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수철-
dc.contributor.author박상오-
dc.date.accessioned2020-04-06T17:00:10Z-
dc.date.available2020-04-06T17:00:10Z-
dc.date.issued2008-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44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008en_US
dc.description.abstract인간 개개인의 건강과 여유로움, 남들과 차별화된 자아발견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현대인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는 생활 곳곳에 ‘웰빙’이라는 이름을 붙인 문화와 산업이 시간이 흐를수록 확산되고 있다. 웰빙현상은 자연으로의 회귀와 환경보호를 추구하는 친환경주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발맞추어,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관련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이처럼 건강과 환경을 생각하는 현대인의 가치관에 대한 변화는 새로운 문화를 만들고 이에 따른 새로운 웰빙 트렌드를 형성시키고 있다. 새로운 웰빙 트렌드는 의류산업 전반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하이테크와 신소재를 활용한 기능과 기술, 그리고 감성, 즉 디자인이 결합된 섬유와 의류제품 및 신발, 장신구, 안경 등을 포함한 웰빙웨어디자인제품이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산업,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웰빙웨어디자인제품과 산업현황을 분석하고, 실제 소비자 구매행동과의 연관성을 실증 분석하여 소재, 디자인, 마케팅의 통합된 이론적 자료로서 세계시장에 보다 앞선 웰빙웨어디자인제품 개발이 가능하도록 유통 및 판매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웰빙웨어디자인제품 중 미래의 글로벌마켓 성장을 이끌어갈 수 있고, 현재 생산 및 소비가 증가추세로서 시장 확산 양상이 뚜렷한 섬유제품을 중심으로 소재와 디자인경향 및 특징을 분석함으로서 웰빙웨어디자인제품의 명확한 개념과 범위를 제시하였고, 개발된 웰빙웨어디자인제품과 실제 소비자 구매행동의 연관성을 실증 분석하였다. 이론적 연구는 문헌자료인 주로 국내외 선행연구논문 및 학술발표논문을 기반으로, 관련 신문기사와 국내외 전문서적, 전문잡지, 인터넷 사이트, 제품 카탈로그 등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 제시하였다. 실증적 연구는 연구목적에 맞는 소비자 구매행동 분석을 위하여 E. B. M 모델을 기반으로 연구문제를 도출하였으며, 표본선정을 거쳐 설문지를 통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의 접근방식에 따라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교차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환경친화성제품과 건강기능성 제품은 서로의 기능성을 공유하여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세분화되고 전문적인 제품으로 거듭나고 있었으며, 웰빙웨어디자인제품에 표현된 경향은 웰빙 트렌드에 영향을 받은 에콜로지, 에스닉, 레트로 경향의 색채와 문양이 제품에 적용되어 기능성 소재뿐아니라 디자인에서도 웰빙을 구현하고자 하는 시도가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증적 연구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이 웰빙웨어디자인제품을 구매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의 건강을 위해서였고, 건강을 도울 수 있는 기능성이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에 대한 관심도 웰빙웨어디자인제품을 구매하는데 커다란 이유로서 자리매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품 구매 시 착용감과 소재를 가장 중요시하며, 이후에 디자인과 가격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웰빙웨어디자인제품 구매 시 소비자들의 건강기능성의 중요도는 성별에 관계없이 중요시 하였으며, 연령은 30대가 가장 건강기능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 살펴보면 사무직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고 학생이 가장 건강기능성의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30대 전업주부계층이 환경문제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의 구매행동 분석결과 아직까지는 웰빙웨어디자인제품의 디자인이 일반 의류제품에 비하여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소비자들의 심미적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디자인 개발에 있어 텍스타일디자인의 중요도를 높이고 소재에 따른 기능성이 첨가되어야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 웰빙웨어디자인제품은 재 구매율과 만족도가 높았으며,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 구매의사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인의 건강뿐아니라 친환경적 특성으로 모든 인류가 더 나은 삶을 추구하기 위하여 개발된 웰빙웨어디자인제품은 더 이상 선택의 개념이 아닌 필수적 요소로서 자리잡아가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심미적 욕구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고기능성, 고감성 제품들이 선호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웰빙웨어디자인제품들은 소비자들에게 기능성에 비하여 디자인이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디자인적 요소를 강화하고 각 구매계층별 관심도 및 중요도에 따른 대응제품을 개발함으로서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며, 점차 확대되고 있는 세계 웰빙웨어디자인제품 시장을 주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웰빙웨어디자인제품 확대에 따른 인류의 건강과 환경의 보존까지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향후 웰빙웨어디자인제품 개발에 있어 디자인, 소재, 마케팅의 통합적 측면의 이론적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첨단 웰빙웨어디자인제품 개발로 경제 및 섬유산업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For individual health and placidity, the cultural industry entitled ‘Well-being’ has been spread through the life style of people who live in modern time to want having differentiated self-discovery. Under the ‘Well-being’ phenomenon, the various goods related with ‘Well-being’ are being produced to keep pace with changing of eco-friendly life style to return the nature. The changed value by the people who regard their health and environment the most have formed a new culture and a ‘Well-being’ trend in nowadays. The new ‘Well-being’ trend has an effect on all fashion industry area. Being concerned about health and environment, a lot of ‘Well-being’ wear products such as textiles, clothes, shoes, accessories and glasses combined with function, technologies, sensation, and design are being produced. This thesis is designed to explore the definite concept of ‘Well-being’ wear products and it's