disabled 2nd grade students at the elementary school in Seoul, Korea. Children were asked to rate the following two instruments;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Kim, 1990) on a multi-choice question, The Scale of Activity Preference with the Disabled(Oh, 2005) on a 3 point Likert scal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 And also there were no differential effects of disability understanding programs among three experimental groups.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if there's any differences within experimental groups, the group of cognitive approach program showed the best positive change, and the group of cognitive-activity blended approach participating showed the next best change. However, the group of activity-centered approach made a little progress but not significant changes. The control group scored less than before. In conclusion, it could be said that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program of cognitive-centered approach or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disability had the best effect on enhancing to earlier children's receptive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72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0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