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8 0

대규모 복합역사 공공 공간의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Title
대규모 복합역사 공공 공간의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cept & Role of the Pubic Space in Large-Complex Railway Station Building
Author
허원
Alternative Author(s)
Hu, uen
Advisor(s)
김용승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끊임없이 많은 사람들이 모이게 하고 흩어지게 하는 철도는 다양한 경제활동을 이끌어 내고 도시발전의 핵으로서 주변지역의 개발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담당해 왔다. 앞으로 도시철도의 미래는 단순히 이동수단을 연결하는 물리적 장소에서 교역과 정보교환을 위한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도시의 공공시설, 지역사회의 중심역할을 통하여 도시와의 조화를 꾀하는 핵으로 변모할 것이다. 더불어 민간자본의 유입을 통해 상업시설이 역사와 혼합된 복합역사로의 변모로 더더욱 의미를 강조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철도역사라는 공공성을 띈 건물이 상업시설과 결합되면서 대형화 되고, 복잡해질수록 건축 계획적으로 공공 공간의 필요성을 더욱 크리라 생각이 되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역사에서 공공 공간이 가지는 의미와 역할을 사례를 통해 도출해 내어 현재 계획중이거나 설계를 진행하고 있는 복합역사에 대해서 공공 공간을 적용할 것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1장에서는 복합역사의 공공 공간의 공공성에 대한 연구배경 및 목적을 서술하고, 2장에서는 국내 철도와 역세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철도에서 공공성에 대한 의미와 역할을 정립하며, 사례를 분류한다. 3장에서는 복합역사의 공공성에 대한 개념을 접근성, 쾌적성, 개방성으로 분류하여 정립하며, 공공 공간에 대한 건축적 성격을 정립한다. 4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천안역사, 용산역사, 교토역사를 첫째는 주변지역과 공공 공간과의 관계이며, 둘재는 전체시설과 공공 공간과의 관계이며, 세째는 공공성을 띈 공간과 공공 공간과의 관계이며, 네째는 공공 공간의 인접시설과의 관계이며, 다섯째는 공공 공간의 인접시설과의 단면 관계로 분석의 틀로 설정하여 복합라는 5가지의 분석의 틀을 가지고 분석하여 특징들을 도출한다. 5장의 결론에서는 이 도출된 특징들을 복합역사를 계획시 공공 공간에 대한 계획적 요소를 제안해 보려고 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국내복합역사 및 일본사례를 통해 공공 공간의 특징들을 정리해 보면, 첫째로 주변지역과 공공 공간과의 관계에서는 1) 전.후면 광장을 계획한다. 이는 전.후면 도시의 개발이 고르게 성장 및 자연스러운 연계를 가져오며, 역사로의 접근성을 확보해 줄 것이다. 2) 환승 교통 및 지하철,버스등의 교통의 요충지로 고려한다. 이는 지역의 교통을 집약하여 도시의 중심역할의 기능을 더욱 활성화 시켜 역사로의 연계와 접근성 높여 줄 것이다. 3) 역사주변 시설들과의 연계를 고려한다. 진입은 광장과 같은 레벨로 진입하며 진입동선은 각 기능별 독립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광장에서는 공공 공간과 인지 및 연계성을 고려하여 공공 공간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더욱 높여줄 것이다. 둘째로 전체시설과 공공 공간의 관계에서는 1) 배치상 측면 중앙형을 고려한다. 이는 시설전체와의 위치적인 관계에서 각각의 시설적인 특성들과의 위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시설과의 독립성 및 완충요소를 고려한다. 백화점, 호텔, 영화관과 같이 독립성을 요하는 시설과는 이격하고, 오픈공간, 계단 등을 이용해 완충할 수 있는 요소로 고려한다. 3) 수용인원에 대해 ,고려한다. 지역적인 이용도와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한 예측을 하여 시설내 에서만의 공공 공간이 아닌 지역적인 공공 공간으로 계획 고려한다. 셋째로, 공공성을 띈 공간과 공공 공간과의 관계에서는 1) 공공성을 띈 공간과의 순환적 확장 및 연속성을 고려한다. 이는 공공 공간 주변의 정원, 맞이방, 옥상광장 등과의 연속되고 순환적인 확장성을 계획하여 다양한 이벤트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의 역할을 감당할 것이다. 2) 장애인에 대해 고려한다. 인지성이 좋은 위치와 기능적인 요소를 집중배치하여 장애인 동선의 흐름이 공공 공간으로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게 해야 될 것이다. 3) 맞이방과의 독립성을 고려한다. 이는 기능이 서로 다른 대규모 오픈공간의 동선이 겹칠 경우 상당한 동선의 혼잡이 일어날 것이다. 넷째로, 공공 공간의 인접시설과의 관계에서는 1) 공공 공간내에서의 쾌적성을 고려한다. 자연적인 요소인 분수, 조경과 랜드마크적인 조형적 캐노피, 브릿등의 시설물을 이용하여 좀더 어메니티한 공간으로 연출해야 할 것이며, 공간내의 측면 및 상부의 적절한 개방을 통하여 통풍, 조망, 일조등이 충분이 확보될 수 있도록 계획해야 될 것이다. 2) 공공 공간의 기능 및 확장을 위한 공간을 고려한다. 인접시설과 기능적으로 겹치지 않고 공간내에서의 공간적인 확장을 위해 방풍실, 브릿지, 계단등의 요소들을 도입한다. 3) 형태적으로 직사각형, 정사각형을 고려한다. 다목적 및 대중이 모이는 장소이므로 이형적인 형태는 지양하여 계획한다 다섯째로 공공 공간의 인접설과의 단면관계에서는 1) 공공 공간은 공연장의 단면형태를 고려한다. 이는 집중도를 높이며, 다양한 층과의 연계를 두어 동선의 흐름이 시설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해야 될 것이다. 상부와 측면에 대한 확장을 고려하여 수용의 한계를 증대해야 할 것이다. 2) 맞이방 및 자유통로와의 단면적 위계를 고려한다. 공간의 영역이 겹치지 않으면서 연결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3) 맞이방 및 자유통로와 동선을 기능적으로 연계를 고려한다. 공공성을 띈 공간으로서 시각 및 공간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e railway enabling a great many people to gather and disperse incessantly has played roles in promoting diverse economic activities and suburban developments as a core of urban development. In the future, the urban railway is expected to play a core role in striking a harmony between public urban facilities/communities and cities just beyond its conventional role of simply and physically linking the traffic means. Therefore, it is more and more important for the railway company to induce the private capitals to build large-complex railway station buildings mixing traffic and commercial facilities. In this vein, it is conceived that the public buildings called railway station buildings will be bigger and more complex, being combined with the commercial facilities, and therefore, they should have the public spaces well planned and designed. From such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mplications and roles of the public spaces in the large-complex railway station buildings and thereupon, suggest an effective public space for the railway station buildings being planned or designed. This study consists of 5 chapters; The first chapter describes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about public nature of the open space in the large-complex railway building, and the second chapter reviews the theories about domestic railways and their station spheres to examine implications and roles of the railway of public nature and classify the cases. The third chapter examines the concept of the public nature of the large-complex railway building in terms of accessibility, comfort and openness to defin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pace. The fourth chapter samples Cheonan, Yongsan and Kyoto railway station buildings to analyze 1)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pace and its surroundings,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ire station facilities and public space,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of public nature and the public space, 4)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pace and its neighbor facilities and 5) the s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pace and its neighbor facilities.