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5 0

한국무용 전공경력에 따른 북춤이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Title
한국무용 전공경력에 따른 북춤이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korean dance experience on stress hormones
Author
이나영
Alternative Author(s)
Lee, Na-Young
Advisor(s)
오율자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무용 수행 경력이 2년 이하인 집단과 7년 이상인 한국무용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신체구성의 비교와 북춤 수행 전 · 후의 스트레스 호르몬(코티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코티졸은 경력이 2년인 집단이 수행 전 116.80±56.87ng/ml에서 수행 후 149.82±74.60ng/ml로 38.11ng/ml 증가하였으며, 경력이 7년인 집단은 수행 전 111.61±48.88ng/ml에서 수행 후 125.30±49.97ng/ml로 23.60ng/ml증가하여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두 집단간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둘째, 에피네프린은 경력이 2년인 집단이 수행 전 5.57±3.03ng/ml에서 수행 후 13.33±8.80ng/ml로 7.76ng/ml 증가하였으며, 경력이 7년인 집단은 수행 전 5.57±10.83ng/ml에서 수행 후 10.83±2.79ng/ml로 5.08ng/ml 증가하여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두 집단간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노르에피네프린은 경력이 2년인 집단이 수행 전 54.55±19.36ng/ml에서 수행 후 144.83±98.04ng/ml로 90.28ng/ml 증가하였으며, 경력이 7년인 집단은 수행 전 48.50±14.16ng/ml에서 수행 후 89.66±22.04ng/ml로 41.16ng/ml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두 집단간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에서 볼 때 한국무용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무용 수행 전 · 후의 스트레스 호르몬 농도는 두 집단 모두 무용 수행 후 호르몬 농도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지만 스트레스 호르몬 농도의 변화 폭을 보았을 때 이는 무용 수행 능력 정도에 따라 또, 경력이 오래된 숙련자일수록 무용 수행에 있어 신체적,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보여 지며, 효과적인 무용 수행을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무용 경력에 따른 무용 수행 전 · 후의 스트레스 호르몬 농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만 이루어졌지만, 피험자의 심리적 상태를 감안한 비교 연구와 무용 수행 전 · 후 뿐만 아니라 회복기 스트레스 호르몬 농도 변화에 관한 비교 연구의 결과도 도출해 낸다면 더욱 발전적이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body composition and stress hormone(cortisol, epinephrine, norepinephrine) for subjects, who were majoring korean classic dance with 2~7-year experience before and after the drum dance performance. First of all, cortisol increased from 116.80±56.87ng/m before performance to 149.82±74.60ng/ml after performance for subjects with 2-year experience, and increased from 111.61±48.88ng/ml before performance to 125.30±49.97ng/ml after performance for subjects with 7-year experience. Fin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n 2~7-year experience groups,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Second, epinephrine increased from 5.57±3.03ng/ml before performance to 13.33±8.80ng/ml after performance for subjects with 2-year experience, and increased from 5.57±10.83ng/ml before performance to 10.83±2.79ng/ml after performance for subjects with 7-year experience. Finally,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Third, epinephrine increased from 54.55±19.36ng/ml before performance to 144.83±98.04ng/ml after performance for subjects with 2-year experience, and increased from 48.50±14.16ng/ml before performance to 89.66±22.04ng/ml after performance for subjects with 7-year experience, so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n 2 and 7-year experience groups,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As mentioned above, the density of stress hormones for subjects majoring korean dance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on two groups, and the more experience experts have, less mental, physical stresses they have. Although this study was focusing on the variation of stress hormones density before and after the performance with one's dance experience, the comparative research related to psychological status for subjects and the variation of stress hormone density on pre-and post-performance as well as a convalescent stage i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43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27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DANCE & WELL-BEING(생활무용예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