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1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여홍구-
dc.contributor.author지남석-
dc.date.accessioned2020-04-06T16:54:55Z-
dc.date.available2020-04-06T16:54:55Z-
dc.date.issued2008-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35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899en_US
dc.description.abstract산업화 이후 지속된 도시 인구 집중과 대도시 중심의 정책 추진은 비도시 지역의 쇠퇴와 활력 감소를 가져왔다. 도․ 농 간의 양극화는 농․ Although small towns play an important role as centers of rural areas, in Korea they have been experiencing a steady population decline over the past decades of development. However, after the establishment of municipalities, public interest in small towns has increased, particularly as they can serve as important areas of focus for national policies on balanced development.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the transition of land-use patterns of 39 small town centers and to analyze their spatial characteristic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urban spatial structures, land-use change, the location of urban facilities of small town centers, and to analyz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transitions. This research is based upon land-use data in years 1985, 1995, and 2005, and includes surveys of various types of urban activities in small town centers. To initiate an effective study and suggest subsequent policies for small towns,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discuss substantive issues based on specific conditions of these small towns. Therefore, in the main analysis of this study, urban economic facilities are classified into 14 facilities based on the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Next, the 39 small towns are divided into sets according to urban rank, their location, and the population size. Then, each small town center is divided into specific areas based upon their location and accessibility. Finally, distinctions of the divided towns are analyzed using aspects of urban organizations including populations, activities, and facilities/land. In doing so, an explanation of how land-use distribution patterns of small town centers changed over time is rendered. The main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mall town centers were found to have consisted of commercial and service facilities such as those for wholesale and retail, and accommodations and food service, respectively. Official land use (for financial and insurance activities) tended to be centered more in larger towns, but commercial and service facilities were scattered. Second, land-use of small town centers rapidly transformed to provide multi-level functions. Official land use and accommodations tended to be located more on upper floors while commercial and service facilities were found to be located on first floors. Third, each facility in the central areas tended to have a particular location; 어촌의 공동화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국토의 균형 발전을 위한 정책 추진에 장애가 된다. 소도읍은 농촌생활권의 중심지로서 기초적 형태의 공간구조 특징을 보유한 공간에 해당한다. 그러나, 소도읍은 국토공간의 개발 중심에서 벗어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도시지역에 비해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 인구와 산업의 지방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소도읍의 기능 활성화와 건전한 육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소도읍 중심부 공간에 대한 토지이용의 변화 특성을 밝혀내는 데에 있다. 현장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농촌생활권의 중심인 소도읍의 중심부 공간에 대한 입지시설 분포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토지이용의 변화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장래 소도읍 공간에 대한 계획의 틀을 제공하고, 기존의 도시연구 및 정책 추진과정에서 소외되어 있던 소도읍의 개발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도읍의 중심부 공간은 도매/소매업, 숙박/음식점 등의 생활서비스시설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 중, 도매/소매업은 감소하며, 숙박/음식점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업무서비스 기능은 읍급 소도읍을 중심으로 집중하며, 생활서비스시설은 전 소도읍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는 성향을 보였다. 둘째, 소도읍 중심부의 토지이용 변화는 입체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입체화의 정도는 시설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업무, 주거 등은 상층에 입지하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나, 판매/생활서비스시설은 1층 입지 성향이 지속되었다. 셋째, 소도읍은 입지여건에 따라 인구 변화의 차이가 있으며, 도시위계와 인구규모에 따라 지가 변화와 입지시설 규모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도시위계별 특성을 구분하는 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입지시설은 금융/보험(1985년, 1995년) → 도매/소매(2005년)로 변화하였다. 또한, 도시위계를 구분함에 있어 입지시설의 영향력이 증가하며, 시설별 영향력의 차이는 점차 심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소도읍 공간의 특성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고, 토지이용의 변화 패턴을 파악하는 데에 유용할 것이다. 또한, 소도읍의 개발과 관련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보다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것이다. 소도읍의 활성화가 도시의 과밀을 억제하고, 국토 공간의 균형적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볼 때 소도읍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앞으로의 소도읍 관련 연구는 자체적인 성과 뿐만 아니라, 정책적 차원에서도 유용한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소도읍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for example, wholesale and retail activities were found to be around the main street in small town centers, while accommodations and food service activities tended to be around other areas, and the location of residences moved to outer areas. Fourth, a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some small town types, according to population, land cost, and urban facilities, based upon the urban rank, the location, and the population size. This means the location of a small town has considerable influence on its population size and change, and that there is a hierachy of the size of land cost and urba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urban rank and population of small tow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research suggests the creation of a new plan that focuses on more efficient development of small towns, and highlights the need for more effective land-use policies. Also important is the creation of planning programs that reflect the given conditions of each small town. Finally, these results can be useful in the planning of small towns in the future.-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소도읍 중심부의 토지이용 변화 특성 분석-
dc.title.alternative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Use Variation Patterns of Small Town Centers in Korea-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지남석-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i, Nam Seok-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공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