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 0

복합 문화 공간의 실·내외 디자인 연계성 연구

Title
복합 문화 공간의 실·내외 디자인 연계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ign Connection of Interior and Exterior in Multiplex Cultural Space : Focus on the Public Space
Author
안희선
Alternative Author(s)
An, Hee-sun
Advisor(s)
남경숙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 사회의 복잡하고 다변화 되는 가치기준에 맞춰 현대의 공간에 대한 개념 또한 다변화 되고 있다. 최근의 바람직한 공간에 대한 논의 속에 ‘공공성’이라는 일관된 경향이 등장하고 있고 이는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에 모두 포함되어 건축물의 실내 및 실외에 적용되고 있다. 이 가운데 공공성이 포함된 공간의 디자인, 연계성, 공간의 활용을 통한 마케팅 등의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공간의 성격이나 활용에 대한 논의는 통합 디자인에 기초를 두고 있다. 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통합 디자인의 개념이 강화 되어가면서 실내와 실외의 디자인 및 마케팅에 대한 구체적인 요소들을 건축 디자인 계획 단계에서부터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도모하는 것은 앞으로의 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미래지향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겠다. 특히 이 디자인 개념은 상업 공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사례로 커뮤니티 공간과 광장, 쇼핑 몰, 휴게 공간 등이 하나의 공간에 마련된 복합 문화 공간을 들 수 있다. 복합 문화 공간은 외부에서 내부로의 접근뿐만 아니라 공공성 및 상업성을 고루 갖추어야 하며 실내 및 실외에 모두 공공 공간의 마련이 필수적인 시설이라 할 수 있다. 이 공공 공간의 활용은 디지털과 멀티미디어의 영향으로 그 기능과 요소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스페이스 마케팅, 문화 마케팅 또한 복합 문화 공간의 공공 공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서울 경기 지역의 복합 문화 공간과 저드 파트너쉽에서 설계한 일본의 복합 문화 공간을 대상으로 선행 연구 분석, 사례 대상지 답사, 문헌 연구 등을 통해 통합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복합 문화 공간의 실내·외 공공 공간의 디자인 요소와 공간 테마 요소에 대한 연계성에 대해 분석 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복합 문화 공간의 실내·외 공공 공간의 디자인 연계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첫째, 디자인 요소의 분석에서 연계성이 가장 높은 요소는 인포메이션 사인이고 CI, 색채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하나의 디자인을 여러 공간에 반복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포메이션 사인이나 CI 요소가 통합적 디자인을 위한 활용도가 높은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포메이션 사인은 실내·외에 동일한 글꼴을 사용하여 그 연계성을 높였으며 동일한 기호의 사용, 동일한 형태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내·외 기후 및 환경의 차이로 인한 동일한 형태 디자인에 대한 어려움을 글꼴, 기호 등을 활용하여 그 연계성을 높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CI는 주로 CI 요소인 로고와 심볼을 이용한 연계성이 가장 높았으며 동일한 형태의 CI 사용, 동일한 색상의 CI 사용 순으로 연계성이 나타났다. 넷째, 실내·외 디자인을 연계하는 디자인요소로서 색채는 통일된 포인트 컬러의 사용, 테마별 색채 적용 순으로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된 포인트 컬러는 실내·외 파사드, 테마를 적용한 조닝별 색상 등으로 사용되었다. 다섯째, 복합 문화 공간에서 건축년도가 오래된 경우 리모델링 과정에서 실내·외의 디자인적 연계성을 고려하지 않아 통합 디자인적 측면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스페이스 마케팅의 공간 요소에 대한 연계성에서 가장 많이 적용된 요소는 차별화된 외관 이었으며 이는 클러스터 효과를 잘 반영한 복합 문화 공간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복합 문화 공간의 공공 공간을 통한 문화 마케팅의 경우 실내는 문화 지원과 문화 기업이 가장 많이 적용 되었고 실외의 경우 문화 판촉이 가장 많이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 문화 공간의 국내와 국외의 사례를 비교해 볼 때 국내 사례는 디자인 요소에 연계성을 많이 드러냈지만 일본 사례의 경우 공간 자체를 문화의 소비체로 인식한 건축 설계와 테마 요소 설정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통합 디자인을 통한 복합 문화 공간의 디자인과 공간 테마 요소에 대해 이와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복합 문화 공간이나 상업 공간의 디자인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서 활용이 기대 된다. 향후 통합 디자인에 따른 공공 공간의 디자인 연계성의 시너지 효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디자인 요소의 개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일본 사례에서처럼 국내에서 활용이 가능한 스페이스 마케팅과 문화 소비체로서의 공간 마케팅에 대한 디자인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e conceptualized modern space varies in a diversified manner with complicatedly changing multiple values in this contemporary society. Recently the concept of 'publicity' has been consistently a key word over the discussion seeking for the desirable space in an attempt to look for spatial design incorporated with publicity, its connectivity and marketing utilizing the space, all the agenda of which is based on the integrated design. As the elemental concepts of integrated design are gradually laid much weight in space design, it is of importance as a futuristic concept to organically draw out specified elements, in the initial stage of design planning for construction, for design and marketing both indoors and outdoors. It is of