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7 0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조성된 다가구ㆍ다세대주택 지역의 주거환경개선 방안

Title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조성된 다가구ㆍ다세대주택 지역의 주거환경개선 방안
Other Titles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of Multi-Family Housing Area by Land Readjustment Project : Focused on the case of Hwagog-Dong, Gangseo-Gu
Author
홍민우
Alternative Author(s)
Hong, Min Woo
Advisor(s)
이석정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wo aspects of multi-family housing; first because residential environment is evaluated negatively it needs to be improved, second the demand for various urban housing types is rapidly rising.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on the multi-family housing by suggesting that through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 plan, development of urban housing, a case study area, while also solving problems related to residential environment. Before starting with the case study, theory must be considered so as to be able to support the background and the aim of this study. It is urgent for the multi-family housing to be evaluated and improved especially for residential environment because it has been evaluated as the worst one among all kinds of housing type even though it has many merits. Nongovernmental development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with the maintenance of a form of urban fabric and a high density, also it is a small-scale building that has great advantage even on hill areas and takes a benefit of street-oriented row-rise housing. The case study area, general residential area in Hwagok-dong, Gangseo-gu is considered to be a detached housing area by land readjustment project, which is needed to carry out improvement on residential area located in multi-family housing areas for Seoul. The analysis of case study area is dividing into an analysis of superblock with urban aspect, an analysis of sample block with block and architectural aspect, and a block through the selection of the sample block and a process of the pattern changing. When it comes to the analysis of superblock, problem of infrastructure and regional aspect exists but it is worth keeping small urban area with human scale and there are a lot urban fabric units such as block, lot and part to be able to solve. The analysis of sample block is based on these findings, is worked on by a common feature of each block and difference between each type. The analysis of sample block is based on these findings, is worked on by a common feature of each block and difference between each type. As a result, it turns out that the rise of density go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multi-family housing in housing area by land readjustment project, which couldn't deal with urban planning, is the root cause of the problems. The result of the cross section sample blocks analysis suggests the process for improvement of the present condition of sample block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has to bring a plan considering the entire area, and architectural plan that has to be completed in that area. Also it is appears that dividing it into buildings arranged by density and architectural plan. The suggestion of development takes concrete shape based on common planning concept. And it reflects on each type of block which makes it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associated and to develop more appropriate plans for each situation. In Addition, District Unit Plan, which constantly turns nongovernmental development work into possible and reflect in development, can be possibly used as one of methods to complete the plan. Therefore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practice of multi-family housing following by intention of various housing types, the best example of this, various public supports held under the auspice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re related to current example constructions. The multi-family housing is need to work on development for betterment with the necessity, and when it brings out the plan considered whole area with a point of urbanization view, it will be taken root as new type of housing with development. Also, one of the methods for this, the District Unit Plan through progressive redevelopment, not temporary redevelopment, is expected to be a great possibility.; 본 연구는 국내의 도시주거 상황에 있어 다가구·다세대주택이 주거유형 다양화의 요구가 증대되는 가운데 새로운 도시주거유형으로의 큰 가능성을 갖고 있는 반면, 이러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주거환경측면에서 부정적 평가를 받고 있어 주거환경의 개선이 요구된다는 두 가지 측면에서 시작하였다. 따라서 다가구·다세대주택을 더 나은 도시주거유형으로 개발하는 동시에 기존의 주거환경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여 개선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그 방법에 있어서는 사례대상지에 대한 분석, 평가 및 대안 제시를 통하여, 일반적인 다가구·다세대주택에 대한 개선의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실질적인 사례연구에 앞서, 본 연구의 배경 및 목표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이 선행되었다. 다가구·다세대주택은 기본적으로 높은 밀도를 가지면서, 도시조직을 유지한 채 민간부분에서 쉽게 개발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점, 경사지에 유리한 소규모 건축물이라는 점, 가로중심의 저층주거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가능성이 높은 주거유형이며, 동시에 주거환경측면에서 주거유형 가운데 가장 열악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주거환경의 개선이 시급하기도 한 주거유형이다. 실질적인 사례연구를 위한 사례지역은, 서울시의 다가구·다세대주택 지역 가운데 단독주택지역으로 최초 계획이 된 이후 다가구·다세대주택의 난립으로 주거환경이 악화되어 정비가 요구되고, 향후 주거지역 정비가 진행될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조성된 지역을 사례연구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가운데 강서구 화곡동의 일반주거지를 선정하였다. 사례대상지역의 분석과정은 도시적 차원의 분석인 대가구 분석과 그것을 바탕으로 가구의 유형화 과정과 표본가구의 선정을 통한 가구, 건축차원의 분석인 표본가구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대가구차원에서는 기반시설 및 지역차원에서의 문제도 존재하지만 기본적으로 휴먼스케일의 조밀한 도시 조직은 보존의 가치가 있으며 도시조직의 단위인 가구나 필지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았다.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표본가구분석은 각 가구의 공통적인 특성과 유형의 차이에 따른 특성을 따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표본가구의 분석 및 평가의 결과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조성된 주거지역에 다가구·다세대주택이 들어서는 과정에서 밀도의 증가를 그에 따른 적절한 도시계획으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점이 근본적인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현황 분석에 이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방향의 도출과정과 각 유형에 따른 표본가구들에 대한 개선안 제안이 이어졌다. 개선방향은 전체를 고려한 계획이 선행되고 그 안에서 건축물 계획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며 크게 건축물의 배치, 밀도, 건축계획으로 나누어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개선안 제안은 앞선 개선방향을 공통의 계획 개념과 원칙으로 구체화한 뒤, 그 안에서 각 유형의 가구별 특성을 반영하고 그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형별 대안을 수립하여 각 상황에 적합하고 유연한 계획 및 개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러한 계획을 실현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점진적으로 민간부분에서의 개발을 가능케 하면서 개선안의 내용을 반영시킬 수 있는 지구단위계획을 이용할 수 있으며 최근의 주거 다양화 및 그에 따른 다가구·다세대주택의 활용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서울시가 계획하고 있는 다양한 공공지원과 시범사업들과의 연계를 고려할 수 있다. 다가구·다세대주택은 가능성과 개선의 필요성이 큰 만큼 더 나은 주거유형으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전체를 고려하는 계획과 도시적인 시각이 선행될 때,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새로운 도시주거유형으로 정착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한 수단으로 일률적인 재개발이 아닌 점진적인 정비를 통하는 지구단위계획을 활용할 수 있기에 큰 가능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36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22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