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0 0

대학 졸업자의 첫 노동시장 이행 성과 결정요인

Title
대학 졸업자의 첫 노동시장 이행 성과 결정요인
Other Titles
Determinants of the First Job Attainment for College Graduates in Korea :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Preparedness
Author
장기영
Alternative Author(s)
Jang, Ki-Young
Advisor(s)
김명수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 졸업자들의 첫 노동시장 이행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 하는 것이다. 한 개인에게 있어서 대학 교육을 마치고 첫 번째로 획득하는 일자리는 향후 그 사람의 생애를 통해 획득하게 되는 사회적 지위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개인의 첫 노동시장 이행 성과에 대한 요인 분석은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의 불평등을 포함한 사회불평등 구조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함의를 갖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인의 사회경제적 요인이나 교육특성, 개인노력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첫 노동시장 이행 성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고, 특히 대졸자의 첫 노동시장 이행 성과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에서 고학력자들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직접적으로 또는 교육특성이나 개인수준의 노력과 결합하여 취업(취업여부, 고용형태, 직장규모)과 임금이라는 노동시장 이행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배경의 효과를 부모학력, 부모직업, 고교지역 그리고 가구소득을 통해 살펴보았다. 가구소득은 일반적 예상과 같이 노동시장 이행 성과에 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고교지역은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부모의 학력과 부모의 직업은 취업여부와 고용형태에 대하여 부적(-)인 효과를 가졌는데, 이것은 부모의 교육수준이나 직업수준이 높을수록 자녀 스스로 본인의 직업을 통한 사회경제적 지위상승에 대한 기대수준은 높지만, 현실적으로 이에 상응하는 일자리 획득이 따르지 않는 일종의 ‘지연(遲延)’ 현상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들은 사회경제적 배경 변수들의 효과를 하나로 묶어 논의하고 있지만, 이 연구의 결과는 사회경제적 배경 변수들의 구성요인들을 개별적으로 살펴보는 것에 대한 유용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교육특성은 고교유형, 대학지역, 대학계열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일반적인 예상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서울권 대학 졸업자들이 수도권이나 지방대학 졸업자에 비해 노동시장 이행 성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계열은 취업 자체는 인문계열이 유리하지만, 대기업 취업과 임금에 있어서는 자연계열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특기할 만한 결과는 출신 고교유형에 대해서는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 대학 졸업자가 일반계 고등학교 출신 대학 졸업자 보다 취업과 임금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직업교육과 대학수준의 교육이 결합하여 졸업 후 취업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개인의 노동시장 이행준비 노력은 대학성적, 어학연수, 일 경험, 직업훈련, 구직경로 변수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각기 이행준비 변수들은 노동시장 이행 성과에 대하여 차별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인적자본론의 예상과 같이 대학성적, 어학연수 그리고 직업훈련과 같은 이행준비는 노동시장 이행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재학 중 일 경험은 대졸자의 첫 노동시장 이행 성과에 대해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재학 중 일 경험이 대부분 시간제 아르바이트나 과외와 같은 단순한 일 경험이기 때문에 노동시장 진입에 별다른 차별적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기존의 연구들과 상반되게 자격증 취득이 이행 성과에 대하여 갖는 효과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기존의 연구들이 대부분 청년층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있어 자격증 효과가 교육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고등교육 미진학자의 경우 학력수준 보다 자격증이 중요시 되는 일자리로 진입하는데 자격증의 효과가 긍정적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고학력자들의 경우 취업이나 임금 상황을 바꿀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못한 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개인의 사회적 자본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직경로를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비공식적인 경로를 통하는 것이 취업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취업의 질과 관련한 고용형태나 직장규모 그리고 임금에 있어서는 공식적인 경로를 통할 때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기존의 ‘약한 연결망’ 이론만으로는 노동시장 이행 성과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개인의 비공식적인 연결망과 공식적인 연결망은 노동시장 이행 성과에 대해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이 서로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들의 이론적 함의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지위획득 이론에서는 다른 요인들 보다 가정배경과 교육에 관심을 가졌으며, 가정배경이 교육을 매개로 노동시장에서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 한다. 한편 인적자본 이론에서는 교육이나 훈련에 대한 투자에 관심을 가졌고, 개인의 인적자본 증대가 노동시장에서의 성공을 가져온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연구의 분석결과 지위획득모형이나 인적자본론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어느 한 특성만이 개인의 노동시장 성과에 일관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지위획득 모형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가정배경이 개인의 노동시장 성과에 일관된 효과를 보이는 것이 아니라, 자녀의 상황과 노동시장의 상황에 따라 노동시장 이행 성과가 다를 수 있다. 또한 인적자본론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교육 및 훈련에 대한 투자가 개인의 노동시장 성과에 모두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상황이나 노동시장의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대학 졸업자의 첫 노동시장 성과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배경이나 교육특성 그리고 개인노력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이 각기 차별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에 따라 개인의 노동시장 성과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determinant factors of Korean college graduates’ transition to the labour market. It is commonly known that the very first job after having completed higher education, i.e., college or university level, is important in determining social status throughout his/her life course. Analyses on individuals’ school to the labour market transition are therefore meaningful in understanding unequal social structure including labour market inequality. Rare, however, are studies examining the transition to the labour market upon graduation systematically taking into comprehensive account individuals’ socio-economic