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2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기-
dc.contributor.author김영한-
dc.date.accessioned2020-04-06T17:00:40Z-
dc.date.available2020-04-06T17:00:40Z-
dc.date.issued2008-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455-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272en_US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1990년대 이후 한국 방송시장의 노동유연화에 대한 방송노동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노동과정 분석을 통해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한국 방송노동시장 유연화에 영향을 미친 주요 환경적 요인은 무엇이며, 그것들은 유연화 과정에서 어떻게 작용하였는가를 묻고 있다. 노동유연화를 유발한 환경적 요인은 경제적 요인, 기술적 요인, 정책적·법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의 네 가지 범주에서 분석이 가능했다. 경제적 요인으로는 방송 인력의 수요공급 불균형을 초래한 풍부한 노동예비군과 방송사의 인력 다운사이징 경영전략이 유연화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신 제작장비의 도입은 텔레비전 노동의 특징으로 알려진 다양한 숙련기술에 의한 협업노동에 균열을 가져오는 유연화의 기술적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노동유연화를 초래한 대표적인 정책적·법제적 요인으로는 정리해고 및 파견에 관한 법안, 외주제작의무비율제 등이 있다. 1990년대 말 IMF 외환위기 이후 공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담론이 종신고용을 누리던 방송사에 대해 인력 구조조정의 압력으로 작용한 사례는 유연화의 사회적 요인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노동시장 유연화에 대한 한국 방송노동자들의 경험을 다루고 있다. 분석결과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는 유연화를 매우 차별적으로 경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규직 노동시장에서는 노동조합의 억지력으로 인해 정리해고, 연봉제와 같은 수량적 유연화와 임금 유연화는 극히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신기술 도입으로 인한 기능적 유연화는 기존의 노동과정을 변화시키고 있다. 반면, 비정규직 노동자의 유연화 경험은 수량적 유연화 및 임금 유연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고용이 불안정한 결과,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일방적 해고, 정규직 업무의 전가, 차별대우, 자율적인 노동통제권 상실, 열악한 노동조건, 성·연령·학력 차별적인 고용관행 등을 일상적으로 경험하고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시간외수당 지급에서 불이익을 받을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의 기획과 개발에 투여하는 노동에 대한 보상을 전혀 받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게다가 정규직 노동자의 고정급에 비해 바우처로 제작비에서 임금이 지급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나마도 지급시기가 일정치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비정규직 노동시장에서 신기술 도입에 의한 기능적 유연화는 외부노동시장의 경제적 영세성과 노동자의 빈번한 이직으로 인해 아직 활성화되고 있지 않다. 오히려 비정규직 노동에서 테크놀로지의 도입은 노동자의 직무자율성을 높이기보다는 무급 노동과 노동시간의 증가를 불러와 노동착취를 유발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마지막 연구문제는 한국 방송노동자들은 유연화된 노동현실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질문하고 있다. 방송노동자들을 정규직/비정규직의 고용형태와 방송사 내부노동시장/외부노동시장의 기준으로 현실만족형, 개척자형, 현실순응형, 변화추구형의 네 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방송사의 정규직 노동자들이 속한 현실만족형은 노동조합의 해고제한 행위로 인해 고용안정을 누리고 있으나, 외부노동시장의 정규직인 개척자형, 외부노동시장의 비정규직인 현실순응형, 방송사의 비정규직인 변화추구형은 노동현실에서 한결같이 고용불안을 느끼고 있으며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차별적으로 고용불안을 관리하는 전략을 동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척자형은 현재의 노동시장에서 경험과 경력을 쌓은 뒤 창업이나 다른 회사의 정규직으로의 진입을 계획하고 있는 사람들이며, 현실순응형은 노조설립이 어려운 상황을 직시하고 현재의 노동에 안주하는 사람들이다. 변화추구형은 방송사의 비정규직 노동자들로서 정규직 노동자와 한 사업장에서 일하면서 노동조건과 임금에서 차별을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때문에 노동시장 유연화의 모순을 가장 크게 느끼는 동시에 모순의 해결에도 가장 적극적인 사람들로 나타났다. 요약하자면 1990년대 이후 한국 방송노동자의 노동유연화 경험은 방송사 정규직 노동자를 제외한 다른 제 유형의 노동자들에게 일상적인 고용불안과 그로 인해 파생된 저임금과 열악한 노동조건의 경험에 다름 아니다. 이러한 불합리와 불평등을 낳은 원천으로서의 고용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비정규직 방송노동자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다양한 전략을 동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rough the analysis of broadcast workers' labor process, this study explores the flexibility of the labor market in the Korean broadcasting industry, focusing on broadcast workers' experiences and recognition of the altered environment since the 1990s. For this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drawn. The first question asks the contextual factors of, and their influences on, the Korean broadcasting labor market flexibility. Four categories were suggested as the causes of the labor market flexibility: economic factors, technological factors, policy and legal factors, and finally, social factors. For economic factors, abundant industrial reserve army which caused the supply-demand asymmetry of the labor force, and corporate downsizing managerial strategies were selected as the main causes of flexibility. Newly introduced broadcast equipment was understood as a technological factor, bringing the partial breakdown of cooperative labor practices based upon each worker's craft skills. Policy and legal factors of the labor market flexibility include laws and regulations concerning layoff, dispatched labor, and the independent television production quota system. In the late 1990s, social pressures against public corporations which enjoyed employment security were interpreted as the social factors which facilitated the labor market flexibility in the Korean broadcasting industry.