vital importance that the complex cultural space as typical commercial space be facilitated with accessibility from the extramural to the intramural passage, let alone publicity and commerciality, as well as provision of public space indoors and outdoors. The utilization of public space becomes diversified in its elemental functionality due to the influence of digitalized multimedia, and its associated space marketing along with cultural marketing gets more important as a means of publicity in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this regard, the study aims at analyzing connectivity between design elements in public space both interiors and exteriors and spatial theme elements over the local complex cultural spaces found in the areas of Seoul and Kyunggi province including Japanese complex cultural spaces designed by Jerde Partnership by way of preliminary study analysis, field investigation and literature survey. Below ar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on connectivity incorporated by publicity with design for complex cultural spaces First, the highest connectivity associated with analysis of design elements is proven detectable in order of information sign, CI and colors, which emphasizes that such information sign or CI element is widely applicable for integrated design as a means that one or more elements can be re-applicable for a variety of spaces. Second, as for information sign, the equal character fonts are adopted in pursue of their compatibility with order of same symbols and same types, which is deemed schemeful to compromise the difficulty in equal representation of design due to weather and environmental differences by maximizing connectivity among fonts and signs. Third, CI is most effectuated when it is connected with CI elements such as logo and symbol in sequence of equal type of CI use and equal color of CI use. Fourth, as far as design elements both interiors and exteriors are concerned, the color shows higher connectivity in order of unified point colors and color applications by theme, especially the former of which are applied for facade both interiors and exteriors and colors by zoning descriptive for themes. Fifth, it is verified that, as for the aged commercial complex buildings, little attention in their remodeling is paid to put into practice the design connectivity between indoor and outdoor. Sixth, it is identifiable that the differentiated appearance in buildings is emphatically applicable in virtue of connectivity for spatial elements in space marketing as well characterized as complex cultural space to reflect the cluster effect. Seventh, when it comes to cultural marketing through public space in complex cultural spaces, it is mostly applied by cultural assistance and cultural companies in the indoor aspect, and by cultural promotion in the outdoor aspect. In comparison with domestic and overseas complex cultural spaces, it is identifiably distinctive that the Korean examples lay much emphasis on connectivity in design elements, but the Japanese ones consider the space as the cultural consumption in their constructional designs and theme settings. As described above, the study is focused on connectivity between design elements and spatial theme elements in complex cultural spaces viewed through integrated desig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study are hopefully conducive to offer the basic data for designing complex cultural spaces and commercial space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ngoing studies to develop various design elements must be continuously proceeded together with researches on synergy effect to seek possible applications of design into the public space in the aspect of integrated design. Furthermore, studies on space marketing oriented for cultural consumption that is fit for the local situation must be also investigated properly as shown in the cases in Japan through this stud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47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82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실내환경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