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相圭-
dc.contributor.author전상화-
dc.date.accessioned2020-04-06T16:56:54Z-
dc.date.available2020-04-06T16:56:54Z-
dc.date.issued2008-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39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060en_US
dc.description.abstract자산유동화는 유동화대상 자산의 현금흐름을 담보로 증권을 발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원칙적으로 대상 자산으로부터 현금흐름이 창출되고, 현금흐름이 예측될 수 있다면 유동화거래가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자산이 유동화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유동화증권 발행 총액이 19조원에 이르는 시장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은 제정될 당시에 초기 단계의 유동화시장을 전제로 하고 있어, 급격하게 변화된 시장과 심각한 괴리가 생겼다. 따라서 자산유동화법의 보완을 필요로 한다. 자산유동화법에서 유동화증권의 상환을 원활히 하기 위해 관련 당사자들의 자격 및 권한을 제한하고 있다. 첫 번째로, 자산유동화법에서 자산유동화를 할 수 있는 자를 열거하고 있다. 이는 낮은 신용등급의 자산보유자도 신용보강을 통해 자금조달의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자산유동화의 거래의 본질적인 목적과 배치된다. 두 번째로, 자산유동화법은 유동화전문회사의 설립 절차 및 권한에 관해서 상당히 제약을 가하고 있다. 이는 유동화전문회사가 가지는 의의 때문이다. 유동화전문회사가 설립됨으로 인해, 유동화증권은 자산보유자의 파산으로부터 절연된다. 또한 유동화전문회사는 각종 유동화증권을 발행하고, 공시 의무의 주체가 된다. 이처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유동화전문회사는 자산유동화법에서 원칙적으로 상법상 유한회사이고,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에서 특례를 두는 형식으로 규정하였다. 이로 인해 유동화전문회사는 포괄유동화를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유동화전문회사 설립절차가 매우 복잡하다. 또한 유동화전문회사가 사모로 유동화증권을 발행하였을 때에는, 가장(假裝) 자산유동화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세 번째로, 자산관리자는 원리금 상환 및 채권 추심업무 등 유동화 증권 상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그 자격을 신용정보업자, 자산보유자, 자산관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자로 제한하였다. 이는 자산보유자가 자산관리자가 됨으로써 혼장 위험을 발생하는 크나큰 문제점도 도출되었다. 매매형 자산유동화에 있어서, 자산유동화법 제13조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그러나 자산유동화법 제13조는 그 요건이 불명확하여 관련 당사자들의 혼란만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매매 또는 교환으로 그 거래 방식을 제한하고 있었다. 자산유동화법은 신탁형 자산유동화를 적극적으로 규제하고 있지 않다. 자산유동화법에서는 신탁법 및 신탁업법의 규정을 준용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진정한 신탁의 요건, 수탁재산의 범위, 수탁자의 의무에 관해서 많은 해석상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자산유동화법을 적용받지 아니하는 비정형 자산유동화가 활성화 되고 있다. 비정형 자산유동화는 국내에 관련된 법률체계와 많은 충돌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기초자산인 채권을 양도할 때, 대항요건을 구비하기 위해 불특정 다수의 채무자로부터 일일이 동의를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도출된다. 비정형 자산유동화도 본질적으로 자산유동화거래임은 분명하다. 따라서 자산유동화든 비정형 자산유동화든 자산유동화법 규제의 틀에 포섭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자산유동화시장의 발전을 기할 뿐만 아니라 시장의 건전성도 제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산유동화시장의 발전을 위해 자산유동화법을 개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우선, 자산보유자의 자격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두 번째로, 유동화전문회사의 권한을 확대하여 포괄유동화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세 번째로, 유동화거래 이용 형태에 관한 제한을 없애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매매형 자산유동화에 있어서, 진정한 양도요건에 관한 규정은 “safe harbor" 성격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자산유동화법이 신탁형 자산유동화에 관한 명확한 규제를 하여야 한다. 네 번째로, 자산유동화거래에 있어서 공시제도의 개선도 이루어져야한다. 이를 통해 공시의무주체를 명확히 할 뿐만 아니라 유동화거래의 관련 당사자에 관한 세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산유동화법의 발전적 해체를 주장하고자 한다. 정부는 이질적인 체계인 영미법상 원리인 자산유동화를 신속히 도입하기 위해 자산유동화법을 제정하였다. 반대로 생각해보면, 자산유동화에 관련된 국내 법체계를 개선하면 해석상 문제점이 많은 자산유동화법이 존재할 필요가 없어진다. 우선적으로, 자산유동화거래의 활성화를 위해 동산양도등록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이를 통해 자산양도절차를 간편히 함으로써 유동화거래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후에도 저당권 및 파산에 관련된 제도를 개선해야한다. 역설적으로 자산유동화에 관한 최소한의 규제와 유연한 해석만이 비정형 자산유동화를 규제의 틀에 포섭시킬 수 있고, 이는 유동화증권의 투자자를 보호하며, 자산유동화시장의 발전 및 건전성 확보를 할 수 있는 궁극적 방안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ABS : asset backed-securities is to be seen as issuing securities backed by cashflow of its underlying asset. Fundamentally, securitization transaction is possible under the simple condition that cashflow of the underlying asset is creatable as well as predictable. Therefore, variable assets could have been liquidated with the consequence of enormous growth of ABS market which is up to 19 trillion korean won of issue total amount. However, there has been a huge rift between antediluvian ABS ACT, which is established on the premise of ABS market in its primary stage, and kaleidoscopic real ABS market situation. Hence the completion of ABS ACT is seriously required. ABS ACT strictly restricts qualifications and authorities of the person[party] concerned in order to facilitate repayments of ABS. Firstly, it enumerates people who are eligible for liquidating assets. This