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rge-complex railway building are discussed with such 5 frameworks of analysis. The fifth chapter concludes the study by suggesting the planning points for design of the public space of the large-complex railway building with such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analyzing domestic and Japanese case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paces in the large-complex railway building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pace and its surroundings, 1) Front and rear plazas need to be planned. Then,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arge-complex railway building would be evenly developed to be linked with each other naturally, while accessibility to the railway building would be enhanced. 2) The large-complex railway building should be planned to be a strategic traffic hub for the transit traffic covering subways and buses. Then, the regional traffic would be more concentrated to activate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railway buildings as urban centers and enhance linkages with and accesses to the railway buildings. 3) The linkage with the surrounding faciliti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this end, the access needs to be designed at the same level with the plazas, while the access circulations should be designed independently depending on their functions. On the other hand, the plazas need to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visibility and linkage to enhance its concept and roles as public space. Secon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tire facilities and public space, 1) A sidewise central layout is desirable. In other words, each facility should have its own characteristics and hierarchy in terms of its locational relationship with the entire facilities. 2) Independence and buffering elements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example, such facilities which need to be independent as department store, hotel and theater should be separated, while each facility should be buffered by open space or stairway. 3) The capacit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predict regional uses and future growth potential to plan a region-wide public space rather than a simple public space within the railway building. Thir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of public nature and the public space, 1)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ycling expansion and continiuum of the public space toward the spaces of public nature. Then, the public space may well be linked with its surrounding garden, reception space, rooftop plaza, etc., while playing a role of space accommodating a variety of events. 2) Handicapped people's mobilit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allot a highly visible location for their circulation together with some functions required, so that handicapped people's circulation can smoothly flow into the public space. 3) The public space needs to be independent from the reception space in order to prevent the circulations from being confused when two different large-scale open spaces are overlapped. Fourth,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pace and its neighbor facilities, 1) It is essential to take into consideration users' comfort within the public spac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use such facilities as natural fountain, landscape, landmark-like formative canopy and bridge to render an amenity-like space, while opening sides and ceiling more for sufficient ventilation, views and sunlights. 2)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and spatial expansion. To this end, it is deemed required to introduce such elements as windbreak room, bridge and stairway, so that the public space may not be overlapped with its neighbor facilities in functional terms. 3) In terms of forms, rectangle or square seems to be desirable. Since the public space has multi-purposes for the mass, an unfamiliar form should be avoided. Fifth, in terms of the s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pace and its neighbor facilities, 1) The sectional form of performance hall need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n, the public space would be more concentrated, while being linked with diversified levels with its circulations leading to diverse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expandability of upper parts and sides, the capacity needs to be designed to a maximum degree. 2)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ectional hierarchy of the public space with reception space and free passages. Namely, the spaces should not be overlapped, being linked with each other smoothly. 3)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functional linkage of the circulations with reception space and free passages. All in all, the public space should be outstanding in both terms of visibility and spac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62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71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공학과) >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