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7 0

골반염질환에 동반된 간주위염의 다중검출전산화단층촬영술 소견 및 골반염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Title
골반염질환에 동반된 간주위염의 다중검출전산화단층촬영술 소견 및 골반염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Other Titles
Perihepatitis with 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on MDCT : Characteristic Findings and Relevance to PID
Author
김지영
Alternative Author(s)
Kim, Ji Young
Advisor(s)
김용수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비전형적인 복통을 호소하는 골반염질환 환자들의 삼상 다중검출기전산화단층촬영(3 Phase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이하 MDCT)에서 소위 간주위염으로 알려진 간 피막의 조영 증강을 관찰할 수 있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에 저자들은 MDCT에서 관찰되는 간주위염의 발생률 및 영상학적으로 호발되는 부위, 그리고 골반염질환의 다른 소견들과의 연관성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환자는 2006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3상 복부 MDCT를 시행하고 임상적으로 골반염질환으로 치료를 받은 93명의 여자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32.6세였다. 영상 해석을 위해서는 3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후향적으로 간 표면을 12구역으로 나누어 위치를 확인하고 간의 피막과 실질의 조영 증강 정도를 4단계로 나누어 깊이를 측정하였다. 저자들은 또한 골반염질환과 동반되어 흔히 나타나는 간 주위 복수, 골반 복수, 자궁천골인대의 두꺼워짐, 난소염, 자궁내막염, 자궁경관염, 난소난관농양, 인접한 장벽의 두꺼워짐, 장간막과 후복막 침윤의 상방 확장의 정도를 관찰해보았다. 이러한 현상들을 관찰한 뒤 골반염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통계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93명 중 55명(59%)의 환자에서 간 표면의 조영 증강 소견이 관찰되었다. 55명 모두 동맥기에서 조영 증강 소견을 보였으며, 8명(9%)은 동맥기와 문맥기에서, 8명(9%)은 동맥기와 지연기에서 간 표면의 조영 증가를 보였으며, 3명(3%)은 모든 시기에서 간 표면의 조영 증강을 보였다. 간 하부의 우측 전면이 가장 흔한 부위(49/55, 89%)로 관찰되었으며, 간 중부의 우측 전면이 두 번째로 흔한 부위(39/55, 66%)였다. 간 상부의 후면과 간 중부의 우측 후면에서는 간주위염의 소견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하부 간 실질의 조영 증강이 상부나 중부와 비교하여 두껍게 관찰되었다. 난소염(P = 0.020)과 장간막 침윤의 상방 확장(P = 0.000)은 골반염질환에서 간주위염의 존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골반염질환 환자에서 우측 상복부 통증이 있는 경우 간주위염은 흔히 동반된다. 간주위염이 잘 동반되는 부위는 간의 하부 우측 전면으로 생각되며 간주위염의 유무는 난소염과 장막 침윤의 상방 확장을 제외하고는 골반염질환을 반영하는 다양한 MDCT 소견과는 크게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Patients of 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accompanying vague abdominal pain frequently reveals capsular enhancement of the liver (perihepatitis) on the dynamic abdominal CT scan. Our purpose is to find out the prevalence, the most common affecting site and distribution of peripepatitis as well 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hepatitis and CT manifestations of PID.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January 2006 and December 2007, a total of 93 consecutive patients (all female; mean age, 32.6 years) who were examined with three-phase abdominal CT scans for vague abdominal pain and clinically diagnosed and treated for PID were included. For the image interpretation, three radiologists retrospectively reviewed CT scans with consensus, and examined the location (12 divided area of hepatic surface) and thickness (four grades) of enhancement of hepatic capsule and adjacent parenchyma. We also evaluated CT findings of PID as follows; perihepatic ascites, pelvic ascites, uterosacral ligament thickening, oophoritis, endometritis, cervicitis, tuboovarian abscess, adjacent bowel wall thickening, degree of upper extension of mesenteric and retroperitoneal infiltration. Fisher’s exact test was perform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bout the relationship of these findings. Results Fifty-five patients (59%) of total ninety-three patients showed enhancement of hepatic surface. All of fifty-five patients showed hepatic surface enhancement on arterial phase, eight (9%) on arterial and portal phase, eight (9%) on arterial and delayed phase, and three (3%) on all three phase CT scans. Right anterior surface of inferior division was the most common site (49/55, 89%) and followed by right anterior surface of middle division (39/55, 66%). Posterior surfaces of upper hepatic divisions and right posterior surface of middle hepatic division were not involved. Lower hepatic divisions showed thicker parenchymal enhancement than other sites. Oophoritis (P = 0.020) and extension of mesenteric infiltration (P = 0.000) were reveal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presence of perihepatitis in PID. Conclusion Perihepatits occurs commonly in the patients with PID particularly when accompanying right upper quadrant abdominal pain. Predilection site of perihepatitis is anteroinferior portion of right hepatic lobe and it seems not to be associated with various CT findings of PID reflecting disease severity, except oophoritis and upper extension of mesenteric infiltr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55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62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