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6 0

현대 미술관의 공공성과 공간구성적 대응에 관한 연구

Title
현대 미술관의 공공성과 공간구성적 대응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ublicness in Contemporary Art Museums and their Spatial Configurations : Focused on the Gyeongnam Art Museum, the Jeonbuk Province Art Museum and the Gyeonggido Museum of Art
Author
권미주
Alternative Author(s)
Kwon, Miju
Advisor(s)
김용승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과거의 미술관이 수장고였다면 현대의 미술관은 하나의 공공문화시설로써 ‘공공성’을 갖고 다변화된 사회에 발맞추어 그에 요구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하나의 복합 문화시설의 형태로 변해가고 있으며, 그 대상도 전문가에서 일반대중으로 범위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각종 연구들과 실제 건축된 각 미술관의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이에 대한 공간적 대응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렇듯 미술관 건축의 변화는 단순히 건축양식의 전환이 아닌 그 시대의 사회적 역할과 그에 따른 내재적 기능의 진화를 의미하며, 이것은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대중들의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그에 따라 현대 미술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이 보다 폭넓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관의 시대에 따른 공간구성적 특성을 이해하고, 가장 최근에 건립된 공립 미술관들이 ‘공공성’을 추구하는 현대 미술관의 성격에 부합하는 공간구조를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분석하기 위해 경남도립미술관, 전북도립미술관, 경기도미술관의 세 미술관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세 개 미술관을 조사한 결과 관람객편의영역이 각 미술관에서 가장 얕은 깊이에 위치하면서 가장 높은 통합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미술관에서 관람객편의영역이 관람객들이 가장 먼저 접하는 공간이며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공간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2. 경남도립미술관에서는 관람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주 영역들이 대체적으로 다른 미술관에 비해 대체적으로 깊은 공간에 위치하며, 교육영역 역시 그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경남도립미술관 내에서도 교육영역은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하며 통합도도 낮아, 경남도립미술관에서 교육영역이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되며 관람객들의 이용이 어려울 것이라 판단된다. 3. 전북도립미술관은 전체적으로 얕은 공간구조를 가졌으며, 이는 대체적으로 관람객들이 미술관 전체공간을 이용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북도립미술관에서는 교육영역이 다른 미술관에 비해 거의 두 배의 면적비를 나타냈으며, 소요실 또한 그 종류가 다양하고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영역의 평균공간깊이 또한 두 미술관에 비해 가장 얕으며, 링(ring)으로 관람객편의영역과 긴밀하게 연결되어있고, 통합도도 높아 다른 미술관보다 교육에 비중을 두어 계획되었다고 판단되며, 관람객들이 보다 쉽게 교육영역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 경기도미술관은 세 개 미술관 중 가장 깊은 공간구조를 가진 미술관으로 전시영역이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하며, 다른 미술관들에 비해서도 현저하게 깊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전시영역의 통합도와 전시영역과 연결되는 관람객편의영역, 공용공간의 통합도가 높게 나타나 깊은 구조에 있음에도 관람객들의 이용이 용이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는 링들의 주 연결공간으로도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전시영역들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 여러 루트를 이용하며 관람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세 개 미술관의 전체공간의 평균 통합도를 비교해봤을 때, 경기도미술관이 가장 깊은 공간구조를 가졌음에도 통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경기도미술관의 관람객들이 미술관 전체 공간을 이용하는데 있어 다른 미술관보다 용이할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미술관을 계획할 때 각 영역들이 위치만큼 그 영역들간의 공간적 연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위와 같이 2000년 이후 개관한 공립 미술관들의 물리적 속성과 공간구성의 특성을 분석하여 본 결과 세 미술관이 각각 다른 성격의 공간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이전의 미술관들보다 현대적 의미의 미술관에 근접한 ‘공공성’이 강화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그런 전제 하에 교육영역, 관람객편의영역, 전시영역들 가운데 어느 곳에 좀 더 중점을 두고 미술관을 계획하는가는 면적과 같은 물리적 속성과 위치, 공간관계 등의 공간 구성적 특성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ontemporary museum, unlike past museum as a storage in a certain aspect, has its publicity as cultural public facilities and has transformed itself into the cultural complex facilities performing its various roles that are reflected various demands in a diversifying society. Its target also has expanded and varied from experts to the public. Several researches, completed each museums' adjusted programs and spaces, based on the new programs, have articulated its current results. In this way, the contemporary museum has not only transformed its architectural forms but also evolved and developed its social role and its internal functions. These new trends implicate that people's interests based on leisure, cultural lives have increased as their qualities of lives has improved. As a result, The trends have caused the contemporary museum to vary and expand its needed roles. In this aspects of views, this research, in one hand, focuses on investigating spaci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paces in museums in the chronical order then comes up with the space structures' principles adjusted the contemporary needs. Called, in this research, the new trends, in contemporary museums The research, in another hand investigates the Gyeongnam Art Museum, Jeonbuk Province Art Museum and The Gyeonggido Museum of Art in oder to speculate whether the new trends from previous investigation can be matched with spaces structures of three museums. The conclusions are following. 1. The result which was investigated three museums; the convenient areas for public are located in the shallowest depth and showed the highest integration level. It means that visitors meet the convenient areas firstly in the museums and they use these areas most frequently. 2. In the Gyeongnam Art Museum, main areas for visitors are located generally in spaces of the deep depth compared to other museums and the education areas are showed a similar character. Furthermore, the education areas of the Gyeongnam Art Museum are located in spaces of the deepest depth and its integration level is low,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education areas of the Gyeongnam Art Museum are run independently and visitors might use these areas with difficulty. 3. In general, the Jeonbuk Province Art Museum has relatively a shallow-depth space structure. It means that visitors can easily access and navigate through its spaces. In the Jeonbuk Province Art Museum, through the research, its educational area's ratio is two time bigger than those of others and the needed rooms are more varied than those of Others. Its educational area's average depth of spaces is also the shallowist among those of others and its educational areas are closely connected with convenient areas for public by the ring. It is considered that its high level of integrity of educational areas represents the museum's plan has been weighted on its educational roles so the visitors might more easily use educational areas. 4. The Gyeonggido Museum of Art has the deepest spacial configuration among three museums. In this museum, the exhibition areas are located in spaces of the deep depth remarkably compared to other museums. By this reason, we could expect that visitors might use well, although integration levels of the exhibition areas, the convenient areas for public and public areas which are related to the exhibition areas are high and showed a deep spacial configuration. Also, it could be found the result with main connection areas of rings. Moreover, we could find visitors are possible to use the exhibition areas which are connected each other by several routes. 5. When we tried to compare to the mean integration of all spaces of three museums, the Gyeonggido Museum of Art i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integration, whereas this museum has the deepest special depth. By this result, we could expect that visitors of the Gyeonggido Museum of Art could use whole spaces of museum comfortably compared to other museums. It means that the special relations of each area are important factor as well as the locations of each area. As a result, three museums have different physical specific characters and spatial configurations. But, on the whole, three museums approach to contemporary art museum for public than previous art museum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55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30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S](건축대학원) > ARCHITRCTURE(건축디자인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