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ddresses the Korean broadcast workers' experiences with labor market flexibility. A great gap was identified in the breadth and depth of flexibility experiences between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In the regular laborers' market, due to the labor union's deterrence against employment insecurity, numerical and wage flexibility were highly limited while,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functional flexibility greatly advanced to produce the alteration of the broadcast labor process. On the other hand, non-regular workers' experiences with flexibility were found to be directly concerned with numerical and wage flexibility. As a consequence of employment insecurity, non-regular workers had to experience, on a daily basis, unexpected layoff, transfer of regular workers' tasks, discriminatory treatment, loss of autonomous work control, degraded working conditions, and gender/age/education-discriminatory employment practices. In terms of wage flexibility, non-regular workers were not compensated for their contribution to creative efforts. Contrary to regular workers' fixed salary, non-regular workers were paid through vouchers and contracts, and moreover, regularity of payment was not guaranteed. Due to the fact that independent and contract service companies are not sufficiently financially stable to purchase production equipment, functional flexibility cannot be well established in the non-regular labor market. High turnover rate in this occupation is another reason for independent producers' reluctance to invest for functional flexibility. The significance of functional flexibility in the non-regular labor force is thus interpreted as labor exploitation resulting from increasing non-paid labor and growing working hours. The final research question deals with broadcasters' recognition of the altered labor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employment patterns including regular or non-regular workers, and the labor market including in-house or external markets, four types of broadcast workers are drawn. They include reality satisfaction type, frontier type, reality acquiescence type, and change pursuit type. Internal labor market regular workers, belonging to the reality satisfaction pattern, enjoy employment security, whereas the remaining three types of frontier(external labor market regular workers), reality acquiescence(external labor market non-regular workers), and change pursuit(internal labor market non-regular workers), all suffer from employment insecurity, and use various tactics and strategies to manage those insecurities. Frontier type workers seek to establish their own companies or to enter big companies as regular workers after acquiring experiences and careers in the current labor market, while reality acquiescence type workers prefer to stay in the current labor market because they understand that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labor unions to protect their working conditions. Finally, change pursuit type laborers, working as non-regular workers with regular workers in the same companies, experience inequalities in the working conditions and wage levels on a daily basis. Therefore, change pursuit type workers are the ones who are the greatest victims of, and at the same time the most active players in the solution of, the contradictions of labor market flexibility. In short, Korean broadcast non-regular workers' experiences with labor market flexibility are none other than the management of employment insecurity.-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한국 방송노동시장의 유연화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flexibility of the labor market in the Korean broadcasting industry: Focusing on broadcast workers' experiences and recognition of the altered labor environment since the 1990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영한-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Young Ha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신문방송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방송/뉴미디어/영상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신문방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