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7 0

현대 패션에 나타난 미디어 아트의 표현 특성

Title
현대 패션에 나타난 미디어 아트의 표현 특성
Other Titles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in Contemporary Art in Contemporary Fashion
Author
제갈미
Alternative Author(s)
Jekal, Mee
Advisor(s)
이연희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현상들을 폭넓게 살펴보면서, 미디어 아트의 발전 방향 및 표현 특성 및 그에 따른 현대 패션에 나타난 미디어 아트의 표현특성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패션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뉴미디어 시대 사회와 문화, 예술 및 패션에서 나타난 기술 발달에 대한 환경을 살펴본다. 둘째, 미디어 아트의 개념 및 특성을 조사하여 현대 패션에 표현된 미디어 아트의 표현 특성을 사례를 통하여 분석한다. 셋째, 미디어 아트가 적용된 패션 액세서리 디자인 시뮬레이션을 제안하는 것이다. 문헌고찰과 사회?문화적 현상 고찰을 통해 뉴미디어 시대의 특징들을 도출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였고, 인접 예술 분야인 미디어 아트 작품에서 각 표현 특성을 확인하여 현대 패션에 나타나는 변화와 그 특성들을 분석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미디어 아트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1990년대 이후의 패션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각 특성의 의미를 유형별로 구체화하고, 표현 방법과 효과에 따라 분류, 분석하였다. 뉴미디어 사회 환경은 디자인 주체의 변화, 디자인 도구와 방법의 변화, 소비자의 변화, 디자인 영역의 변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디자인 방향은 인간을 중시하는 감성중심의 하이테크적 디자인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에 따른 미디어 아트의 활발한 확산 속에서 뉴미디어가 등장하였으며,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를 통하여 미디어 아트의 표현 특성은, 상호작용성, 변형성, 비 물질성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도출된 미디어 아트의 표현 특성을 바탕으로, 패션 사례를 수집하고, 그 표현 특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패션에 표현된 미디어 아트의 상호작용적 특성은 개인의 감성표현이 중요시되는 정보사회의 특징을 바탕으로 착용자를 창조의 영역에 끌어들여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디자이너와 상호교류 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을 만들어 갈 수 있는 가능성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적 표현 특성을 나타내는 유형은 크게, 착용자의 물리적 행위에 의한 것과, 착용자의 감정변화에 의한 것으로 나뉘어졌다. 이러한 표현 특성은 패션을 통한 자신의 의사전달과 감정표현을 하는 것, 나아가 신체를 보호할 수 있고, 타인에게 재미를 유발시키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둘째, 현대 패션에 표현된 미디어 아트적 변형성은 기존에 있던 단순한 트랜스포머의 기능을 뛰어 넘어, 의사전달의 도구나, 형태의 변화, 영상의 변화 등 폭넓은 의미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형성의 표현특성을 나타내는 유형은 크게, 착용자의 물리적 행위에 따른 변형, 기기의 작동에 의한 변형, 그리고 주변환경이나 착용자의 감정변화에 따른 변형으로 나뉘어졌다. 이는 현대인들의 편리함을 추구하는 경향이나, 신체를 보호하고 타인의 관심을 유발하는 효과를 목적으로 이루어졌고, 이러한 기능적 특징들은 미래적 이미지를 자아냈다. 셋째, 미디어 아트에서 나타난 비물질적 특징은 패션이 가지고 있는 형태적?재료적 특징으로 영상성과 투명성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현대 패션에 표현된 영상성은 내부광원에 의한 발광이나 미디어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의 활용으로 나타났다. 영상을 이용한 패션은 착용자나 타인으로부터 몰입의 효과를 불러 일으켜 재미를 유발시켰고, 환상적 이미지를 통한 미래적 느낌을 가장 잘 나타내 주었다. 넷째, 현대 패션에 표현된 미디어 아트적 투명성은 크게, 비물질적 특성이 나타나는 투명성과, 이미지의 중첩을 보이는 것으로 나뉘어졌다, 대부분 재료의 특성으로 나타나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외 센서의 부착과 같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투명성을 나타낸 옷들이었다. 투명성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효과는 개방성과 위장효과, 그리고 이미지의 중첩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또한 영상성과 마찬가지로 기능적 효과보다는 심미적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에서 살펴본 미디어 아트의 표현 특성 3가지는 미디어 기술의 발달과 함께 누적되고 융합되어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었다. 패션에 있어서도 각 표현특성들이 개별적으로 나타남과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특성이 융합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들이 나오게 된 영향 또한 신소재의 등장과 기술력과의 협력이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기술의 발전은 패션이 하나의 미디어로 작용할 수 있는 메시지 역할을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패션이 사회 전반적으로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을 열어 주었다 이에 본 연구의 마지막 절차로, 미디어 아트를 응용한 패션 액세서리를 디자인 하여 시뮬레이션을 제안하였다. OLED의 기술력과 시장성의 문제로 실물화하지는 못하였지만, 다양한 분야의 접목과, 앞으로 패션 시장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간의 감성을 중요시하는 하이테크적인 디자인은 각 분야의 디자이너와 기술자와의 협업을 통해 통합 디자인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패션도 그 중심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 내용과 디자인 제안이 앞으로 패션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고, 더욱 다양한 소재의 개발과 함께 상상력을 현실화 하는데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in contemporary fashion and make an alteration of cultural, social and fashion aspects in new media ages. The process of this study, first, examine how technology progress effect on social, cultural, art and fashion in new media age, second, examine a general idea and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and analyz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in contemporary fashion, third, suggest fashion accessory design simulations using media art.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ge was establish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ashion works were selected from 1990 to 2008 focused on showing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by professional group of fashion design and media art. These characteristic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by expressional method and effect. New media environment changed the core, a process and fields of design and consumers. As a result of these changes, design turns to high technical human design setting value on emotion. Media art is growing the fields by appearance of new media and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classified as three. First, interactivity is by participation of spectators using computers and sensors to respond to motion. Second, transformation is by dynamic image and a secondary transform. Third, immateriality is by being programmed virtual reality and light, sound, etc. The results of analyzing contemporary fashion based on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activity of media art in contemporary fashion is to attract the wearers as main performer of design in multilateral aspects. The wearers can expand the opportunity to express themselves by participating in design process, by creating their own styles or by experiencing new concepts and styles. Interactivity by wearer’s action, emotional change is effective on emotional express, body protection and causing interest. Second, the transformation of media art in contemporary fashion is extended the meaning to instrument of communication, change of form and image. Transformation by wearer’s action, functioning and emotional change is effect on convenience, body protection and causing concern. This transformation evokes image of time to come. Third, immateriality in media art is divided into visualization and transparency in fashion as for structural, material characteristics. Visualization in contemporary fashion by inner luminous source and digital images is effect on immersion and expressing fantasy image. Fourth, the transparency in contemporary fashion by immaterial characteristics and being piled up images is effect on openness, camouflag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media art-interactivity, transformation, immateriality -are showed as being accumulated and fused by growing media technology. Not the mor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in contemporary fashion are showed as separated or fused. Development of material and technology paves the way for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in fashion. The last step in this study is to propose fashion accessory design simulation using media art. A mock-up design could not display because of OLED’s technical problems and marketability. But, the purpose of these accessory designs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ashion market. The emotional high-technology design has been developed as hybrid design collaborated with designer and technician and will keep on. It is hoped that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fashion and the propose of design in this study can be of help indicate fashion design in the fu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52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30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