status,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r individual preparedness for the transition. More so are studies examining college graduates’ transition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llege graduates’ socioeconomic status on their own, or in combination with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r with individual preparedness, on employment (whether employed or not, type of employment, size of workplaces) and also on wages. For the analysis, it use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produc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looks at, as socioeconomic backgrounds, parents’ education and occupation, household income, and the region where the graduates went to high school. The study confirms that the household incom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ransition to the labour market while the regional factor turns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arents’ education and occupations show negative effects. This can be understood as a ‘delayed effect’: the higher education and occupation of parents’, the higher offspring's expectation for an elevation of socio-economic status through the first job upon graduation. The corresponding job acquisition, however, is not guaranteed. Existing studies tend to discuss such socio-economic factors into one single effect. The current study is meaningful in the way that it discusses various socio-economic factors independently one from another. Seco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by type of high school, location of attended university, and also by type of university or college. Not surprisingly, graduate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recorded better outcomes in comparison to other graduate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outskirts of Seoul or in other provinces. Graduates in Humanities performed better in getting a job while in terms of being employed by big firms and of wage levels, Science graduates turned out to perform well. On the other hand, college graduates with a vocational high school background recorded better performances than college graduates with an academic high school background in terms of both employment and wage. Vocational education from high school combined with university education may have affected the transition positively. Third, individual preparedness for the transition are examined by academic credits earned at university, attendance to a foreign language school, work experiences, vocational training, and job-searching networks. These variables turn out to affect individuals’ transition to the labour marke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Academic credits from university, language school attendance, and vocational training, affect the transition positively. This confirms the human capital theory. Meanwhile, the work experience effect turns out to be not significant.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university students’ jobs are mostly hourly paid student jobs or non-technical jobs. An interesting finding is that, opposing to many existing studies’ arguments, qualification or certificates turn out to exert a negative effect on the labour market transition. This is because most existing studies have the youth, a whole group, as their target of examination, neglecting a possibility of qualification effects being applied differently by level of education. For example, a certificate may affect positively the labour market transition of less educated people, for example, non high school graduates, while it does not affect highly educated, college graduates’ in any meaningful sense. The study also examines job-searching networks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individuals’ social capital. The results show that private networks increase the probability of being hired while official networks increase that of being employed by big firms and finding a regular job and of high wag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xisting ‘weak ties’ theory alone cannot explain fully the school-to-the-labour-market transition. In other words, both private and official networks may have their own merits with regard to individuals’ transition to the labour market. The existing social status attainment theory emphasizes family and educational backgrounds whereas the human capital theory underlines education and training. Unlike these theories that argue that one particular characteristic makes a consistent effect on the transition, the current study finds more interesting results: family backgrounds do affect the transition to the labour market but its results may differ by the circumstances of concerned offspring’s or by the labour market situation.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may be helpful but its effects also differ by personal or labour market circumstances. In summary, the performances of college graduates’ school-tothe- labour-market transition are dependent on individuals’ respective socio-economic backgrounds,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also on individual preparedness for the transition. The outcomes, however, are not the same for everyon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40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72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OCIOLOGY(사회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