industrial situation follows economic, culture, and social expanding in domestic and global market, and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and the development of ‘Well-being’ wear product industr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revitalization of marketing and merchandising by development of ‘Well-being’ wear products through unifying theoretical data in marketing, design, and material. In the scope of this study,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and design are analyzed to take focus on leading well-being wear products in future global market and in expanding tendency of the productivity and consumption in present status. Also this study refers to clear definition and range of well-being wear design product, and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and the development of ‘Well-being’ wear product industry. For theoretical basis in this study, it was researched through some precedent thesis, proceedings, related articles, internet sites, technical magazines, product catalogs, etc. For an actual proof, it gave salience to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results, based on E. B. M. model. The result analysis are composed by the sample survey through setting up the standard model. Gathering Information was classified into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relative analysis, rare analysis, and range analysis. As a result, it is figured out that eco-friendly products and health-functional items are sharing each other's functions and reproduction of these items as detailed and specialized products. Tendency of well-being wear design products present the attempt of using environmental colors and patterns such as ecology, ethnic, and retro to embody Well-being in design and material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actual proof. First,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consumers purchase well-being design products is that they think of their health as the most considerable thing. Another reason is that they are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 It was shown that they are thinking of material and comfor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n they consider prices and design. Second, without considering distinction of sex, their priority interest is health-functional products. In particular, the 30-year-old respondents regard health-functional good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field of working area, who engaged the management department shows the highest interest in health functions. On the contrary, students show the lowest interest on it. Housewives in their thirties show the highest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urchasing behavior of the consumers, it shows that the well-being wear design products are not enough to satisfy the consumer who is used to get the existing fashion clothes. Thus, it is believed that well-being design wear products have to be developed in need of aesthetic designs. To satisfy consumers' wants, it is also judged that the importance of textile design and functions based on materials should be added in the design development. Fourth, consumers have a strong tendency to re-buy the well-being design products, and most of them are satisfied by their purchases. That is to say, the more satisfied consumers are the more they want to buy them. The Well-being wear goods have already become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items. Consumers' interest and aesthetic appreciation about their functions are contrary increasing to non-satisfied desig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design factors should be added in a well-being wear design product. New and refreshed well-being wear design products should also be developed to promote consumers' purchasing, coping with interest and taste for each class and to lead global well-being industry market. It will contribute to promote health of the people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and effective when used as source of theoretical data and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the material, design, and marketing, and will contribute to revitalization of marketing and merchandising by development of ‘Well-being’ wear product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웰빙웨어디자인제품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Well-Being Wear Design Product : Focusing on Textile Product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상오-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Sang Oh-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섬유패션디자인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섬유패션디자인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TEXTILE & FASHION DESIGN(섬유패션디자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