is contradictory to the fundamental purpose of phasing in ABS ACT - lowering financing cost of low-graded asset holder by credit enhancement-. Secondly, it considerably constrains the authority and procedure of the establishment of SPV : Special Purpose Company. It is supposed because of the meaning that lies in SPV. ABS is remote from the bankruptcy of the asset holder, due to the establishment of SPV. In addition, SPV issues various kinds of ABS, such as a bond, a beneficiary certificate, a certificate of stock.. etc, and becomes the disclosure subject of responsibility. SPV, which performs a significant role, is an incorporated company under the commercial law in principal, while it is provided in ABS ACT with an exception. Therefore, SPV is not only incapable for universal securitization, but its establish procedure is also quite complicated. Furthermore, disguised ABS may be generated when the SPV issues ABS privately. Thirdly, the servicer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ABS repayment such as debt servicing, bond collecting and etc. Therefore, ABS ACT restricts the qualification of a servicer, only those of a confidence information company, an originator, and an asset management company. Due to the originator may also become a servicer, the commingling risk also has been pointed out. As for 'sale asset-backed securitization transactions', it should satisfy the required condition of ABS ACT article 13. However, the requisites of ABS ACT article 13 are obscure so that make related party confused, and also limits its transaction form only into sale or exchange. ABS ACT does not actively regulate 'trust asset-backed securitization transactions'. Therefore, it applies correspondingly to Trust Act and Trust Act Business, so there are various ways of interpretation about the condition of true trust, the range of trust property, and the obligation of a trustee. On account of these problems, atypical ABS, which is not under the control of the ABS ACT, has been provoked. However, atypical ABS conflicts with the related domestic legal system. For instance, when transferring the bond - underlying asset -, consent of the every unspecified obligators is needed for fulfilling the opposition condition. It is obvious that the atypical ABS is an ABS in substance. Therefore, whether it is typical or atypical, these are all should be subsumed by the ABS ACT in order to vitalize healthy development of ABS market. Furthermore, amendment of the ABS ACT is also strongly recommended for the progress of ABS market. Firstly, the limits on qualification of the originator should be widened. Secondly, SPV should be authorized to do universal securitization. Thirdly, restriction on transaction form of ABS should be removed. Especially, as for the sale asset-backed securitization transactions, the characteristic of true sale qualification regulation should be changed into that of "safe harbor". In addition, ABS ACT should precisely regulate trust asset-backed securitization transactions. Fourthly, disclosure regulation on ABS transaction also should be reformed. The disclosure subject should be clearly demonstrated, as well as fully detailed information also should be provided to whom may concern to ABS transaction. Lastly, ABS ACT is better to be abrogated.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ABS ACT for a prompt introduction of ABS, however, the act is not correspond to our legal system, since ABS is mainly based upon Anglo-American law principle. Inversely, if domestic legal system related to ABS is improved, the perplexing ABS ACT is no longer in need to exist. Above all, movable property transfer registration ACT should be induced for facilitating ABS transaction. For this, the procedure of transferring property should be simplified, and the system of mortgage and bankruptcy also should be improved. Paradoxically, the minimum regulation and flexible interpretation on ABS is the only ultimate scheme of subsuming atypical ABS under the control, protecting ABS investors, and confirming expansion and health of ABS market.-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資産流動化制度에 관한 考察-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Asset-Backed Securitie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전상화-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eon, Sang-Hwa-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법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LAW(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