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5 0

중학교 재량활동 교육과정 모형 개발과 효과

Title
중학교 재량활동 교육과정 모형 개발과 효과
Other Titles
A Study on Middle School Discretionary Programs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and Flow Theory : A Model Development and it’s Effects
Author
김신
Alternative Author(s)
Kim, Shin
Advisor(s)
김명희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다중지능이론과 몰입이론을 접목시킨 중학교 창의적 재량활동 교육과정 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창의적 재량활동의 기본원칙인 ‘범교과학습’과 ‘학습자 주도의 교육’을 현실화하는 방안 모색과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 능력이 향상되어가는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중지능이론과 몰입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창의적 재량활동 교육과정’ 모형 개발과 그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서 수업을 계획하고 운영한 현장교사와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의 의견과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개발자이자 실천가로서 교사가 체득한 아이디어와 갈등, 그리고 그 해결을 위한 대안에 주목하였다. 반면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을 통해 얻게 된 학생들의 새로운 경험의 의미와 인식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과정은 총 3단계이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교육과정 개발과정의 효과와 의미 탐색’으로서 다중지능이론과 몰입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창의적 재량활동 교육과정 모형 개발과정을 파악하였다. 먼저 연구자와 참여한 교사들의 면담자료와 수업일지, 그리고 연구반성일지 내용을 토대로 Ayers의 여덟 단계의 인식의 과정에 의해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의 과정인 숙의 과정은 ‘시작’, ‘학생들 바라보기’, ‘학습 환경 창조’, ‘연결구조 만들기’, ‘고정관념 깨트리기’, ‘궤도 진입하기’, ‘가르침이 갖고 있는 비밀’, 그리고 ‘또 다른 시작으로서 과제’ 순으로 진행되었다. ‘시작’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도전의식을 통해 교사에게 자기존중의 기회는 물론 학습자를 진정으로 존중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였다. ‘학생들 바라보기’과정을 통해 개인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학습 환경 창조’에서는 학습교재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였다. 다음으로 ‘연결구조 만들기’에서는 다양한 관점을 통한 학생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의 중요성을 파악하였으며, ‘고정관념 깨트리기’에서는 교육과정의 수정 및 점검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였다. ‘궤도 진입하기’에서는 교육과정의 효과를 파악하였으며, ‘가르침이 갖고 있는 비밀’에서는 교사 개인의 아이디어의 중요성이 존중되어야함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또 다른 시작으로서 과제’ 과정을 통해 교육과정은 지속적인 반성과 재구성의 작업임을 알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덟 가지의 숙의 단계를 통해 교사들은 개인적으로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와 중요성, 그리고 책무감을 인식할 기회를 가졌다. 다음으로 교육과정의 요소 차원에서 설정한 원리와 그러한 원리에 의해 개발된 요소들을 소개하고 있다. 창의성, 타인이해, 그리고 자기이해라는 ‘교육목표’ 하에 개인으로서 자신을 존중하고 나아가 타인과의 관계형성에 필요한 기술을 핵심적인 ‘학습내용’으로 선정하였다. ‘학습방법’은 사고형성과 관련된 마인드맵·글쓰기·분류,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형성에 필요한 토론과 역할놀이에 초점을 맞추었다. ‘학습자 평가’는 루브릭평가와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를 통해 개인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집중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환경’은 다양한 자극을 통해 창의성을 길러주는 학교, 학생 개인의 가치를 존중하고 이해하는 교사, 그리고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몰입경험을 제공하는 교실 만들기에 주력하였다. 그리고, 다중지능이론과 몰입이론을 적용한 교육과정의 시행의 효과를 ‘양적 차원’과 ‘질적 차원’에서 해석하였다. ‘양적 차원’에서는 총 59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실제 수업을 경험한 학습자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반면에 ‘질적 차원’에서는 심층면접과 수업결과물을 통해 학생들의 경험이 자신에게 어떠한 느낌과 의미를 주는지를 탐색하였다. 둘째, 다중지능이론과 몰입이론을 적용한 창의적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학생들은 어떻게 지각하는지를 설문지를 통해 파악하였다. 그 결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다중지능이론과 몰입이론을 적용한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의 효과는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반적으로 다중지능이론과 몰입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창의적 재량활동 교육과정 모형에 대하여 학생들은 긍정적으로 인식을 하고 있으며, 다중영역 간의 상관 또한 높은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정환경 변인과의 상관에 있어서도 8가지 지능 영역 모두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지능 영역마다 독립적인 성격을 가지기보다 상호 영향을 주고 관계를 맺고 있었다. 셋째, 8개의 지능의 모든 영역이 학업성취와 관계없이 유사한 인식적인 측면을 보여주었다. 이는 가정환경, 성적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학습자들에 다중지능이론과 몰입이론을 적용한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은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실험집단의 평균점수는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즉, 다중지능이론과 몰입이론을 적용한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을 경험한 실험집단 학생들은 일반적인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을 경험한 통제집단보다 모든 지능 영역에서 높은 인식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다중지능이론과 몰입이론을 적용한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의 반응을 통하여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분석의 준거는 ‘개인 차원’(자아정체감 형성, 깊은 사고하기, 타인이해의 발달,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책무감)과 ‘수업 차원’(표현의 기회제공, 개인 차원의 평가도구 활용, 몰입경험의 유발, 자유로움과 통제의 균형감을 제공하는 교사)으로 제시하였다. ‘개인 차원’에서는 학습자들은 교과활동에서 경험해보지 못한 자신의 느낌 자체가 의미를 갖게 됨에 매우 긍정적 반응을 했으며,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타인을 이해하는 정서적 경험을 했다. 자신을 깊이 있게 파악하고 긍정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던 경험은 타인을 이해하는 폭도 넓혀주는 효과를 주었다. ‘수업 차원’에서 학생들은 좋은 수업의 의미는 교사들이 학생들을 이해해주는 수업으로 정의하였다. 진정한 학습자 주도의 학습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학생들에 대한 깊은 이해와 존중이 출발점이라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다중지능이론과 몰입이론을 적용한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은 교사와 학습자에게 ‘자신’을 인식시켜줌은 물론 ‘변화되어가는 자신’을 인정하고 스스로 독려하는 과정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해 주었다. 이처럼 학습자와 교사가 상호의존하고 함께 변화·발전되어가는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것은 창의적 재량활동 교육과정 개발의 전제조건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curriculum model for discretionary program at middle schools in Korea and to identify its effects on students' learning and development. This problem was drawn from the researcher's understanding that there has been a lack of curriculum research, in particular, studies on development of curriculum model for discretionary programs at Korean middle schools. Such a lack of research has been one of the major reasons that discretionary programs in middle schools have been administered poorly and their educational influences were evaluated as negative.