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4 0

GIS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도시 공원녹지체계 조성 연구

Title
GIS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도시 공원녹지체계 조성 연구
Other Titles
Establishing an Urban Open Space System using GIS Network Analysis : A Case of Beijing City, China
Author
곡소곤
Alternative Author(s)
Gok, Sogon
Advisor(s)
오규식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도시화가 급격하게 진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인구 증가 및 도시의 각종 오염 문제로 인해 시민들의 삶의 질이 저하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 하에 공원의 확충은 도시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또한 공원은 오늘날 세계의 도시 경쟁력을 비교할 때 빠지지 않은 척도 중 하나이다. 북경시의 2005년에 통계자료에 의하면 공원녹지 면적은 113.65㎢이고 1인당 공원녹지 면적은 12㎡로 나타난다. 이는 세계 각국의 타 도시들과 비교해도 많이 낮은 수치가 아니지만, 시민들이 실제로 느끼는 공원 서비스수준은 이 같은 통계적 수치보다 낮게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북경시 외곽 산악지역에 위치하여 시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하기 힘든 대규모 국립공원이나 대형 자연관광지가 공원녹지 면적을 산정하는데 포함되기 때문이다. 즉, 도심의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근거리에 위치한 공원의 수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통계자료상에 나타나는 수치는 시민들이 실제 공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정도를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통계상의 총량적인 면적 수치를 통해서 공원녹지의 서비스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아닌, 시민들이 실질적으로 공원녹지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를 측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원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세운 후, 공원의 공간적인 입지를 고려한 이용권역 측정을 통해 공원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고 입지-배분 모델을 통해 적절한 신설공원의 입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가 이용 가능한 범위에서 일상적인 휴식이나 체육활동, 커뮤니티 등의 목적으로 이용하는 도시공원녹지들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고, GIS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도시공원녹지의 공간적 실제 이용권역을 측정하였다. 이용권 면적비와 이용권 인구비를 통해 공원녹지 분포의 적정성을 평가한 결과 2-3환선 사이는 매우 양호한 서비스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26개 행정동에서 면적비 또는 인구비가 20%이하로 나타났고, 이는 주로 4-5환선 사이에 분포한다. 이러한 행정동을 공원서비스가 취약한 행정동이라 판단하고, 이들 행정동에서 기존 공원의 이용권역을 제거하고 남은 지역들을 공원서비스 취약지역으로 선정했다. 그리고 공원서비스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입지-배분 모델을 실행하여 적절한 공원의 입지를 살펴보았다. 이 같은 분석을 통해 북경시의 전반적인 공원 분포는 매우 불균형하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지표로 사용한 이용권 면적비와 인구비는 기존 총량적 통계지표보다 더욱 실용성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공원이외에 다른 공공시설의 입지문제에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Rapid urbanization can lead to population surges and various pollution-related problems that deteriorate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The expansion of parks can be one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urban life.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parks is one of the standards used in measuring the competitiveness of cities around the world. According to the 2005 statistical report of Beijing, the aggregate size of parks in the city of Beijing is 113.65㎢ or 12㎡per person. When compared with other cities in the world, these figures appear to be favorable. However, it is well known that the level of park services that citizens actually experience can be lower than what statistical figures indicate. This is because large-scale national parks and tourist spots located in mountain areas in the outskirts of Beijing were included in the calculations of aggregate size, although Beijing’s citizens do not visit those parks very often. In other words, as the number of parks located close to residential areas is relatively low, the statistical figures has failed to reflect the exact level of benefits the public receives from park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ttempts to measure the actual benefits citizens receive from experiencing parks, instead of measuring the service level of parks through statistical figures on aggregate size. First, a barometer that measures the service level of parks was established. Then, in consideration to the spatial locations of the parks, the service level was evaluated by measuring areas used by citizens. Moreover, the appropriate locations of parks to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were selected through a location and allocation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urban parks within walking distance where people rest and engage in physical as well as community activities. The areas actually used by citizens were measured using GIS network analysis techniques. The appropriateness of the distribution of parks was evaluated through the area ratio and population ratio of the areas used by the public. Parks locat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Ringroadswere found to have a very satisfactory service level. However, both the area ratio and population ratio in 26 administrative dongs, which were mostly located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Ringroads, were below 20%. Assuming that people in those administrative dongs were provided with very poor park services, the areas of parks except for the areasused by citizens were identified as poor park service areas. Next, the location and allocation model were performed on the poor park service area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locations of parks. In conclusion,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overall distribution of parks in Beijing is highly unbalanced. Furthermore, the evacuation barometer, and the area ratio and population ratio of the areas used by citizens, was found to be more practical than the conventional statistical barometer. The analysis methods employed in this study also can be used in selecting locations of other public facilit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35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4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