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계도로명 도로안내체계로 전환시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연계도로명 도로안내체계로 전환시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Effect on Analysis of Roadway Sign System Using Conncted Roadway Names
Author
김찬우
Advisor(s)
원제무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세계적으로 도로시설 표준화가 부각되면서 교통시설 공통기준 제정 및 표준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아시안 하이웨이 구축협약에 따라 2012년까지 도로시설 정비를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도로표지판은 한정된 규격에 과다한 지명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혼란을 야기하고 있으며, 국문과 영문의 혼용에 따른 문안규격의 일관성 부족은 시인성 및 판독성 저하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안내체계의 형태와 문제점을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인 도로안내체계를 제시하여 국내 도로안내체계의 개선방안을 찾고, 이에 따른 효율성을 비교하고 개선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현재 국내 안내체계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 안내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파악한 후 사전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도로안내체계를 구상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험을 설계한다. 현위치 파악 및 목적지 경로탐색 실험을 실시하고 도로안내체계별 인식정도 파악을 위해 실험 후 설문을 추가로 실시한다. 통계분석(t-test, ANOVA)을 이용하여 도로안내체계별 실험결과를 비교/분석한 후,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결론 도출 및 시사점을 정리한다. 실험결과 연계도로명 방식, 일반도로명 방식, 지점 방식 순으로 효율성이 입증되었으며, 현행의 지점방식에 비해 연계도로명 방식이 현위치 파악 및 목적지 경로탐색 소요시간에 있어 2배 이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연계도로명 방식의 교통안내체계는 정부의 도로명주소 사업과 도로명 안내표지 도입정책 그리고 도시가로망 정비사업 추진에 참고될 수 있으리라 기대되어진다.; As the importance of road facility's stadarization arises in the world, the globe is working to make a standarized specification for traffic facility. To catch up the trend Korea is working on the domestic road improvement project planned by year 2012 based on the agreement of Asian Highway Establishment. For now Korean road signposts are not optimal. It is common that lots of place names are posted in the limited size of pannel, which easily causes confusion to drivers. Also inconsistancy in the standard of outline to write Korean and English together causes difficulty in reading and acknowledgement of information to drivers. This research has its purpose to improve Korean road guide system more efficient based on the analysis of pattern of domestic road guide system and its problem. For this study a reaserch to analysize the current guide system's problem and solution was performed. After research pre-test was planned to make an outline for a new raod guide system. Test to search the present location and route to destination place was performed as well as an additional research to analyze recognition level per each different road guide system afterward. Test result per road guide system was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statistics analysis(t-test, ANOVA). The conclusion is written with suggestions based on the test result. In conclusion related road name type, regular road name type, and branch point type had scored the top three in order for the efficiency. Compared to the current way of branch point type, related road name type was better in efficiency more than double in the aspect of the time required to search the present location and route to the destination. Consequently the traffic guidesign system of related road name type can be referred as a reference for the Korean government project related to road name, address, and road name guidesign introduction policy as well as raodside improvement projec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66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97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