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to change the status quo of discretionary programs in Korea and to develop new models to realize the objectives of discretionary programs. It has been a shared understanding among researchers on this topic that to vitalize the discretionary program at Korean middle schools through creation of new models for classroom instructions would be one practical solution to establish the discretionary program in secondary schooling as one major component of Korean National Seventh Curriculum Revision Plans more effectively and practically. With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attempted to apply Howard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to a discretionary program at a middle school, and developed a new curriculum model for middle school teachers to be able to use for their discretionary programs. The reason that MI theory and Flow theory were chosen as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new curriculum model was that there was strong correspondence between the assumptions of these two theories on human leaning and the purpose of discretionary programs emphasized in Korean National Seventh Curriculum Plans. As a toward respons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a new curriculum model was developed through the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middle classroom teachers)' collaboration and deliberation. A new curriculum model for a discretionary program included various practical and theoretical ideas drawn from MI and Flow Theory. In order to make the model more useful and efficient for classroom teachers, five domains which must be considered in developing a new curriculum model were considered as follows: (1) Educational objectives; (2) Contents; (3) Learning and teaching strategies; (4) Evaluation; (5) Learning environment. Each domain included a detailed explanation of major features and principles which classroom teachers should consider in applying this new model for their discretionary lessons. As a response toward the second research question(effect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of the newly developed model toward students' learning. For this purpose, the new model was administered during fifteen months(from January 2007 to March 2008) in a secondary school by seven classroom teachers. For the evaluation of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odel program, experimental design was administered. The experimental group(N=180) received newly developed programs based on MI and Flow Theory as treatment. The control group (N=165) received traditional programs, in which MI and Flow Theory was not applied. The treatment was administered over fifteen months.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of the new program towar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t a secondary school, a checklist was administered to two groups of students. SPSS 14.0 was used in drawing degree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n analysis tool.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recognition and attitude change toward all question items in eight areas of the MI based checklist. The result confirmed that this program would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quality of discretionary programs in Korean secondary schools. In addition to the checklis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in-depth interviews, contents analysis(students' diaries and classroom product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administered during the study. The researcher used this method in order to understand students' experience in this new program, which could not be found through the checklist. Thus, students' products(activities sheets, classroom dialogue etc.) were collected for further analysis. Also, in-depth interviews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find out the students' definition of the experience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ll collected qualitative data was transcribed for qualitative analysis and finally, some major categories of themes were drawn through the employmen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strategies. The findings from qualitative analysis can be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about themselves radically changed. Th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s recognized that the sense of the self was strengthened through the learning of shaping of self-identity, deep thinking,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of others, and recognition of social responsibilities. Second, students judged that the discretionary program should include some kinds of essential components to make the program called "discretionary program". According to them, a good instruction of middle school discretionary programs should include the following four components; (1) opportunities for expression; (2) experiential learning; (3) emphasis of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nstruction; (4) allowance of sense of freedom and inquirie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confirmed that the newly developed curriculum model based on MI and Flow theory was effective in promoting students' MI capacities and degree of flow. Further, they implied that the new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as one possible model for middle school discretionary programs. For example, the various materials (67 lesson plans developed during this study) will be very helpful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o improve their discretionary programs and teaching. I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is a strong need to change the status quo of Korean middle school discretionary programs, this research will be expected to be used as a insightful reference for Korean curriculum researchers and teachers. Lastly, academic and practical efforts to develop a new curriculum model for middle and high school discretionary programs will be further made in the near fu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31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14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