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0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민-
dc.contributor.author쿠로야나기유스케-
dc.date.accessioned2020-04-06T16:58:01Z-
dc.date.available2020-04-06T16:58:01Z-
dc.date.issued2008-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411-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266en_US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한국의 보육 과제인 공적보육의 확충과 보육의 질적 향상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국공립보육시설을 비교한 연구결과이다. 시장원리가 강한 한국 보육시설은 개인 및 민간시설이 많기 때문에 국공립보육시설에 있어서도 그 공공성이 의심스럽다. 따라서 한국 국공립보육에 있어서 과연 얼마나 공공성이 있는지, 또 그 공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무엇을 하여야 하는지, 이 두 가지 문제제기를 하였다. 연구내용은 한국 국공립보육시설 3개소와 일본 공립보육시설 2개소, 또 참고로써 공설민영시설 1개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분석은 양국 보육제도와 유사점과 차이점, 보육시설유형별로 검토, 그리고 보육비의 보조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현장조사는 시설장(長)과 보육교사의 신분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문헌분석 결과로는 첫째, 보육제도 사이에서 미취학 전 시설 즉,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이원화체제가 유사점이다.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본은 인가보육시설을 중심으로 공적보육시설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한국은 국공립 및 법인시설 수가 적고, 그 대부분을 개인 및 민간시설이 맡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보육비 보조가 존재하지만, 한국은 기본적으로 생활보호자와 같은 저소득층만을 중심으로 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고, 일반가정에 대한 보조가 거의 없다. 또한 한국의 경우 보육비 부담 비율에서 보호자의 부담이 가장 많은 반면, 일본은 입소하는 아동의 보육비를 지자체에서 설정하기 때문에 인가보육시설(국공립 및 민간)의 보육비는 차이가 없으며, 보호자가 부담하는 보육비도 지자체 보육과가 지정하는 입소조건에 맞추어서 보조금이 설정이 된다. 다음으로 현장조사결과이다. 첫째, 한국 시설장은 위탁경영자 신분으로 관리 및 운영을 한다. 반면 일본 시설장은 지방공무원이고, 시설의 관리 및 운영은 지자체 보육과가 담당한다. 둘째, 한국 보육교사 대부분이 20대 또 30대에서 퇴직하는 특징이 있다. 반면 일본 보육교사는 지방공무원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사회적 지위와 고용안정이 보장성이 보장된다. 위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결론에 돌출하였다. 첫째, 한국 국공립보육시설은 시설수도 적고, 생활보호자와 같은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경향이 강하다. 그래서 일반가정의 입소가 힘들고 공공성이 약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보육의 공공성을 지키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시설장 및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고용의 안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 이유는 보육자(시설장 및 보육교사)의 고용안정이 곧 보육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마지막에 한국과 일본의 보육정책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한국은 공적보육의 확충 과제에 향하여 국공립보육시설의 증설, 법인보육시설 등에 대한 정부지원을 증가하여야 한다. 또한 보육자의 사회적 지위향상과 고용의 안정을 확보한 다음에 보육의 질적 향상을 제공하여야 한다. 반면 일본은 한국보다 공적보육이 잘되고 있다고 하지만, 최근 정부의 규제완화정책으로 인해 국공립보육시설의 민영화가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 즉 일본에서도 보육의 공공성에 대하여 다시 고찰하여야할 시점이다. 따라서 이 논문의 결과를 참고하여 공적보육의 중요성, 그리고 보육자의 고용안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인식하고, 보육정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solution plan to Korean's child-care issue, that is expansion of the public child care and child-care's qualitative improvement. This study compares Japanese national child-care facilities with Korean national child-care facilities. Korean child-care facilities are strong market mechanism, and so there are many individual and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also there is doubt national child-care facilities have public? This study gives two proposals. First, How much publicity national child-care facilities have in Korea? Second, What does national child-care facilities have to do to preserve public child-care?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areas of the Korean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two areas of the Japanese public child-care facilities. Through literature survey, I examin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Japan's child-care system and the type of the child-care facilities and explored in detail each. Through fieldwork survey, I examined public assistance of child-care expenses and social relationship between supporting directors and teachers.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literature survey showed that Japan and Korea's child-care style resemble preschool dualism system in preschool and child-care facilities. However, Japan's public child-care facility quantities are larger than korea's. The reason is that Japan's child-care facilities are licensed by the area larger. Korea has few national and corporate facilities. Therefore, There are many individuals and private facilities that do not meet public-care standards. Japan and Korea have rate of child-care subsidy. But, Korea mainly provides it for people's livelihood and low-income earners. So ordinary households aren't provided with it, also parents bear most of the child-care expenses. In Japan, the local government chooses the child-care facilities and child-care expenses. Child-care expenses are the same in sanction child-care facilities in both public and private areas, and the subsidies are set by each home situation. The fieldwork's findings were many. First, Korea's facility director is an entrusted manager. The Japanese director is a local public service worker, and so local government child-care department management manages the child-care facilities. Second, Korea's teachers tend to retire in 20-30 years. Japan's teachers are local public service workers and so they are protected by employment stability and social status. There are two major findings. First, Korea's national child-care facilities are few and enter children who enter the center mostly tend to be of livelihood and low income people.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children of average income families to enter. So korea's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re weak. Second, Korea directors and teachers have very unprotected positions, and so their social status and job security are indispensable to keep public child-care. Final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has many suggestions that Japan and Korea's child-care policy. First, Korea should increase its public and corporate child-care facilities to solve the issue of public child-care.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social status and employment security of child-care workers. Because it is a big fluence on working conditions of child-care's quality. Second, Japan's public child-care is more substantial than Korea's. But recently privatization of the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rea advancing by a deregul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Therefore, It is doubtful that Japan's child-care facilities can keep up with public child-care, and so Japan should make a child-care policy.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child-care worker's employment stability and public-care.-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한국과 일본 국공립보육시설 비교연구-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f National and Public Children's Facilities in South Korea and Japan : On Quality of Child-Care and the Relations of Public Responsibilit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쿠로야나기 유스케-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uroyanagi Yusuke-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사회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경제사회학-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OCIOLOGY(사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