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4 0

프랑소와 쿠프랭의 클라브생 음악을 통해 본 갈랑양식에 대한 연구

Title
프랑소와 쿠프랭의 클라브생 음악을 통해 본 갈랑양식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Galant Style Reflected Franç ois Couperin's Clavicen Music : focus on『SIXIÊ ME ORDRE』
Author
이진희
Alternative Author(s)
Lee, Jin Hee
Advisor(s)
나주리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1710-20년경 프랑스에서는 대위법에 의한 바로크의 폴리포니적 양식과 대조되는 가볍고 우아한 음악양식인 소위 ‘갈랑 양식’(Galant style)이 대두되었다. 이 새로운 작곡양식은 많은 장식음과 단순한 선율, 성부수를 고착시키지 않는 느슨한 반주와 가벼운 텍스처를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이후 독일의 ‘감정 양식’(Empfindsamer stil) 작곡가들에게까지 그 영향을 미치는 ‘전고전주의’의 중요 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본 논문은 ‘갈랑 양식’의 생성 과정을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교양인의 우아한 삶을 추구했던 17세기 프랑스의 사회적 경향이 여러 예술 장르에 중요한 모티브가 되었으며, 음악의 갈랑 양식이 자연스러운 우아함이 진정한 교양이라고 믿었던 프레시오지테 문학, 갈랑 회화에서 직간접적 영향을 받아 탄생한 것임을 확인한다. 또한 본 논문은 갈랑 양식이 음악예술에서 어떻게 표출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그 양식의 특징들을 가장 온전한 형태로 담고 있는 쿠프랭의 클라브생 작품들 중 하나인 『여섯 번째 오르드르』(SIXIEME ORDRE)를 선택하여, 형식과 화성, 선율과 장식음, 선율의 구조와 종지, 묘사적 성향을 중심으로 집중 분석한다. 그 분석 결과, 오르드르의 개별 악곡들은 롱도 형식이나 2, 3부분 형식을 사용하고 2성부 또는 3성부의 짜임새를 보이며 명확한 종지를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갈랑양식의 단순성과 명료함을 표출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쿠프랭의 화성은 으뜸화음과 딸림화음 위주의 단순한 화성구조를 토대로 하는 반면, 선율들은 극히 단순하고 명확한 골격에 ‘과도한’ 장식음을 첨가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단순함과 동시에 화려한 우아함을 지향하는 갈랑양식의 이중적 이상을 반영한다. 음정도약이 적은 순차선율과 명확하고 짧은 악구 구조 역시 단순함과 명료함, 자연스러움을 추구한 갈랑 양식의 작곡기법적 결과로 간주될 수 있다.; In 1710-1720 in France, galant style which is a light and graceful musical style, in contrast to a polyphonic style of baroque by counterpoint, was on the rise. This new composition style features many tension notes, simple melody, loose accompaniment which does not fix the number of voices, and light texture and later became an important style of the entire Classicism that influenced composers of 'Empfindsamer stil' in Germany. This paper addresses the formation of Galant style 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ascertains that the social trend in 17th century France where people pursued graceful lives as educated people became an important motive to several art genres, and that Galant style was born out of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from 'la preciosite' literature and Galant paintings which believed Galant style in music, its natural grace, was the true culture. Also, in this paper, I've selected the 『SIXIEME ORDRE』, one of Clavecin works by 'Francois Couperin', which contains the features of that style in their most intact form, and analyzed it focusing on its form and harmony, melody and tension note, structure and cessation of melody and descriptive tendency.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individual musical pieces follow a rondeau form but use binary form and ternary form, have 2-voice or 3-voice structure and repeatedly use clear cessations, therefore expressing simplicity and clearness of Galant style. Also, Couperin's voice is based on simple voice structure focusing on tonic and dominant cord whereas the melody has rather 'excessive' tension notes in extremely simple and clear structure, reflecting the double ideal of Galant style which pursues simplicity and extravagant grace at the same time. Ordered melody with a few musical interval jump and clear and short musical clause structure can also be considered to be a composition-technical result of Galant style which pursued simplicity, clearness and naturalnes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51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24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