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5 0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와 인지적 편향이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와 인지적 편향이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Recognition of Facial Emotion and Attributional Bias Influenced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Abused Children
Author
김은경
Alternative Author(s)
Kim, Eun Kyung
Advisor(s)
이정숙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의 학대경험이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표정인식과 의도귀인의 편향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서 두 단계의 연구를 구상하였는데, 연구 1에서는 학대받은 아동이 표정인식, 표정해석, 의도귀인에서 학대를 받지 않은 아동에 비해 더 적대적인 경향성을 보일 것이라는 가정을 검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구 2에서는 학대경험이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표정인식과 의도귀인의 적대적 편향이 매개역할을 하는 이론적 모형을 만들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과 방법을 보면, 연구 1에서는 초등학교 4-6학년의 학대받은 아동 26명과 유사한 사회경제적 수준에 있으면서 학대를 받지 않은 아동 24명을 대상으로 표정인식의 편향, 표정해석의 적대적 경향성, 모호상황에서의 의도귀인 경향성을 알아보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고, 각 하위변인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효과의 크기(effect size)를 산출하여 두 집단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2에서는 서울소재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737명을 대상으로 학대경험, 표정인식의 편향, 모호상황에서의 의도귀인 경향성, 우울, 공격성을 측정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해 적합도를 검증하고 유의한 경로를 확인하였다. 결과를 보면 연구 1에서는 첫째, 학대여부에 따라 표정인식편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적대적인 편향에서 차이가 나타나서 학대받은 아동이 학대받지 않은 아동에 비해 표정을 더 적대적으로 편향하여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대여부에 따라 표정해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대받은 아동이 학대받지 않은 아동에 비해 화난 표정, 경멸하는 표정, 슬픈 표정을 더 적대적으로 해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대여부에 따라 의도귀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대귀인과 의도귀인에서 차이가 나타나서 학대받은 아동이 학대받지 않은 아동에 비해 상대의 의도를 더욱 적대적, 의도적으로 해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의 결과를 보면 학대경험 자체가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학대로 인해서 유발되는 표정인식의 편향이 의도귀인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의도귀인의 편향이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밝혀졌다. 그러나 표정인식편향 자체는 우울이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의도귀인 즉, 상대의 의도를 적대적이고 의도적으로 판단하는 해석과정을 거쳐서만 우울과 공격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대받은 아동이 표정인식과 표정해석, 의도귀인에서 적대적으로 편향된 특성을 보인다는 점을 밝히고, 학대 경험이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표정인식과 의도귀인의 적대적 편향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인식 및 인지해석 특성을 구체화하고, 학대경험이 우울과 공격성에 이르는 경로를 제시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학대경험이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표정인식편향 자체는 우울이나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의도귀인을 통해서만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학대로 인한 아동의 우울과 공격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의도귀인 과정에 개입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사실을 밝힌 점도 이 연구의 성과라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 that facial recognition and the bias of intent attribution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that children's experience of maltreatment has influence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For the purpose, a two-stage research was considered. Study 1 verified a hypothesis that maltreated children show more hostility in facial recognition, facial interpretation, and intent attribution than the children who were not maltreated. Based on the result, study 2 established and verified theoretical models that facial recognition and the bias of intent attribution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that children's experience of maltreatment has influence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With regard to the objects and methods of this study, in the study 1,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bias of facial recognition, the hostility of facial expression interpretation, and the tendency of the intent attribution in ambiguous situation with 24 children who had similar economic situations with 26 elementary students from 4 to 6 grades. MANOVA(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the outcomes of multivariate analysis were examined, and the differences were compared by yielding effect sizes. In the study 2, maltreatment experiences, the bias of facial recognition, the tendency of the intent attribution in ambiguous situation, depression, and aggression were examined in 737 elementary students from 4 to 6 grades in Seoul. In order to verify the models, goodness of fit and significant paths were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From the results, in the study 1,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ias of facial recognition according to maltreatment and especially,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ggression since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maltreatment recognize facial expression more aggressive than the children who never experienced maltreatment. Second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facial recognition with regard to maltreatment and, especially,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maltreatment recognize angry facial expressions, a scornful look, and sad looks more aggressive than the children who never experienced maltreatment. Thir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nt attribution with regard to maltreatment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maltreatment interpreted others' intentions more aggressive and intentional than the children with no maltreatment experiences sinc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hostility attribution and intent attribu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study 2, although maltreatment experience, itself, had influence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the bias of facial expression caused by maltreatment influenced intent attribution and the study found that such the bias of intent attribution had influence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However, the bias of facial recognition, itself, had no influence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and intent attribution, namely, the process that interpreted others' intentions as hostility could cause depression and aggression.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children with maltreatment histories showed the biased hostile characteristics in facial recognition, facial interpretation and intent attribution and identified that the bias of facial recognition and intent attribution played a mediating role.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actualized the characteristics of recognition interpretation and suggested the paths that maltreatment experiences had influence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Furthermore, in the process that maltreatment experiences influenced depression and aggression, the bias of facial recognition, itself, did not directly influence depression or aggression and it could influence depression and aggression only through intent attribution.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depression and aggression caused by maltreatment, this study proved that it was appropriate to intervene intent attribu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47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26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