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7 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트레스와 정서경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Title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트레스와 정서경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Adolescent attitudes about Parenting on their stress, emotional experience, and Life satisfaction :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oothing ability at a mediator
Author
김윤희
Alternative Author(s)
Kim, Yoon-Hee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변인으로 청소년의 스트레스 지각과 정서 경험 그리고 삶의 만족도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의 양육태도는 크게 애정, 거부, 과잉보호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이 지각한 양육태도척도와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자기위로 능력척도, 스트레스 지각과 정서경험척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척도를 사용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 번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매개로 한 삶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아버지의 온정과 어머니의 온정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삶의 만족도에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자기수용이 높게 나타나고 부모의 온정이 지각되면 삶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매개로 한 정서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정서경험 또한 아버지의 온정과 어머니의 온정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정서경험에 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매개로 한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스트레스 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위로능력을 매개로 한 삶의 만족도와 정서경험, 그리고 스트레스 지각에서는 어떠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어머니의 온정과 자기위로능력에서 정서경험에 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만 나타났다. 즉 자기위로능력이 높게 나타나면 어머니의 온정이 있다고 지각될 지라도 정서경험은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섯 번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아버지의 거부와 과보호의 수준의 낮고, 아버지의 온정의 수준이 높을수록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 또한 거부와 과보호의 수준이 낮고 온정의 수준의 높을수록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강해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여섯 번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위로능력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자기위로능력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 온정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어머니의 온정의 수준의 높아질수록 자기위로능력이 강해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study aims at analyzing how far and to what extent the parental behavior as perceived by juveniles would be influential to their stress perception, emotional experience and degree of life satisfaction through mediating variables such a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elf-consolation. For this purpose, the parental breeding behavior was categorized into affection, rejection and overprotectiveness. Based on this, this study surveyed a total of 240 middle school students by using questionnaire identifiable for the level of juveniles' perception on parental rearing practices, the level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e level of self-consolation, the level of stress perception and emotional experiences,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ver the study, th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between the mother's affection and the father's affection was proven to be partial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by carrying out the t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caused by the juvenile's perceived parental behavior through a mediator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t means that stronger self-acceptance increases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regardless of perception of parental affection. Secondly, th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between the mother's affection and the father's affection was also likewise partial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emotional experiences to understand the level of emotional experiences influential through a mediator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irdly, the understanding of the stress perception influential through a mediator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emotional experiences. Fourthly, the parental behavior perceived by the juvenile was partially mediated with the emotional experiences in the aspect of the maternal affection and self-consolation though identifiably not influencing on life satisfaction mediated through self-consolation, emotional experiences and stress perception.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stronger self-consolation increases the level of emotional experiences regardless of perception of parental affection. Fifthly, the understanding of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al behavior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howed that the lower the paternal rejection and overprotectiveness, and the stronger the paternal affection, accordingly the stronger th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Likewise, the lower the maternal rejection and overprotectiveness, and the stronger the maternal affection, accordingly the stronger th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ixthly, the understanding of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al behavior and self-consolation showed that there was identifiably no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rearing attitude and self-consolation, while having positive corelation with maternal affection which was among sub-factors of maternal rearing attitude. It means, therefore, that the stronger the maternal affection, the stronger the self-consol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31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19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