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8 0

박순영 작곡 「“Indeterminacy” for String Trio and Live Electronics」의 분석 연구

Title
박순영 작곡 「“Indeterminacy” for String Trio and Live Electronics」의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Indeterminacy” for String Trio and Live Electronics」 composed by Park, Soon-young
Author
박순영
Alternative Author(s)
Park, Soon-young
Advisor(s)
임종우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박순영 작곡 「“Indeterminacy” for String Trio and Live Electronics」의 분석이다. 본 작품은 현악 삼중주와 실시간 제어의 전자 음향이 함께하는 라이브 일렉트로-어쿠스틱 음악에 속한다. 본 작품은 불확정성 음악 형태의 초안 악보를 출발로 연주자의 요구에 의하여 확정성 음악으로 연주용 악보를 재구성하였다. 따라서, 논문의 분 석은 작곡의 배경이 된 불확정성 음악을 설명하고 초안 악보의 구성과 소 재 음형의 특징과 소재 음형의 결합 유형을 연구한다. 그리고 초안 악보 를 연주용 악보로 재구성한 방법을 연구하고, 연주용 악보의 구성과 형식 을 분석한다. 이후 본 작품에 사용한 전자음향 기법과 작품의 세부분석, 그리고 시간적 요소를 분석한다. 초안 악보는 A, B, C, D, E, F의 6부분 형식이다. 부분 B는 현악 삼중 주의 옥타브 중복 E음으로, 부분 C는 16분음표의 트레몰로로 정확한 음 이 기보되어 있다. 부분 D는 점과 선의 그래픽 기보 형태이다. 부분 A, 부분 E, 부분 F는 36개의 짧은 소재 음형의 선택에 의한 부분이다. 소재 음형은 본 작품이 불확정성 음악을 출발로 한 근거이자 작품 진행의 주 요 요소로서,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연주용 악보는 초안 악보에 따라 6부분 형식이다. 소재 음형의 결합 유 형을 수평유형 세 가지와 수직유형 두 가지를 정하여서 부분 A, 부분 E, 부분 F를 재구성하였다. 부분 B와 부분 C는 초안 악보의 형태와 같으며, 부분 D는 점은 피치카토로, 선은 글리산도로 하여 제작하였다. 전자음향은 Max/MSP에서 DSP를 구성하여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딜레 이, 피치 쉬프트, 플란저, 소리의 공간이동, 리버브의 DSP가 사용되었다. 피치쉬프트와 딜레이는 피치 쉬프트+(각음) 딜레이, 피치 쉬프트+(클러 스터)딜레이의 두 가지 방식으로 결합한다. 피치 쉬프트와 딜레이는 다양 한 음폭과 리듬으로 현악 삼중주를 보완하고, 이것은 4채널 스피커를 통 한 4가지의 패닝 방식과 결합하여 소리의 공간 이동효과를 형성한다. 부분 A, 부분 E, 부분 F에서는 소재 음형 결합의 시간적 요소를 분석 하고 이것을 D (determinant)로 정의하였다. 부분 A, 부분 E, 부분 F의 평균 D = ‘1.1420’는 4분음표를 약간 웃도는 값으로, 작품 전체의 음가 범주인 0.15~4의 시간 간격 안에서 1.1420을 벗어날수록 청취자는 새로 운 음악적 움직임을 기대하게 됨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박순영의 「“Indeterminacy” for String Trio and Live Electronics」는 한정된 소재 음형을 결합하여 확정성 음악으로 재구성하 였으며, Max/MSP의 전자음향이 피치 쉬프트와 딜레이 효과로 현악 삼중 주를 음역적, 리듬적으로 보완하고 4채널 소리의 공간이동 효과가 특징인 라이브 일렉트로 어쿠스틱 음악이다. 본 작품을 통하여 한정된 음소재의 선택과 결합만으로 진행성을 갖춘 완전한 형식의 음악을 구성할 수 있었으며, Max/MSP의 전자음향은 미리 제작된 DSP를 어쿠스틱 악기에 반응하여 실시간으로 연주하는 악기로서 의 역할을 하였다. 4개의 스피커를 통한 소리의 공간 이동 효과는 평면적 인 한 방향이 아닌 연주회장의 전체 공간을 통하여 소리를 입체적으로 전 달하였다.;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electronic music, “Indeterminacy” for string trio and Live electronics composed by Soon-young Park. This piece was premiered in 2007 at the Fest-m Festival (KEAMS: Korean Electro-Acoustic Music Society - youth concert) at Hanyang University Concert Hall. This composition was firstly made as an indeterminate music. However by the players' request, composer rearranged the playing score as an determinate music according to general gesture of sound style of indeterminate music. The analysis of this work consists of looking at indeterminate music, the formation and 36-note materials of the first score, the formation of the playing score, electronic sounds through Max/MSP, analysis of each section of the playing score, and the work's musical structure in time. The first score of this work includes six sections and is consisted of 36-note materials parts, graphic notation parts, and accurately notated parts. The 36-note materials are short 1-measure materials and are consisted of pizzicato, jete, sul ponticello, and so on. Composer set the rules- three horizontal rules and two vertical rules- for connecting the each of the note materials and then made the playing score. The playing score also has an six parts same with the first score. The section A, E, F is made by connecting the note materials.The section B is an climax of this music. The string trio plays octavian chords of E with strong sforzando. In the section C, string trio immitate the granular synthesis with rapid sixteenth tremolo note and juxtaposition of each acoustic parts. The section D which is in the first score with the graphic notation is transformed to have a glissando, pizzicato, trills section. The electronic sounds are controlled through the Max/MSP program in realtime with DSP : Delay, Pitch Shift, Flanger, Panning, Reverb. In this work, Pitch Shift and Delay are connected in two ways, 'cluster delay' and 'each-note delay'. And this reinforces the string trio in various ranges of notes and rhythms. The method of connecting delayed sounds to each of the speaker makes four panning style, 1-way, 2-way, 4-way panning. This makes spatial effects for the delayed sounds through 4-channel speakers. In the analysis of the playing score especially in section A,E,F, analysist defines value D as a determinant to calculate the time deviation of the connection of each of the note materials. The value D of section A is much smaller than section E and section F. This means that the note material is connected in greater density in time in section A than in section E and section F. The average value D of the section A, E, F was 1.1420. This represents that in this piece, 0.15 to 4 with average value of 1.1420. Therefore the more the connection time escapes from the value 1.1420, the more the audience expects to emerge the note events. Here, '1' means the fourth note and '0.25' means sixteenth note. In conclusion, this work is made of the connection of each of the limited note materials as an definite music. Pitch shifted and delayed sounds of the string trio through Max/MSP are controlled in real-time as is spatialization through the 4-channel speaker system. This composition shows that with the connection of limited sounds materials, it is possible to make a progression and form of music. The Max/MSP is programmed to make sounds responding to the string trio sounds. It means that Max/MSP has roled as an instrument that make ensemble music with string trio. Finally by using 4-channel speaker system,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various delayed rhythms was mad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50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80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