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3 0

청소년을 위한 휴대전화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Title
청소년을 위한 휴대전화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A Development of Mobile Phon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Youth : Viewed in the Theory of Media Ecology
Author
임상훈
Alternative Author(s)
Im, Sang Hoon
Advisor(s)
권성호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리터러시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미디어 자체가 환경으로서 생태학적 영향력을 가진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미디어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제작하는 것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점을 비판하는 시각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가 가진 생태학적 영향력에 주목하고 미디어 자체의 특성에 주목하는 미디어생태이론의 관점을 도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와 개발연구 방법을 수행하였다. 먼저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문제에 대해 교사, 학부모,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 및 심층면담을 통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개방형 설문조사는 서울 및 경기 소재 중·고등학교 교사 2명과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자녀를 둔 학부모 7인, 심층면담은 서울 소재 중학교를 다니고 있는 1, 2, 3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미디어생태이론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휴대전화 리터러시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미디어생태이론의 설계 원리 및 전략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설계 원리와 설계 전략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휴대전화 리터러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전문가의 검증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을 위한 휴대전화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미디어생태이론의 관점으로 설계 원리를 도출하는 것이다. 둘째, 도출된 설계 원리를 적용하여 휴대전화 리터러시 교육의 설계 전략으로 구체화하는 것이다. 셋째, 구체화된 설계 전략에 따라 청소년을 위한 휴대전화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넷째, 개발된 청소년을 위한 휴대전화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내용에 따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생태이론 관점의 청소년을 위한 휴대전화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원리는 고유성, 편향성, 심리적 상호의존성, 제도적 상호의존성 등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설계 원리에 따라 청소년들이 휴대전화의 고유한 특성을 파악하도록 하고, 어떠한 기능을 지닌 휴대전화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자신의 삶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휴대전화가 가지는 상호의존성을 심리적인 요인과 제도적인 요인으로 나누어 접근하여 휴대전화에 부정적 영향력으로부터 청소년들을 보호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도출된 설계 원리를 적용한 설계 전략은 청소년들이 휴대전화의 고유성과 편향성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고 모둠활동을 하도록 하고, 휴대전화의 상호의존성을 실제적인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청소년들이 경험해온 실제적인 사례로부터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다. 청소년들은 자기 자신의 삶에서 휴대전화가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 실제 사례에 기반으로 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받으면서 모둠으로 활동하며 적극적인 사고와 성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구체화된 설계 원리와 전략에 따라 청소년을 위한 휴대전화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도입과 총정리 차시를 포함하여 총 7차시로 구성되었으며 도출된 네 가지 설계 원리에 따라 2차시부터 6차시까지 만들어졌다. 고유성의 원리에 의해서는 휴대전화의 고유한 특성과 변화과정에 대해 탐구해보도록 하였으며, 편향성의 원리에서는 합리적으로 휴대전화 기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심리적 상호의존성과 제도적 상호의존성은 청소년들이 주로 생활하는 가정과 학교의 상황을 중심으로 갈등상황이 발생하는 이유와 해결방안을 탐구해보도록 하였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휴대전화 중독의 문제에 관해서는 심리적 상호의존성의 영역으로 따로 분리하여 다루었다. 넷째,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전문가의 조언을 통해 실제 적용가능성과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이 과정에서 학습목표로 적절하지 못한 표현들을 수정하였고, 본 프로그램을 처음 접하게 되는 교사가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들을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또한 수업의 전개 부분에서도 모호한 표현이나 구성요소를 명확히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문제는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교육해야 한다. 청소년들에게 발생하는 휴대전화로 인한 갈등은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보완 및 수정하여 가정에서 학부모들이 자녀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해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휴대전화뿐만 아니라 다른 미디어에도 미디어생태이론을 적용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미디어 컨버전스 현상 등 미디어의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미디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것이 미치는 영향력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대응해나가는 미디어생태이론 관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연구하는 것이 의의가 있을 것이다. 둘째, 휴대전화 중독예방을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육방법 연구가 필요하다.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해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휴대전화 중독문제를 교육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진다면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of mobile phone literacy for youth on viewpoint of the theory of media ecology.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criticism that the existing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youth failed to recognize media as environment and it has been conducted with an emphasis of media text alone.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d the theory of media ecology which emphasizes ecological effects of media in development of mobile phone literacy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an experiment process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were used as follows. Opinions on the use of mobile phone from teachers, parents and youth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And I developed a vobile phon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youth viewed in the theory of media ecology that are drawn from design principles from the goals of mobile phone literacy education for youth and core factors of the theory of media ecology that are drawn from this analysis. Then developed education program is taken professional advic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question is drawn design principles of mobile phone literacy education program in the theory of media ecology. Second question is drawn design strategies of mobile phon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rom design principles considering the properies of mobile phone literacy education. Third question is developed youth's mobile phon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mobile phone literacy in theory of media ecology according to the embodied design strategies of mobile phone literacy education. Forth question is taken professional advice and revise mobile phone literacy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les of designing mobile phon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youth were deduced as a characteristic, a propensity, psychological interdependence, institutional interdependence and so on. Secone, design strategies adapted by deduced design principles are to provide youth with various materials and group activities for helping recognize the characteristic and propensity of mobile phone, whcih help youth approach interdependedence between mobile phone and themselves through their experiences. Third, mobile phone literacy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embodied design principles and strategies. Developed education program consists of total 7 lessons. The 2nd lesson to 6th lesson were developed according to deduced 4 design principles. Forth, applicability and feasibility of developed education program were verified by professionals' advice. Suggestions about succeeding research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try to develop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adapting media ecology to media as well as mobile phone. Second, It is necessary to study concrete and systematic learning method for keeping from addicting to mobile phone. As it proceeds to study about youth's internet addiction from various angles, it is meaningful to approach mobile phone addiction from an deucational view of poin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30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18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